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93조 라니코밤] 아주 작은 반복의 힘

  • 24.03.10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아주 작은 반복의 힘

2. 저자 및 출판사: 로버트 마우어

3. 읽은 날짜: 2024.03.10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굉장히 오래된 것 같지만 한 달 전에 읽은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의 후속작이다. 하지만 내용은 후속작이라기 보단, 수학의 정석이 좀 어려우니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초 문제집을 따로 내준 느낌이다. 그래서인지 반복되는(혹은 그렇게 느껴질만한) 사례나 내용도 많다.


책 제목에 모든 내용이 다 담겨 있다. ‘아주 작게’ 그리고 ‘반복’.


하루에 팔굽혀펴기 50개가 어려우면 25개, 10개, 5개, 아니 1개부터 하는 것. 식단 조절이 어려우면 한 숟갈, 심지어 설탕 몇 알이라도 덜 섭취하는 것. 운동하기 어려우면 서있기라도 하는 것 등. 습관을 만들고 삶을 바꾸려면, 변화를 거부하는 뇌를 속여야 한다. 때문에 뇌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을 수준으로 줄여야 한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 아니 아무리 그래도 이렇게 줄이면 변화가 없지 않나요? 아니 되던데


먼 옛날 고등학교 3학년 때 옆 친구가 팔굽혀펴기로 몸을 탄탄하게 만들었다며 자랑하는 것을 신기하게 보다가 나도 한 번 해볼까하는 생각으로 20개였나, 10개였나 아무튼 운동을 시작했다. 그리고 정말 자연스럽게 개수를 늘려나갔다. 덕분에 대학 입학 후 학군 후보생 선발 시험에서도 꽤 높은 체력 점수로 합격할 수 있었다.


세월이 흘려 후보생 1년 차엔 턱걸이를 시작했다. 유튜브나 주변 선배들이 일단 매달리는 것부터 시작하라길래 진짜 매달렸다. 매달려서 안간힘을 쓰기도 하고 그냥 떨어지기도 하고 막무가내였다. 한 달이 지나자 거짓말처럼 1개를 성공했다. 또 한 달이 지나자 2.5개, 그리고 이 시간이 쌓여 어느새 10개 이상은 거뜬히 하게 되었다(물론 지금은 늙고? 살이 쪄서 거의 하지 못한다)


이미 오래 전 성공을 경험한 바 있다. 이제 이 경험을 부동산 공부로 적용만 하면 된다. 하지만 알고 있다. 그 한 걸음 딛기가 정~~~~말 어렵다는 걸.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임장보고서는 한 페이지부터


이제 본격적으로 임장을 나가고, 보고서를 혼자 만들어야 한다. 하루에 많은 욕심을 내지 말고 한 페이지부터 작성해보자. 나가서 걷고 보는 건 너무나 즐겁고 누가 말려도 나가려 하다 보니 작성의 영역만 해결하면 된다.


2)그놈의 목실감도 한 글자부터


업로드하는게 그렇게 귀찮다면 아내에게 카톡이라도 보내놓자. 그리고 나중에 익숙해지고 마음이 내키면 월부 카페나 닷컴에도 올리도록 하자..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39p)우리 뇌의 자동적 방어 메커니즘을 우회하는 것이 바로 스몰 스텝 전략이다. 큰 목표를 앞에 두고 왜 내가 두려움에 떨고 있는 지 상담 받느라 시간을 낭비하지 않고 그저 작은 한 걸음만 내딛으면 되는 것이다.


(112p) 많은 사람들이 실제 하고 싶은 이이 무엇인지 알지만 뜻대로 되지 않을 때 ‘마음 조각하기’를 사용한다. 하지만 행동에 돌입하기 위해 스스로를 불안하게 만들어서는 안 된다. 예를 들어 야채를 더 많이 먹어야 한다면 하루에 15초 정도 브로콜리와 같은 야채를 즐겨 먹는 것을 상상하는 것이다. 이 작업이 습관이 되고 심지어는 즐길 만한 것이 되었을 때, 30초 정도 혹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만큼 시간을 늘리는 것도 좋다.


(160p) 하인리히 법칙이 말해 주는 것은 무엇인가? 그것이 어떤 일이든 중간중간에 작고 사소한 일들을 점검하고 개선하지 않는다면 결국 큰 사건이나 사고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161p) 살면서 큰 실수를 저지른 때를 회상해보자. 계획했던 일이 바라는 대로 돌아가지 않았을 때 어떤 신호가 있었는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조치를 취했는가? 어쨌든 바라는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 문제를 무시했는가?


(192p) 작은 보상은 기여한 공로에 대한 찬사의 상징으로 사람의 내적 동기를 격려하는 것에 목적을 두는 것이지 물질적 보상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다.


댓글


좐바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