안녕하세요, 내년 결혼을 앞두고 있습니다.
저희 부부의 투자 방향은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의 명의로 투자를 진행하여 취득세 및 세금으로부터
이익을 위해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투자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저희의 종잣돈은 1억미만이고
저희 부부가 일년에 모을 수 있는 금액이
년 3500-4000만원이므로
지방에 투자하는 것으로 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
그래서 한 사람이 감당 가능한 리스크 범위가
매매가 3억 후반이므로 절대가를 그렇게 설정하여
매물을 보고 있었는데요,
최근 결혼 이후 부모님의 지원으로 종잣돈이
더 생겨서 약 1억 5천의 투자금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중소도시가 아닌 수도권 혹은 광역시를
기준으로 투자를 해야하는지 고민중인데요,
이때 절대가 선정이 궁금합니다.
요즘 월부에서도 현 시장이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뒤섞여있으니 좋은 것을 하라고 하는데,
그럼 저희 부부에게는 혼인신고 후 공동자산으로 묶는 것이 더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현재 대출도 없고 1호기를 진행하기 전에
상황이 바뀌어 여쭙니다.
또 저희 부부도 내 집마련이 아니라
시스템 투자를 하려는 계획이 있습니다.
댓글
안녕하세요, 규리링님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종잣돈이 좀 더 생기게 되어 공동명의가 유리할지도 궁금하고 가치 성장 투자를 해야 할지도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요. 저라도 너무 고민될 것 같습니다. 우선 결혼 예정 축하드려요~^^ 종잣돈이 1.5억이고 모을 수 있는 금액이 1년에 3500~4000만원인 경우에는 현 시장에서 수도권의 좋은 물건인 경우는 투자금이 1.5억 이상 들어갈 것으로 보이며, 광역시의 경우에도 돈이 어느정도는 들어가기 때문에 1채만 하고 지방 투자를 해야 할 확률이 클 것 같습니다. 종잣돈과 현금흐름을 봐서는 그렇지만 지역보다는 결국에는 가치 대비 저평가 되었고 기준에 맞고 내 상황에 맞고 감당가능한 것 중 1등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혼인 신고의 경우는 아이 여부에 따라서도 달라지고 내가 얼마나 투자 공부를 할 수 있는지에 따라서도 투자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에 자세한 답변을 원하신다면 투자 코칭을 추천드립니다. 규리링님 투자 응원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