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기14기 5늘도 구로 생각에 마음이 8랑팔랑 CANI] 2주차 강의후기

  • 24.06.17


1급지인 강남구와, 3급지인 영등포구, 동작구를 분석하면서


직장,교통,학군,환경의 입지요소의 의미를 다시 한번 새길 수 있었다.




서울 아파트의 오래된 연식


서울 아파트가 연식이 점점 오래되면서

재건축, 재개발 아파트의 대지지분, 용적률 또한 잘 봐야할 것 같고


대규모 재개발이나, 뉴타운 형성 시

이주수요로 인한 전세가 상승 및 매매가 반영이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주 수요는 그 옆지역으로 올 확률이 높기때문에

이주가 시작되기 전 옆지역을 선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책에서나, 강의에서나 미분양이 중요하고, 첫 지표가 된다는 말은 많이 들었는데

모든 미분양이 아실이나 앱에 표출되는 줄 알았는데

회사보유분으로 돌려서 표출이 안될 수 있기 때문에

크레인은 많이 올라가있는데, 미분양이 적은 지역은

항상 분양사무소에 전화를 걸어 정확하 내용을 확인하는 습관을 길러야겠다.


미분양은 가격이 바닥을 다지고 상승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이기 때문에

미분양이 줄어드는 추이는 반드시 잘 지켜보아야 할 것 같다.


또한 뉴타운이나 재개발이 진행되는 지역은 가격이 접근불가할 정도로 오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생활권을 공유하는 주변의 구축을 잘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미묘한 생활권의 차이


같은 생활권이어도 어느 동에 속하느냐에 따라

사람들의 인식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사소한 것들까지 전부 투자에 반영해야 한다.

(ex. 대림동 vs 신도림동)


지금은 좋은 아파트를 싸게 살 수 있는 시장이기 때문에

투자금이 더 들더라도 조금이라도 더 좋은 곳이 우선순위가 되어야만 한다.


입지가 좋은 곳은 장기보유(가치성장투자)

입지가 안 좋은 곳은 연식빨이 먹히는 시점에 매도 후 갈아타기

와 같은 전략을 세우고 접근해야만 한다.



의미없는 경험은 없다


월부에서 투자공부를 하면서,

나는 하락장에서도 계속 꾸준히, 묵묵히 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점점 흥미를 잃고 미루는 습관이 많아졌는데

그 원인이 지금의 경험들이 어떤 의미를 가질지에 대해서

연결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였던 것 같다.


루틴과 환경의 중요성을 수백번 들었지만

'꾸준히' 무언가를 한다는 건 정말 힘든 것 같다.


항상 지금 독강임 하는 것이 나의 투자와 직접적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믿고

실수하고, 넘어지더라도 성장통으로 생각하며

내가 좋아하는 것과 행복해하는 것을 발견하는

행복한 투자자가 되어야겠다!!


댓글


CANI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