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돈의속성 독서 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5기 151조 윤윤태]

  • 24.03.11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돈의속성

2. 저자 및 출판사: 김승호

3. 읽은 날짜: 2024.03.11

4. 총점 (10점 만점): 8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Chapter1. 돈을 다루는 네 가지 능력]


#부자들의 능력 #벌고 #모으고 #유지하고 #쓴다

경제활동을 하는 모든 사람은 돈에 있어 네 가지 능력에 따라 자산이 늘어난다. 이 능력은 돈을 버는 능력, 모으는 능력, 유지하는 능력, 쓰는 능력으로 나뉜다. 돈을 버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부자라 부르지만 부자가 부를 유지하려면 이 네 가지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


[Chapter2. 마중물과 종잣돈 1억만들기의 다섯 가지 규칙]


#마음먹기 #말하기 #행동하기 #만들기 #이루기

청년들이 1억을 만들기 위한 현실적인 방법 다섯가지.

1.1억원을 모으겠다고 마음먹는다.

2.1억원을 모으겠다고 책상 앞에 써 붙인다.

3.신용카드를 잘라 버린다.

4.통장을 용도에 따라 몇 개로 나누어 만든다.

5.1000만원을 먼저 만든다.


[Chapter3. 좋은 부채, 나쁜 부채]


#좋은 부채 #나쁜 부채 #ROE(자기자본이익률)

부채를 좋은 부채로 만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첫째, 소비에 사용하면 안된다. 반드시 추가 이익이나 자본 확장이 일어날 곳에 사용해야 한다. 둘째, 나에게 일정한 수입이 있고 이후 이 부채로 일정한 수입이 발생하도록 만들어놔야 한다. 마지막으로 투자에서 나오는 ROE(자기자본이익률)가 내 부채에서 발생하는 이자보다 높아야 한다. 다시 말해 내 주머니에서 돈을 가져가는 부채는 나쁜 부채고, 나에게 돈을 가져다주는 부채는 좋은 부채다. 내가 통제하지 못하는 부채는 나쁜 부채고, 내 통제 안에서 움직이는 부채는 좋은 부채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1.부자들이 가지고 있는 돈을 버는 네 가지 능력 중, 내가 잘하고 있는 것과, 잘 못하고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꾸준한 저축을 통해 돈을 잘 모으고는 있었으나, 모은 돈을 적절하게 쓰고 있지는 못한 것 같다. 지출을 점검하고 의미있는 것에 지출하도록 행동해야겠다.

2.부채를 가지는 것에 너무 두려워할 필요가 없음을 깨달았다. 결국 부채를 통해 더 큰 이윤을 생산한다면, 그것은 좋은 부채이며 레버리지를 온전히 사용하는 것이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1.품위 없는 모든 버릇 고치기 : 욕하고 투덜 거리는 것. 경박한 자세로 앉는 것. 남을 비웃는 것. 약속에 늦거나 변경하는 일

2.적극적으로 도움 구하기 : 업무나 부동산 관련하여 주위 나보다 먼저 그 길을 걸어간 선배에게 묻기

3.희생할 각오하기 : 투자,공부,업무 모두 이루고 싶은 목표라면, 더 열심히 공부해서 목표 이루기.

4.모두에게 사랑받을 생각 버리기 : 남 눈치 보지 말고 비난에 의연하고 무리와 어울리기 보다 나보다 더 나은 사람들과 어울리며 생활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적어보세요


(P. 50) 정기적이고 고정적으로 들어오는 수입은 그 액수의 100배 규모의 자산의 힘과 같다. 그만큼 정기적은 자산은 높은 가치를 가진 고품질의 자산이다.

(P. 68) 말을 줄이고 남의 이야기를 경청해야 한다. 이런 사람은 누구에게라도 깊은 애정과 신용을 얻는다. 애정과 신용은 없던 운도 만들어낸다.  

(P. 147) 투자를 하는 사람은 예측을 하고 그 예측이 맞아야 수익이 나는 상태에 자신을 놓아두면 안 된다. 시장 상황이 더 악화돼도 대응할 수 있는 상황 안에서 투자를 해야 한다.

(P. 190) 말을 하는 순간 말은 힘을 가지며 실제로 그렇게 되기 위한 행동으로 이끈다. 언어를 통제하면 생각이 닫히고 행동이 통제된다. 반대로 언어를 열면 생각이 열리고 행동이 실현된다.

(P. 325) 실패는 권리다. 특히 젊은이의 실패는 특권이 포함된 권리다.


댓글


윤윤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