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지속의 아이콘이 될 지꿀입니다 🍯
조장 활동을 하면서 너무나도 감사한 시간, 오늘은 조장 튜터링데이가 있었습니다:)
저스틴이버튜터님께서 4시간 동안 하이텐션을 유지하며 튜터링을 진행해주셨어요.
조장 OT때부터 굉장한 텐션이 느껴졌는데, 역시 찐이셨습니다.
✔ 조 활동을 잘 하기 위한 방법
✔ 투자를 위한 꿀팁
크게 이 두가지 주제로 진행되었고, 결코 아깝지 않은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매주 했으면 좋겠네요 튜터링~~😉)
아래에 자세하게 소개드리니, 지기 활동 하시면서 꼭 도움 되셨음 좋겠습니다!
One team이 되기 위한 조 활동
오늘의 핵심 키워드는 One team 이였다고 생각해요.
조 운영을 하며 조장님들이 가졌던 고민들은, 내용은 달랐지만 결국 방향은 같았어요.
모두 One team이 되기 위한 고민들이었으며, 아직 그러지 못한 상황이기 때문에 어딘가 부족하다고 느낀 것 같아요.
왜 One team이 되어야 하는가?
조에 소속은 되어 있지만, 각개전투로 조 활동을 하며 자신이 원하는 스케줄대로 혼자 임장을 하는 분들이 종종 계시다고 하는데요, (다들 잘 아시겠지만) 혼자 하면 임장 난이도는 더 올라감에도 그 결과물은 더 안 좋았다는 것이튜터님께서 활동을 해오며 체감하신 결론이라고 합니다.
결국 함께 하는 것이 누군가에겐 비효율적으로 보일 수도 있겠지만, 결과적으로 더 효율적이라는 말씀을 해주셨어요. 이 뿐만일까요? 효율을 떠나서 오래 살아남으려면, 그리고 그 과정에서 보람을 느끼기 위해선 One team이 되어야 한다는 말씀을 여러 사례에 대해 설명해주시며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셨습니다.
어떻게 One team이 될 수 있는가?
같이 있던, 부득이 따로 있던 ‘항상 함께하고 있음’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에요.
구체적인 여러가지 방법들을 아래 적어두었으니, 조장님들, 조원님들 모두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네요!
조 운영 꿀팁
✔ 단임시 체크리스트를 해야하는 이유
처음 단임을 하면서는 어떤 걸 봐야 하는지 모르므로, 체크리스트를 따라가며 각 요소를 왜 봐야 하는지?
→ 왜? 어떻게 적용하는지? 인지에 대해 고민해보기 위함!
✔ 단임 효율적으로 하는 법
선택과 집중. 다 볼 수 없다면 좋은 것부터 덜 좋은 것으로 내려가며 볼 것
개당 10~15분 내 + 이동거리 계산하여 스케줄 세우기
✔ 너무 먼 생활권 도보로 가야하는지?
중간에 상권 등 볼 것들이 있다면 걸어간다
중간에 논밭 뿐이면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간다
→ 가치에 영향을 줄만한 요소가 있는지? 보는 것이 포인트!
✔ 단지임장시 조원들이 다함께 임장하기 어려운데, 단합 할 수 있는 팁은?
소음이 아닐까? 생각이 들 정도로, 멀리 있어도 함께 있는 것처럼, A to Z 모두 다 공유하기!
✔ 조원들과 함께하는 매임 꿀팁
유경험자가 1명씩 짝 이뤄서 함께하기
투자고민 상담
✔ 날라가 버릴 것 같은 시장, 조급해하지 않고 투자하는 법
원하는 매물이 이해당 매물+2개 더해서 최소 3개를 동시에 볼 것.
→ 선택지가 많을수록 마음은 고요해진다
Zoom in과 Zoom out을 번갈아 하며 가장 좋은 선택을 계속 찾아볼 것
→ 한 곳에 매몰되어 있으면 사고도 함께 좁아지므로, 나의 앞마당 전체를 함께 봐야 함
✔ 구축아파트의 투자가치 판단하는 법
구축은 주민들의 모습, 외제차 등을 보는 것이 좋음
마늘 까고 있는 할머니들, 장기 두는 할아버지들…
→ 분위기에서 느껴지는 선호도를 파악하고, 매임을 통해 더 깊이있게 파악할 것
✔ 적정 전세가인지 감 잡는 법
전세가 비교평가하기★
전세가 전저점을 리스크수준으로 보고 역전세 대비하기
✔ 분양권투자의 리스크는?
전세금 감잡기가 어려운 것이 리스크!
다만 충분히 싼 기회가 있고 나의 자금이 된다면(전세리스크 대비가 된다면) 투자가치는 있을 것
✔ 선호요소를 가지고 가치평가 하는 방법은?
정량적 가치판단법은 없음. 보다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 선호도를 느끼는 것
상-중-하 정도로 대략적인 선호도를 나누기, 그 ‘즈음’을 알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하기
결국 앞마당이 많아지면 사소한 비교는 의미 없다는 것을 알게 됨
그 전까지는 해볼 수 있는 것들을 일부러라도 시도 해보며 필요 유무를 몸으로 기억하면 더욱 좋음!
✔ 같은 단지내에서 좀 더 싼거 vs RR 어떤 선택?
내 투자금 내에서 가장 좋은 것 선택!
✔ 매물털기 방법 잘 하고 있는 건지?
매물을 터는 목적은 숨어있는 것 찾기임
매코에서 OK 받은 단지가 있다면 그 주변 단지 다 들어가기 + 나의 타겟매물보다 투자금 덜 들어간 매물 여쭤보기
✔ 마통이 없는 프리랜서가 잔금대비를 하는 방법은?
주전세, 세낀물건 등 ‘전세 맞춰야 하는 리스크’를 헷지할 수 있는 물건 찾아보기
최대한 잔금 할 수 있는 방법 미리 알아보기…(마통 가능여부 조사, 가족찬스 등)
✔ 임대아파트가 많이 포함 된 택지는 투자 관점에서 어떻게 봐야 할 지?
투자에 마이너스요소로 감안해서 보되, 절대적 요소일지? 에 대한 고민은 임장하며 느끼고 반영하기
✔ 매물털기가 길게 이어지는 과정에서 이전에 털었던 매물이 날라가면 어떡하죠…?
시간 제대로 투입해서, 최대한 보려는 노력해야 함
날아가는 건 내가 확신이 없었던 것이기 때문에 얼른 포기하고 다음 단계로 가야 함
매코에는 하나만 가져가지 말고, 선택지 늘려서 가기
그리고 조급함이 앞설 때일수록 나는 그냥 가격이 싼 것만 보고 있는가? 진짜 가치가 있는가? 를 봐야함
✔ 매임 대상 선정방법
내가 싸다고 생각하는 단지를 우선하여 대상으로 선정
좋은 단지만 보지 말고, 생활권별로 상/중/하위 단지 각각 보는것이 중요
→ 선호도를 이해하기에도 좋으며, 더 많은 기회를 잡을 수 있게 됨
✔ 매너리즘에 빠지지 않으려면?
계속 복기하기!
→ 성장한 점, 부족했던 점 반드시 짚고, 다음 레벨로 넘어가기
✔ 시세트래킹은 필수
시세 감을 잡고 제대로 된 비교평가를 하려면 반드시 시세트래킹을 해야 함!
배운 것들을 이번 한 달 동안 꼭 써먹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버튜터님의 정성 가득했던 4시간, 정말 감사한 시간이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