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마지막! 투자할 수 있는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주우이, 양파링, 잔쟈니, 권유디

안녕하세요 자몽주스입니다.
이번 3강에서는 서북권과 동남권 자치구 두 곳에 대한 지역분석이 있었습니다.
자모님께서는 이번 강의에서 지역분석의 중요성과 순서를 알려주셨습니다.
(임장은 그 지역에 깊게 파고드는 장점이 있지만, 그것이 맹점이 될 수 있다는 시각도 새로웠습니다.)
실전준비반에서도 임보를 쓰는 방법을 익혔지만,
자치구별로 인구, 직장, 교통, 학군, 환경을 어떻게 분석해나가는지 실제로 적용해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ㅇ 인구
특히 임보 인구 파트는 첫 앞마당에서는 그래프를 갖다 붙이고 끝났는데,
2강 주우이님의 구별 연령별 특징, 3강 자모님의 인구수, 세대당인구수 분석법을 통해서
숫자와 그래프에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지역 사전분석이 임장지에서 일맥상통하는 것을 발견했을 때 그 기쁨이란!)
ㅇ 직장
부동산에서 직장이 주는 힘이 크다고는 알고 있었지만, 강서구가 왜 4급지 내에서도 눈에 띄는 가격상승을
이룰 수 있었는지 비교 사례를 통해 체감할 수 있어 좋았습니다.
그리고 단순한 근로자 수 뿐만 아니라, 500인 이상 대기업 수, 산업별 사업체 수까지
분석하는 것을 통해 직장의 양뿐만 아니라 질까지 분석하는 법을 배웠습니다.
실전준비반에서 기초를 다지고, 서투기를 통해 살을 붙이는 심화학습이 되는 것 같아 좋았습니다.
ㅇ 교통
교통 역시 모든 구에서 다 중요한 거 아니야~?라는 생각을 버릴 수 있었습니다.
자체 업무지구를 가진 곳은 (교통이 조금은 떨어져도 - 직주 근접이 가능하므로 - ) 학군, 환경이 중요한 반면,
전형적인 베드타운으로 업무지구가 없는 곳은 교통, 역세권 여부가 중요하다는 시각이었습니다.
ㅇ 환경
백화점, 종합병원도 물론 중요하지만 택지, 커뮤니티 여부가 환경에서 중요하다는 생각을 가져가야 겠습니다.
다음으로는 투자의사결정 프로세스 순서입니다.
수많은 단지들이 머릿속에 날아다니는 상황에서
1. 지역 내 비교평가
2. 지역 간 비교평가
3. 투자 의사결정
현재는 1번도 안 되어 있는 상황에서 욕심을 부려 2번도 같이 하려고 있는데요.
차분히 1번부터 해내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저평가 여부(싼가, 비싼가)와 리스크 대비가 가능한가 여부는
언제나 마음 속에 새기고 모든 의사결정의 기준으로 삼아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