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서울투자 기초반 - 올해 안에! 내 종잣돈에서 가장 좋은 서울 아파트 찾는 법
월부멘토, 주우이, 양파링, 프메퍼, 권유디

지금은 겨울, 가격이 다져지는 때이니 거북이처럼 생각하고, 토끼처럼 행동하자.
이번 강의에서는 앞마당이 아닌 송파구, 강동구에 대한 분석을 해주셔서, 앞으로 앞마당을 만들 때 벤치마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인구수와 세대당 인구수에 따른 거주 선호도, 대기업을 품고 있는 것이 얼마나 유의미한지도 짚어주셨습니다.
강동구는 강남으로의 교통접근성은 떨어지는 반면, 환경적인 요인으로 3급지 위상을 가지고 있고,
관악구는 2호선으로 강남 교통접근성은 그 어느 4급지 보다 뛰어나지만, 균질성과 환경적인 면에서 약점을 가지고 있어, 4급지 중에서도 낮은 위상인 듯 합니다.
특히, 이번 강의에서 우리가 왜 투자 범위에 들어오지 않을 수 있는 상급지를 봐야 하고 (2-4급지에 투자금으로 저평가 단지 찾기) 또, 앞마당에서는 투자 우선순위 외에도 투자 후순위 단지까지 알고 있어야 하는지(상승기에 투자할 수 있음), 간과했던 부분을 알려주셨습니다.
상승은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에, 같은 투자금으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를 얼마나 많이 알고 있느냐에 따라, 하락장, 보합장, 상승장, 그 어떤 시장에서도 투자를 할 수 있도록 대비하려고 합니다.
좋은 입지 + 신축 -> 낮은 입지 + 신축(전세가) -> 높은 입지 +구축
모든 입지 조건을 다 갖춘 (직장, 교통, 환경, 커뮤니티) 곳이 아니라, 투자 선택을 할 때, 어디가 더 많은 입지 조건을 가지고 있는지를 보고 선택, 아이를 키우는 세대가 살고 싶어하는 단지는 어떤 단지인지 보편적인 선호를 기준으로 단지를 비교하는 것을 잊지 말아야 겠습니다.
"4급지 59 신축은 절대가가 11억대, 이들의 비슷한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3급지는 어디인지 알아야 한다"고 하셨는데, 4급지에 투자 계획을 갖고 있는 제가 명심해야 할 부분 같습니다.
마지막 강의에서 투자 결정하는 프로세스는 그대로 따라하기만 해도 투자 실패할 가능성은 없을 듯 합니다.
어느 단지가 같은 투자금으로 더 나은 선택인지, 혹은 더 나은 입지에 투자하기 위한 목표 매수가를 얼마로 잡을지 결정 한 뒤, 저평가와 리스크 여부 이 두가지를 충족할 때 투자 결정해야 하는 점은, 매 강의에서 나오는 중요 포인트지만, 한 번더 강조해 주셔서 좋았습니다.
BM:
댓글
미쉘P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