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상단 배너
부동산Q&A

혼인신고 하지 않은 신혼부부의 투자 매매가 선정 방법

24.03.02


안녕하세요, 내년 결혼을 앞두고 있습니다.

저희 부부의 투자 방향은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각각의 명의로 투자를 진행하여 취득세 및 세금으로부터

이익을 위해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투자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현재 저희의 종잣돈은 1억미만이고

저희 부부가 일년에 모을 수 있는 금액이

년 3500-4000만원이므로

지방에 투자하는 것으로 방향을 설정하였습니다.


그래서 한 사람이 감당 가능한 리스크 범위가

매매가 3억 후반이므로 절대가를 그렇게 설정하여

매물을 보고 있었는데요,


최근 결혼 이후 부모님의 지원으로 종잣돈이

더 생겨서 약 1억 5천의 투자금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중소도시가 아닌 수도권 혹은 광역시를

기준으로 투자를 해야하는지 고민중인데요,


이때 절대가 선정이 궁금합니다.

요즘 월부에서도 현 시장이 좋은 것과 나쁜 것이

뒤섞여있으니 좋은 것을 하라고 하는데,

그럼 저희 부부에게는 혼인신고 후 공동자산으로 묶는 것이 더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현재 대출도 없고 1호기를 진행하기 전에

상황이 바뀌어 여쭙니다.

또 저희 부부도 내 집마련이 아니라

시스템 투자를 하려는 계획이 있습니다.


댓글


웰뜨
24.03.03 01:36

안녕하세요, 규리링님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종잣돈이 좀 더 생기게 되어 공동명의가 유리할지도 궁금하고 가치 성장 투자를 해야 할지도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요. 저라도 너무 고민될 것 같습니다. 우선 결혼 예정 축하드려요~^^ 종잣돈이 1.5억이고 모을 수 있는 금액이 1년에 3500~4000만원인 경우에는 현 시장에서 수도권의 좋은 물건인 경우는 투자금이 1.5억 이상 들어갈 것으로 보이며, 광역시의 경우에도 돈이 어느정도는 들어가기 때문에 1채만 하고 지방 투자를 해야 할 확률이 클 것 같습니다. 종잣돈과 현금흐름을 봐서는 그렇지만 지역보다는 결국에는 가치 대비 저평가 되었고 기준에 맞고 내 상황에 맞고 감당가능한 것 중 1등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혼인 신고의 경우는 아이 여부에 따라서도 달라지고 내가 얼마나 투자 공부를 할 수 있는지에 따라서도 투자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에 자세한 답변을 원하신다면 투자 코칭을 추천드립니다. 규리링님 투자 응원하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젊은우리creator badge
24.03.03 20:43

웰뜨님이 잘 답변해주셨네요!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하단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