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Q&A

안녕하세요, 전세 문의 드립니다.

  • 24.06.02



안녕하세요, 전세로 시작하려고 하는 신혼부부입니다.

안전이 최우선이기 때문에 아파트 전세를 고려중이며,

투자코칭 시 혼인신고 하지 않고 자산을 일구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으로

개인 명의로 대출을 받아 진행할 예정입니다.


또한 전세로 깔고 앉을 돈은 5천만원 정도 생각 중이고

버팀목 대출이 2억까지 나온다고 하여 2.5억의 집을 알아보는 중입니다.

저희 둘의 직장은 학동-논현이기 때문에 7호선 라인을 생각 중입니다.


그런데 2.5억 내의 전세집의 크기가 다소 작은 것이 아쉽습니다.

그래서 3억까지의 전세집을 알아보는 것이 나을지,

혹은 융자금 30% 미만 껴있는 집에 근저당 말소 조건으로

전세를 들어가는 게 나을지 모르겠습니다.




제일 궁금한 점은


1) 3억의 전세집을 알아보았을 때,

버팀목 대출 2억 + 자금 5천만원을 제외한

나머지 5천만원은 신용대출을 알아보아야 하는 건가요?


버팀목 대출 2억을 금리 2.7% 시, 매달 45만원

신용대출 5천만원을 금리 5% 시, 매달 20만원의 이자를 갚아야 합니다.

= 65만원


반대로 일반전세자금대출 3.8~4%로 2.5억을 받으면

매달 83만원을 이자로 내야합니다.

이정도 가격이라면 3000/70~85의 월세가 더 나을 것 같은데요..


투자 생활을 이어나갈 저희들이

신용대출을 받아도 되는 것인지 의문이 듭니다.

혹은 마통을 뚫어두고 그것으로 하는 게 더 나을까요?

현명한 방법이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고견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저희 둘 다 4대보험의 직장인이고

대출 경험이 없습니다.



2) 세입자 입장에서 임대사업자의 집에 들어가는 것이

유리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임대사업자의 집을 찾았지만 융자금 30%미만인 집도 있었습니다.


매매가 10억 전세가 2.6억 융자금 30%미만입니다.

융자금 30%미만 껴있는 집이 위험하다는 조건이

근저당 말소 조건으로 해소가 된다면 괜찮은 건가요?


혹은 임대사업자 여부는 모르지만

매매가 10억 전세다 3억 융자급 30%미만인 집입니다.

이 집의 소유자가 7억 매수 후 융자금이 3억이라면,

집에 대한 문제가 생겼을 때 3억은 안전한 금액이지 않나 싶은데요,

무조건 융자금 없는 집에 들어가는 게 좋을까요?




3) 현재 올림픽 파크 포레온 전세가 3.4억입니다.

11월 입주라고 알고 있는데

입주가 시작되고 12~1월즘 되면 전세가가 내려가기도 하나요?




감사합니다!



월부 앱 설치하면 남겨주신 질문에 답변이 달리면 알림🔔을 받아볼 수 있습니다. 앱 추가 방법 : 공지사항 > 신규멤버필독 게시판을 참고하세요!

댓글


꽃을든둘리
24. 06. 02. 13:13

규리링님 안녕하세요^^ 투자를 고려하신다면 마통은 리스크를 대비하여 남겨두는 것이 좋긴 합니다. 마통까지 다 써서 전세를 사시면 추후에 투자했을 때 역전세나 잔금 리스크 대비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반면 월세를 살면 현금유동성이 많아지지만 연에 모으는 돈이 줄어들게 되구요. 그래서 사실 이 부분은 선택의 문제이기는 합니다. 현재 종자돈이 정확히 얼마인지, 연에 모을 수 있는 종자돈이 얼마인지 알지 못하기 때문에 그런 부분을 고려해서 잘 선택하시면 좋겠습니다^^ 근저당에 있는 집의 경우 잔금 시 근저당 말소 조건으로 들어가시면 됩니다. 입주장에서의 전세는... 입주장 전부터 내려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마나 빨리 언제 회복할지는 아무도 모르지만, 입주장 전후로는 전세가 내려갈 확률이 높습니다. 화이팅입니다 규리링님 ^^

후안리
24. 06. 02. 19:46

안녕하세요 규리링님! 전세와 대출관련해서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저도 전세와 월세 어떤게 더 나은지 항상 고민하게 되는데요.

전세로 살때의 비용과 월세로 살때의 비용을 계산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finda.co.kr/finance/calculator/rent-option-web
월세vs전세 계산기인데요 어떤게 더 비용이 적게들어가는지 계산해보시고 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신용대출과 마통을 쓰는건 투자할때 잔금과 역전세 리스크를 대응해야하기 때문에 남겨두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대출을 받게되면 DSR이 차기때문에 리스크에 대응하기 어려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근저당관련해서는 잘 아시는 것처럼 말소 조건으로 계약하신다면 문제는 없을 것 같습니다!

제가 봤던 입주장에선 대부분 전세가가 내려가긴 했지만 이것도 그 상황이 돼야 알 수 있어서 무조건 내려간다고는 말씀드리기 어려울 것 같습니다ㅜㅜ

배우자분과 잘 고민하셔서 좋은 선택하시길 바라겠습니다!! 홧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