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도명입니다 : )
수도권 시장, 시장에 따른 투자전략, 그리고 실전 투자 방법까지
강의 내용을 담아주셨습니다
수도권 시장의 이해
제가 아직 초초초보인게 느껴지는 강의였습니다.
급지를 나누는지부터 친절하게 설명해주셨습니다
결국 단지 대 단지 비교인데, 급지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약간의 의문이 있었다는걸 강의를 들으며 깨달았습니다
다 펼쳐놓고 비교하면 밑도끝도 없기 때문에
어느정도 분류를 하고 시작한다는 것.
비교하기 쉽도록 만들어주셨다는 깊은 뜻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전세가율 60%
왜 수도권은 전세가율 60%를 기준으로 보는걸까? 궁금했었습니다
이런 기준들은 어떻게 정하는지 궁긍하다며
실전반 사전 질문지에도 썼었던 기억이 납니다
60%를 기점으로 보합 또는 반등하였던 과거를 기반으로
나온 수치였습니다.
가장 싸게 살 수 있는 기회의 시기라는 신호였다는걸 알게되었습니다
수도권 투자 전략
지방에서 돈 버는동안 기회가 날아가면 어떻게 하죠?
이 질문을 많이 한다고 소문을 들었습니다.
저 역시도 투자하기 가장 좋은 시기에 들어가야 한다고
좁게 보고 있었던거 같습니다
지금 들어가면 겨울시장에 진입하는 거고
나중에 전세가 오르고 들어가면 봄 시장에 들어가는 것이었습니다
양쪽다 투자 접근의 차이만 있을뿐
돈을 벌 수 있는 시기인 것이고,
언제 들어가는게 좋다라기 보다는
제 상황에 맞춰, 그 시기에 가장 좋은 투자를 하면 되는
어렵지만 단순한 일이라는걸 깨달은거 같습니다
매수부터 매도까지 실전투자법
매수-보유-매도 모든 과정에서
시각을 키우고 의사결정 하는 능력을 키워야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거 같습니다
그러면서도 결국 계속 가져갈 좋은 물건들을 모아가는것이
가장 좋은 방향라는 것.
처음 매수할때 공급을 유심히 보지만,
이는 보유할때 물건을 지키키 위해서도 꾸준히 봐야 한다는 것.
임대등록사업자등록도 가치 있는 모든 물건을
등록하면 되는 줄 알았는데,
리스크를 생각하여 일부 물건은 등록을 하지 않는 선택도 해야 한다는 것.
모든건 상황에 따라 대응해야 한다는걸 강의를 통해
더 깊게 느꼈습니다.
좋은 강의 해주신 제주바다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