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거래량을 해석하는 인사이트가 궁금합니다.

  • 24.03.20

안녕하세요. 긍정몬이라고 합니다.

서울투자기초반에서 성동구 앞마당을 만들고 있는 중

'거래량을 해석하시는 인사이트'가 궁금해서 문의 남깁니다.




서울숲푸르지오2차와 신금호파크자이 / 래미안하이리버 단지를 비교해봤는데요.


먼저 서울숲푸르지오2차는 지하철역 접근성은 아쉽지만, 한강 접근성이 좋고 서울숲푸르지오1차부터 이어지는 생활권이 고급지고 깔끔하다는 느낌이었습니다. 단임 시 선호하는 단지라는 게 느껴졌구요.



신금호파크자이는 신금호역 5호선 초역세권이고 16년식 신축인 만큼 선호가 높을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5호선은 조금 아쉬웠습니다.


래미안하이리버 역시 도보로 신금호역 이용 가능한 역세권 단지이고 약간 언덕 위에 있지만 거주환경이 되게 깔끔한 느낌이었습니다.



세 단지를 비교해봤을 때, 거래량 관련해서 궁금한 부분이 생겼습니다.



모두 같은 가격이라고 하면 개인적으로는 '서울숲푸르지오2차'를 선택했을 거 같을 정도로 선호도가 있을 것 같았고, 신금호파크자이와 래미안하이리버에 비해 대중적 선호도가 떨어질 지언정 크게 비선호하는 단지는 아닐 거라고 생각을 했는데,


신금호파크자이와 래미안하이리버 단지에 비해 서울숲푸르지오2차 최근 거래량이 적은걸 어떻게 해석할 지가 궁금했습니다.

(*네이버 20평대 매물 갯수

  1. 서울숲푸르지오2차 : 15개
  2. 신금호파크자이 : 30개
  3. 래미안하이리버 : 37개)


서울숲푸르지오2차 거주환경이 좋아서 실거주들이 많아 집을 안파려고 해서인지 거래가 상대적으로 안되는 이유가 있는 건지...


이런 상황에서는 거래량을 어떻게 해석하시는지 궁급합니다!!


댓글


진심을담아서creator badge
24. 03. 20. 09:39

안녕하세요 긍정몬님 정말 열심히 보고계시네요 ^^ 저도 반성하게 됩니다!! 이렇게까지 고민하시면 성장을 안하실 수가 없을 것 같아요. 우선 제 경우에는 하락장에서도 거래가 많이 일어난다 -> 선호도가 높은 단지 일 '수도'있다 하락장이라서 거래가 적게 일어난다 -> 선호도가 적은 단지일 '수도' 있다 는 관점으로 보긴하는데, 여기서 중요한 건 '수도'있다입니다. 사실 가장 중요한 건 가격 수준이에요. 위의 언급주신 3개단지 모두 선호도가 좋은 단지이지만 시장에서 받아들이는 가격이 싸지 않았다면(호가대비) 거래가 안됐을 수 있습니다^^ 서울에서 6억대 구축들이 거래 안되다가 5억대면 거래가되는 것과 비슷한 논리에요 ^^ 저는 거래량 적은 것에대해서 본질은 아니라고 생각하고 긍정몬님이 3개 단지에 대해 적어주신 가치에 대한 생각이 본질이라고 생각합니다 ^^ 화이팅입니다!

그린티라떼719
24. 03. 20. 11:12

좋은글 감사합니다

소소럽마셀
24. 03. 20. 11:21

덕분에 지역에대한 생각들 얻어갑니다🙏 감사해요 몬장님🙏 진담튜터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