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93조 라니코밤] 인구와 투자의 미래

  • 24.03.10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인구와 투자와 미래(확장판)

2. 저자 및 출판사: 홍춘욱

3. 읽은 날짜: 2024.03.09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먼 옛날 ‘정해진 미래’란 책을 읽었었다. 인구는 갑자기 줄거나 늘지 않는다. 전쟁으로 급격히 줄 순 있었도 갑자기 막 만들어낼 수는 없다. 따라서 지금의 인구는 앞으로의 정해진 미래로 이어진다.


이책에서는 1) 대한민국의 인구를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이며 2) 이에 따른 경제는 어떻게 될 것인지 3) 그렇다면 주변국인 중국과 일본은 어떠한 지 살피고, 경제를 4) 부동산과 5) 주식으로 나눠 그 미래를 점쳐본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너, 나 그리고 우리는 투자자이기에 미래를 점치기만 하는 것은 의미 없다. 하지만, 향후 다가올 미래를 준비할 필요는 있다.


책에서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에 대해 아주 간략하게 책 말미에 요약해주고 있다.


‘저성장 혁신 경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속에 노동시장의 호조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 나아가 중국과 러시아 블록이 민주주의 국가와 화해하기 힘든 갈등의 국면으로 접어듦에 따라 한국과 멕시코, 캐나다가 가장 큰 이익을 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른바 한국을 비롯한 핵심 공업국과 원자재 생산국에 혜택이 돌아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대한민국의 양극화는 더욱 심해질 것이며, 저출산이 단기적으로 해결되기엔 미비된 과제가 너무나 많다. 결국 수도권으로, 그리고 핵심지역, 즉 누구나 살기 원하는 곳으로 수요가 더욱 몰릴 가능성이 높다. 결국은 서울로 가야 한다.

인구는 줄어들지만, 가구가 어떻게 될 지는 모른다. 그리고 누구나 원하는 곳에는 언제나 수요도 함께 있을 것이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30p) 한국의 출산율이 올라오지 못한 것은, 가임기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아직 선진국 수준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특히 유연한 일자리가, 고수입의 유연한 일자리가 부족하다.)


(143p) 미 연준은 2000년대 초반 발간한 보고서에 (일본이) 1990년대 초반 약 2%포인트 이상의 공격적인 금리 인하가 있었다면 디플레 악순환을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고 추정한 바 있다.


(180p) 이런식으로 일자리가 특정 지역에 집중되는 이유는 크게 세가지다. 비슷한 분야의 기업들이 모여있으면 언제든지 필요한 기술과 부품을 조달할 수 있고, 비슷한 일을 하는 근로자와 기술자를 쉽게 뽑을 수 있으며, 주변의 대학이 발전하면서 창의적인 기술 혁신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184p) 노인들이 대도시를 선호하는 현상이 나타난데는 두 가지 요인이 크다. 가장 큰 이유는 의료시설이다. (중략) 두 번째 이유는 네트워크다. 주변 인구의 감소가 부르는 외로움이 크다.


(188p) 한국 주택시장을 공부하다 보면 한 가지 특징이 발견되는데, 바로 가격과 공급이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는 것이다. 주택 가격이 급등하면 대체로 주택 가격도 떨어진다. 반대로 착공이 감소할 때는 대체로 주택 가격도 떨어진다.

(199p) 따라서 상당 기간 미국과 한국 주택 시장의 동조화가 심화할 것이다. 이제 인구 감소로 주택시장 망한다 같은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기 보다, 미국의 정책금리 변화와 한국 수출 동향에 관심을 기울이고 인구와 일자리가 어디에 집중되는 지 살펴보는 자세를 가졌으면 한다.


(262p) 중요한 것은 대체로 환율과 주식 가격이 반대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댓글


좐바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