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 제목: 아주 작은 습관의 힘
2. 저자 및 출판사: 제임스 클리어
3. 읽은 날짜: 2023.09.19 – 2023.09.22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1퍼센트의 성장 #목표가 아닌 시스템에 집중하라
성장과 퇴보는 복리로 나타난다. 매일 1퍼센트의 성장은 1년 후 37배의 성장을 의미한다. 즉 일상의 습관들이 아주 조금 바뀌었을 뿐이지만 그런 순간들이 평생 쌓여 모이면 나의 미래가 바뀔 수 있다.
목표는 나아갈 방향을 의미한다면 시스템은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정이다. 목표는 한순간이고 시스템은 계속 해나가는 것이다. 목표 달성이라는 결과값이 아닌 조금씩 개선되고 발전하는 과정에 집중해야 하며 이는 좋은 습관들을 쌓아 나감으로써 가능하다.
#습관은 자존감이다
진정한 행동 변화는 정체성 변화에 있다. ‘나는 아침형 인간이다. 나는 독서가다. 나는 투자자다.’ 라는 정체성을 부여한 후 그에 걸맞는 행동을 반복하여 습관을 세운다. 내가 원하는 모습을 이룬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를 생각하면서 결과에서 정체성으로 초점을 옮기면 습관을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다. 정체성은 단단한 포석 위에 세워진 것이 아니다. 매 순간 바꾸고 선택할 수 있다.
스스로에게 주기적으로 질문을 던지자. “당신은 자신이 되고 싶은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가?”
#전문가와 아마추어의 차이 #지루함을 견뎌라
성공의 가장 큰 위협은 실패가 아니라 지루함이다. 습관이 지루해지는 이유는 더 이상 희열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전문가는 스케줄을 꾸준히 따른다. 아마추어는 삶이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둔다.
1. 일주일에 한번, 필라테스 1시간 수업이 그나마 꾸준히 하는 운동인데 아파서 한주 빠지니깐 다시 가는 것에 문턱이 너무 높았다. 어려서부터 운동은 종목 무관하게 소질도 흥미도 없었다. 나에게 운동은 적성에 맞지 않는 습관인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년 이상을 꾸준히 할 수 있었던 이유가 무엇일까 생각해보니 ‘관리하는 나’ 라는 정체성을 만들어두고 체력 또한 꾸준히 관리해야 할 영역 중 하나로 생각하고 루틴으로 만들어 버렸기 때문인 듯하다.
2. 어느 정도 습관이 된 부분은 이제 조금 더 디테일한 변주를 주어 숙련도를 높이자. 6개월 이상 다독과 계독으로 투자자의 마인드를 셋팅하는 것과 책 읽는 습관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책 한권 한권을 정독하고 요약정리하여 책마다 나만의 한문장을 뽑아 행동으로 옮기기로 결정했다.
3. 전문가는 아마추어와 달리 지겨워도 그냥 한다. 아직은 부동산투자 공부를 시작한지 몇 개월 되지 않아 배울 것, 할 것이 많아 그런 생각을 해본 적이 없지만 이 생활이 1년이 넘어가면 동력이 떨어지는 때가 분명 올텐데 너나위님, 너바나님이었다면.. 이라는 생각을 떠올리자.
4. 직업 특성 상 주말마다 지방임장을 간다거나 1년에 한채씩 투자하는 시스템을 만들기가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그렇다고 지금 하고 있는 투자공부를 접고 싶지는 않았다. 이렇게 해서는 이도 저도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든 때가 있었지만 책에 나온 <딜버트>의 작가 스콧 애덤스의 말처럼 나는 치과의사이면서 (아직은 아니지만) 부동산도 가치 대비 가격을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니 독특한 두 가지의 조합을 가지면 경쟁력이 있을 거라는 긍정적인 생각이 들었다.
1. 아직 넘지 못한 전화임장과 매물임장의 벽을 깨고 행동 및 습관으로 바꿀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보자.
- 정체성 찾기: ‘당장 안 살건데… 돈이 없는데…’ -> ‘나는 미래의 투자자다’
- 하기 쉽게 만들기: 월부 카페에서 전화임장, 매물임장 관련 글 찾아 읽고 BM하기
- 습관 추적하기: 새로운 임장지마다 전화임장/매물임장 횟수를 +1씩 늘리고 임보에 기록한다
- 숙고와 복기: 전화임장 후 녹음파일을 듣고 매끄럽지 못한 부분을 다듬어보자
(p.65) 초점은 늘 어떤 사람이 되는 것이어야지, 어떤 결과를 얻어내겠다는 데 있으면 안 된다. 당신은 자신이 되고 싶은 사람이 되어가고 있는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