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과거 최고점 데이터확인법

  • 24.05.21

안녕하세요~~

임보 작성중에 의문이 들어 문의남깁니다~~

과거 최고점 데이터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질문입니다.

저는 이때까지 아실에서 그래프를 이용해 단지의 최고점을 확인해왔는데요...


예를들어 힐스테이트범어라면
매매그래프에서 제일 꼭대기를 갖다대면 나오는 금액을 최고가로 설정했는데요...
저 그래프상으로는 22년 7월이 매매 15.6억이 최고가로 나옵니다.
그런데


아실에서 매매거래현황을 보면 최고가가 21년 3월 17.0억 이라고 나옵니다.

뭐가 맞는건지 모르겠네요~~

그리고, 최고가 시점에 전세가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이제껏 아실에서 찾은 전고점 가격과 맞는 가격을 호갱노노에서 찾았거든요...

제가 하고 있는 과정이 올바른지, 잘못된 부분은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우도롱
24. 05. 21. 10:07

안녕하세요 부자엄마유니님~ 단지의 최고가 가격을 정리하고 계시는군요~! 21년 3월에 17억이라는 최고가 거래가 있었지만, 13억5천, 14억9700만원의 거래와 함께 평균되어 그래프로 올라가다보니 그래프 상으로는 17억 최고가가 단독으로 표현되지는 않습니다. 저의 경우 최고가 가격을 볼 때에는 아실의 그래프보다는 실제 거래가격으로 확인하고 있고, 단지별로 상승금액이나 상승률 등을 비교할 때에는 월평균 값이긴 하지만 호갱노노로 비교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고점 시기의 전세 가격도 함께 보시려면 가격 내림차순보다는 과거 전고점 시기인 21~22년의 매매전세 거래를 함께 확인해보시는 것이 보다 정밀할 것 같습니다. 단지별로 가격을 확인하는 것이 힘드시다면, 정밀한 가격을 찾기 보다는 가치를 판단하는 과정에 더 집중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화이팅입니다 유니님~!!

숨유지
24. 05. 21. 11:05

유니님 전고점에 대한 궁금증을 위에 도롱님이 잘 설명해주신 것 같아요~ 의견 붙여보자면 뷰 프리미엄, 복층, 이상거래 등이 전고점에 포함될 수도 있기에 저는 아실 전고점 내림차순으로 정렬을 하고, 3개이상 어느정도 가격대가 찍혀있다!라고 판단되는 선을 전고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고점까지의 흐름이 1 / 11억 → 9.5억 → 9.4억이라면 9.5억으로 판단 2/ 11억 → 10.8억 → 10.5억이라면 11억으로 판단하고 있어요. 스터디 파이팅입니다 유니님^^!!

가자나creator badge
24. 05. 21. 12:36

안녕하세요 부자엄마유니님 :) 전고점 데이터 관련해서 열심히 파악중이시네요. 멋지십니다. 일단 아실은 해당 월 실거래 평균가가 그래프로 나타나고, 호갱노노는 3개월(혹은 N개월) 평균가가 그래프로 나타납니다. 그래서 아실의 경우, 21년 3월의 17억 거래 포함 13.5억 14.97억 등등의 거래가의 평균이 데이터로 찍혀서 그래프상에서는 드러나지 않은 것입니다. 저라면 거래 가격순으로 정렬해 실거래로 떠있는 17억을 기입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가격이 16억에서 17억으로 훅 뛰어있거나 가격 차가 크게 나는 경우에는, 매임 혹은 전임으로 해당 거래가 특수하게 비싼 매물인지(예-탑층에 복층 물건 등), 정상 거래였는지 등을 간단히 확인해볼 것 같습니다. 보통 해당 금액에 복수의 거래건이 있으면 그건 고점으로 인정하는 편입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