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서기13기 5252못말리는아가씨~ 매월] 2주차 강의 후기

24.06.18

안녕하세요 매월입니다


2주차 서울투자기초반 강의 후기 남겨봅니다


실준반 이후 정말 오랜만에 주우이님 강의를 듣게 되었습니다.

주우이님 너무 반가웠습니다 ~!



강의에서 좋았던 점

지방에만 앞마당이 있어서 서울을 제대로 바라보는 법을 몰랐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 어느 정도 서울을 보는 눈을 키우게 되었습니다.


아쉬운 점

강의에서 나오는 예시 지역이 아는 지역이 아니라 와 닿지가 않았고 강의에 집중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이는 지투기도 마찬가지였는데요

사례 위주보다는 일반적인 내용을 간략하게 강의하고 강의시간과 비용을 줄이는 것은 어떨까? 하는 생각을 잠시 했습니다.


배운 점

1.같은 지방 광역시라도 부산이나 대구와 같은 대도시는 땅의 가치가 높고, 반면 대전과 광주 같은 곳은 상대적으로 입지독점성이 약하다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2.아파트 가격이 반응하는 순서도 이번 기회에 확실하게 짚고 넘어갑니다

3.불수능과 전세가의 상관관계

4.한강 뷰라고 다 같은 가치를 갖는 게 아니다.

5.재건축에 대해 잘 배워가는 것 같습니다. 대지지분과 용적률의 의미에 대해 다시 한 번 배워갑니다. 예전엔 단순히 용적률만 봤다면, 재건축 후보인 구축에서 대형평형이 많은 단지가 왜 의미가 있는지 알게되었습니다

6.서울도 오래된 주복은 선호도가 떨어질 수 있고 적당한 시기에 매도를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배웠습니다. 지방에서만 주복을 보수적으로 보는 게 아니라 서울도 마찬가지라는 점이 새로웠습니다.

7.전고점만 보고 가치를 판단하면 안 된다는 것. 세대수가 적은 단지는 거래가 활발하지 않아 전고점이 제대로 찍히지 않았을 수도 있다는 걸 배웠습니다. 그래프는 검증 용도로만 활용!!

8.서울의 입주물량은 서울 전체에 크리티컬한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우선 주변과 인구교류가 큰 지역에서는 눈여겨보고 리스크를 대비해야겠다.


궁금한 점

강남으로 향하는 선호노선의 가치는 충분히 이해는 갑니다. 하지만 그 외에 노선에서 역세권의 의미는 어떨지 궁금증으로 남습니다. 예를 들자면 같은 구에서 비선호 노선의 역세권과 역세권은 아니지만 환경이 좋은 곳 중에서 사람들은 어디를 선호할까? 하는 궁금증입니다.


느낀점

저는 실거주 갈아타기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서울 수도권 앞마당은 하나도 없는 상황이라 미루고 미루다가 이번 기회에 수강하게 되었습니다.


서울은 뉴타운(재개발), 재건축 이슈가 지방에 비해 매우 많다고 느꼈습니다. 이 이슈들이 전세가에 영향도 미치기 때문에 저희 같은 전세투자자들은 재개발과 재건축으로 인한 환경개선 효과 외에도 기존 거주자들의 전세수요도 신경 써야 한다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투자에서 고려해야 할 건 많지만, 이번 강의에서 느낀 점은 단순히 신축 혹은 입지가 좋은 곳이라고 투자를 결정하는 게 아니라, 현 시점에서 투자금과 향후 전세가격이 좀 잘 받쳐 줄지, 그리고 땅의 가치가 있는 곳이라 가치성장투자가 가능할지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 비교평가 과정이 쉽지만은 않겠지만 계속해서 비교평가를 하고 투자를 고민하는 시간을 가진다면 언젠가는 비교평가가 수월해질 날이 올거라 생각합니다.


이번에 서울 4급지인 동대문구를 선택하였는데, 더 욕심이 생깁니다 ㅎㅎ

다음번엔 급지를 올려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매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