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후기 적용하기
나에게 특히 와닿았던 점
-> 적용해보고 싶은 점
1. 생각이 바뀐다 (책, 강의, 만남) = 태도가 바뀐다
2. 행동이 바뀐다 (우선순위가 바뀐다.)
-> 월부를 유튜브를 알자마자 바로 강의를 결제하고 완강까지 한 것으로 나의 행동은 이미 시작 됐다!
3. 습관이 바뀌어야 한다 (인풋이 없고 아웃풋을 바라면 안 된다.)
-> 하루 1시간도 투자 공부를 안 하면서 10억을 벌 생각을 하면 안 된다.
-> 2시간을 하면 더 빨리 갈 수 있다.
4. 시간을 버틴다
-> 나의 장점은 꾸준함이다.
5. 인생이 바뀐다 = 운명이 바뀐다
-> 1년 , 5년, 10년 뒤 나는 이렇게 달라져 있을 거다! 원하는 미래를 메모하고 시각화하자.
-> 부가가치란 정확히 무엇인가?
-> 내가 할 수 있는 일 중에 부가가치가 있는 무엇인가 고민하기.
부동산투자 < 투자 < 돈, 부자
1강에서는 부자와 투자라는 큰 숲을 보는 법을 배우고
2강부터는 부동산 투자라는 나무를 어떻게 패는지 배우자
-> 계속 A로 살 것인지 아니면 미래에는 B로 살 건지 선택하자
당연히 답은 B로 살고 싶겠지만, 행동하지 않으면 계속 A로 살게 된다는 걸 명심하자.
-> 많이 버는 욕심보다 잃지 않는 투자가 중요한 핵심이다.
-> 수익률이 3년 주기로 +10% +10% -10 반복하면 고생은 고생대로 하고 수익은 본전
= 수익률 2% 예적금이랑 큰 차이가 없다.
실패하지 않고 성공한 사람은 없다.
-> 실패하면 반드시 회고하는 습관이 필요하다.
분산투자: 주식, 펀드, 부동산 등 여러 개를 투자하는 것!
-> 무조건 적인 분산 투자보다는 주특기 하나를 키워서 몰빵 투자하는 용기도 필요하다.
내가 몰빵 투자로 부동산 투자를 선택하게 된다면, 여러 채를 나눠서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대출이 0%인 게 있나요? 라는 질문에 나는 대답을 못 했다.
답은 전세금!!
-> 역전세 리스크도 있긴 하지만 대비하고 잘 활용하면 된다.
보통의 사람들이 아는 것(추측)과 실제 부자들의 삶은 많이 다르다.
-> 부자가 되고 나면 여유가 생긴다
상대방이 주는 세상의 모든 스트레스는 돈과 시간의 문제였다.
-> 돈이 없어서 스트레스를 받았기에 돈이 생기면 줄어든다고 본다.
65세 이상의 노인분들 중 소득이 있는 사람이 10명 중 1명 수준이라지만, 젊은 세대도 지금 당장 일을 그만뒀을 때 100만원 이상 버는 사람(자본소득)이 거의 없다는 게 더 충격이다.
-> 지금 당장 투자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
-> 부모님 세대의 어른들도 정말 열심히 사셨지만 대부분 노후 준비가 안 되셨다는 그래프를 봤다. 나도 누구보다 열심히 살았다고 생각했지만 결국 10년 동안 10억을 못 모았다.
지금의 내 인생이 위기라는 것을 인정하고 행동으로 옮기자!
-> 나는 그동안 아주 열심히 근로자로 살았다는 것을 느꼈다.
-> 무지한 것도 내 잘못이다. 몰라서 못 한 게 아니라 안 해서 몰랐다는 걸 인정하자.
자본소득이 앞바퀴 - 노동소득이 뒷바퀴
앞바퀴 생겼다고 뒷바퀴 없애면 느리다 or 망한다
부자 보고서를 보니 부자들도 근로(사업)소득이 같이 있었다. 오히려 사업 소득이 1위였다.
-> 아파트 투자에 성공하고 목표를 달성하면 일을 그만두고 쉬고 싶다는 게 나를 포함한 대부분의 생각 같았는데, 현실은 노동 소득이 없으면 안 된다는 걸 깨달았다.
Long Work -> 은퇴시기를 최대한 늦춰야 한다.
Early Start -> 이미 늦었다면 다른 방법은? 오늘 당장 시작한다.
Double Income -> 나는 솔로라 2배를 더 벌어야 맞벌이 가정이랑 비슷하게 모을 수 있다. 마음 맞는 결혼할 인연을 찾는 것도 중요하다.
40억이 넘으면 지출만 잘 관리하면 안 망한다.
-> 40억이 있어도 지출을 관리할 줄 모르면 망한다는 얘기로 들렸다.
-> 부자들은 지출 관리를 잘한다고 한다.
금융 자산 현금 10억이 있는 사람은 0.88% 정도다. 즉, 1%도 안 된다.
-> 우리가 10억을 목표로 간다는 건 상위 1%가 되는 것만큼 어려운 길이다. 그만한 대가(노력)가 따른다는 걸 명심하자.
-> 5년 안에 근로+투자 소득으로 1억 5천을 넘겨야 한다.
-> 그 후에 근로소득보다 자본소득이 커지면 노후가 설렌다고 한다. 나의 미래를 기대하자.
통장 나누기 (수입, 지출, 투자, 행복5%, 비상10%)
-> 20대에 재테크를 처음 시작했을 때 가계부와 통장 나누기를 실천했다가 30대부터 지출이 통제되는 검소한 삶을 살다 보니 안 했었다. 다시 시작해보자.
흑자 구조
-> N을 벌면 N/2을 저축하는 구조면 안 망한다.
저가 매입
-> 현재 가격보다 싸게 사는 데만 집중하는 건 초짜다.
10년이상의 투자자들은 현재 가격을 그대로 주고 사더라도 미래가치를 보고 투자한다.
장기 보유
-> 부자는 연봉이 많은 사람이 아니라 재산이 많은 사람이다.
여행계획, 사업계획은 짜는데 왜 인생 계획은 제대로 안 짰을까?
-> 사는 게 힘들고 귀찮고 뭐 그런 핑계로 30살 이후 계획 없이 살았다는 걸 인정하자.
목표를 이뤄도 그다음 목표가 계속 없으면 재미도 없고, 성공하지 못한다.
-> 목표를 정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고민하자
대부분은 종잣돈 모으고 바로 내 집 마련을 하려고 하는데, 그럼 전재산을 깔고 앉아서 투자를 못 한다.
캐시카우(자본소득)이 먼저다!
-> 지난달에 들었던 내마중 강의와 포인트가 달라서 혼란이 왔다.
시간 관리 (아침 1시간 저녁 1시간 이런 식으로 억지로 움켜지지 않으면 시간은 빠져나간다.)
바쁜 건 지금뿐 아니라 평생 바쁘다 -> 그러고 보니 인생이 한가한 적이 없었네? 동의한다.
-> 투자 공부를 억지로라도 우선순위에 지금 당장 끼워 넣어야 한다.
A. 중요(비전 보드와 관련된 것)
B. 긴급(기한내에해야하는일)
ex) A.강의 끝까지 듣고 B.임장을 가도 늦지 않다,
바겐 세일은 내년까지니까!
스터디는 혼자 하지 말고 함께 해야 한다.
-> 지치지 않는 동기부여의 측면도 중요하지만, 나와 다른 동료의 시각과 느낌을 통해 배울 수도 있다.
배우고 익히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 수업만 들어서 성적이 오르지 않는다.
-> 채화를 해서 독립적인 투자자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자!
댓글
열정과끈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