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Part 1. 새로 배우고 결심한 것 63가지
1. A지역에서 중구 꼭 볼 것이다.
2. A지역에서 구도심까지 많이 볼 것이다.
3. 재개발 재건축하는 곳에 기회를 줄 것이다.
4. 투자를 실행하는 뒷단이 있어야 한다.
5. 투자를 이해하기 위해 광역시를 중심으로 위아래 중심을 잡고 이해하는 전국구 투자자가 될 것이다.
6. 배우고 투자하여 수익을 낼 것이다.
7. 권역별로 볼 것이다 - 부산-창원-울산
8. 권역의 중심은 광역시와 주변중소도시이다.
9. 지방시장은 기회를 줄 준비가 되어 있으므로 우리도 준비해야 한다.
10. 부산과 창원은 시장이 굉장히 빨리 움직인다.
11. 지방투자를 위해 공급에 대해 열심히 공부하고 정리할 것이다.
12. 공급물량이 정직하게 가격에 반역되는 곳이 지방시장이다.
13. 시장을 잘 보고 있을 것이다.
14. 광주는 공급이 없는 편이다.
15. 임보를 작성할 때 그 지역의 계절을 표기할 것이다.
16. 서울은 함부로 파는 것 아니다.
17. 봄일때는 기회인가 고민하자
18. 봄에는 전세가 더 오르고 여름에는 매매가 더 오른다.
19. 수도권 사이클 15년, 지방 부동산사이크 5-7년
20. 지방 광역시는 준경기도라 생각하자
21. 지방 광역시를 최근 싸진 1기 신도시와 비교해보자
22. A지역 관평은 지금투자 가능하다
23. 지방투자 지역개별성을 위해 입지와 선호도를 유념할 것이다. (선호도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곳, 부자동네, 좋아하는 택지)
24. 광역시는 입지를 같이 봐줘야 한다.
25. 광역시는 좋은 신축 좋은 구축 덜좋은 신축, 덜좋은 구축 순으로 우선순위를 메길 것이다.
26. 중소도시는 창원제외하고 신축과 택지가 짱이고, 입지중간 이하 구축은 투자하지 않을 것이다.
27. 환경은 백화점이고 공급은 저평가 주요요인이며, 교통은 업무지구에 얼마나 빨리 가는지를 나타낸다.
28. 교통은 택시가 막혀서 지하철의 의미가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29. 환금성은 받아줄 사람이 많아야 한다는 의미이다. 가수요든 실수요든.
30. 환금성은 저층의 경우 1억 싸도 않나간다는 것을 유념하자.
31. 1000세대 공급 들어오면 50만 도시는 전세가 3개월을 헤멘다.
32. 반드시 3년간 입주물량을 체킹할 것이다.
33. 광역시는 수요가 있으므로 외곽구축도 의미가 있지만 소도시는 투자범위가 작으므로 외곽구축은 투자하면 않된다.
34. 광주는 목포와 나주에서 들어온다.
35. 청주는 하이닉스, 천안은 삼성, 김해는 도지역 대표이다.
36. 구미는 가격이 좋아졌고 수출과 공장이 okay이므로 투자가능하나 일자리 때문에 사는 곳임을 함께 유념할 것이다. (직장 없으면 인구가 줄어들 것)
37. 부산부자동네는 매임시 강남느낌이 난다 (엘씨티)
38. 부산 신세계 백화점은 꼭 가야할 동네이다.
39. 대구는 광역시중 학군이 세다. (대치동급)
40. 수도권은 일자리를 위해 밖에서 안으로 들어온다.
41. 지방은 일자리를 위해 중심에서 밖으로 나간다.
42. 연봉이 높은 고급일자리가 있는 동네가 부자동네이다.
43. 양적 질적수준을 같이 볼 것이다.
44. 일의 양적수준과 질적 수준을 같이 보자.
45. 노원은 학군이 있는 곳 동작은 먹고사는 문제가 있는 곳
46. 수도권은 먹고사는 문제 (일자리에 가까운)가 크고 지방은 학군, 환경 (먹고사는게 관심사가 아님)이다.
47. 돈을 많이 버는 곳 울산.
48. 돈을 어디에 쓸까? 집에
49. 중소도시는 그 안에서 학군지라고 하는 곳이 있으나 신축을 선호한다. (신축이 생기면 부자들이 옮겨온다)
50. 백화점 매출을 받쳐줄 수 있는지 생각한다.
51. 백화점이 몇 km 이내인가는 부자동네라고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IFC몰이 여의도 소득과 연계되는 것과 마찬가지)
52. 부산은 권역이 넓다. (양산과 창원에서 넘어옴)
53. 천안은 인구 규모가 받쳐준다. 근처 아산과 함께 100만
54. 건설기간을 통해 만들어지는데 3-4년 소요된다. 주변공급 확인 필요하다 그래서 공급을 3년을 본다.
55. 대전과 세종의 공급을 같이 본다.
56. 대전은 10년이 눌려 대전 공급부족을 만들었다.
57. 공급을 3년 평균 통으로도 보고 각해 각각의 입주물량을 보기도 하자.
58. 울산 동구에는 건설사가 공급을 하려다 무산되었다 -> 호재이다! (않짓겠다는 것이므로)
59. 울산 2년뒤 물량없어지고 중심소진 잘 찾아보자.
60. 대구는 전매 살짝 올라왔다. 바닦을 찍고 올라왔다.
61. 후분양은 분양않하고 입주직전 분양하려는 곳도 있다.
62. 단지 재개발, 재건축 25-26년도 많으므로 단지 잘 확인 할 것이다.
63. 집값은 그 지역민들이 얼마나 벌고 얼마나 쓰냐에 달려있다. 춘천에는 조식나오는 아파트도 있다. 잘 살펴보자.
Part 2. 임보에 적용할 것
p.17 투자 계절
p.18 랜드마크 적용
p.25 중심부 외곽
p.27 입지 - 연식 사사분면
p.30 입지평가 시 - 구
p.33 입지평가기준
p.37 인구평가
p.38 직장
p.39 직장
p.40 직장평가
p.42 학군
p.43 학군
p.44 학군평가
p.45 환경
p.46 환경 백화점
p.47 환경평가
p.48 공급
p.49 공급
p.50 공급평가
p.51 1장 정리
p.52 광역시 입지평가 총정리
Part 3. 임보 심화
p.58 구나누기
p.60 인구
p.61 구별 인구수, 세대수
p.62 연력별인구
p.63 인구이동
p.64 도시공간구조
p.65 광역시별 소득비교
p.66 구별 소득비교
p.67 소득
p.71 주요택지
p.72 행정구역
p.83 구별 대표 키워드
p.85 직장
p.86 직장
p.87 직장
p.88 주요직장
p.90 학군
p.91 학군
p.92 학군(학원가)
p.93.학군 영향력
p.94 소득-학군-평당가
p.95 주요상권
p.96 상업시설
p.98 공급
p.101 공급지도
p.105 입지정리
p.106 구별입지순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