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3,144건
7년차 투자자가 한 주를 마무리하는 방법 일상이 바쁜 모든 분들과 마찬가지로 나의 한 주 또한 할 일들로 꽉 들어차 있다. 할 일이 많기도 하지만, 하고 싶은 일은 더더더욱 많기에 그날 목표를 다 달성하지 못하고 잠자리에 들 때도 부지기수다. (목표를 모두 다 해내진 못해도, 최소한 가장 중요한 원씽목표 만큼은 대부분 꼭 해내고 자는 편이긴 하다) 그렇게
[주식 투자와 부동산 투자의 차이점] 1. 하락장에서의 가치 주식은 상장폐지가 있어, 보유자산의 가치가 0에 수렴할 수 있다. 부동산은 실제 사람이 거주하는 집, 즉 실물재화로서의 가치가 있고 "전세가격"이라는 하방지지선이 있어 그 가치가 0이 되기 어렵다. 2. 환금성 주식은 환금성이 좋아 (대부분의 경우) 하락장에서도, 손해를 보더라도 팔고자 하면 매도
"이미 1인자인 그들은 왜 쪽팔림(?)을 무릅쓰고 나왔는가" 요즘 즐겨 보는 예능 프로가 있다. 이효리씨가 진행하는 메이크업 서바이벌 경연대회 [저스트 메이크업] 나는 메이크업에 전혀 문외한이고, 예능을 시간맞춰 시청해본 기억은 [무한도전]이 마지막이었다. 그랬던 내가, 전혀 관심분야도 아닌 예능영상을 찾아보게 된 이유는 이미 업계 1인자인 쟁쟁한 참가자들
"확신있는 투자를 완성하는 마지막 1%의 비밀" 똑같은 상황에서 똑같은 경험을 해도 "사람"이라는 필터를 거치는 순간 그 경험은 다르게 자리잡는다. 매물이 팔리고 호가를 높이는 시장에서 어떤 분은 지금 안 사면 영영 안 될것 같아 콩닥거리는 반면 다른 분은 이상하리만치 여유를 부리며 '천천히 차곡차곡 서두르지 말고' 내년 상반기쯤 집 사려구요 말씀하시는 경
구매력 = 자기 자본 + 대출 여력 구매력은 자기 자본과 대출 여력으로 결정된다. 자기 자본이나 대출 여력 모두 근간은 소득에 있다. 30대 맞벌이 부부의 소득을 들을 때 깜짝 놀랄 때가 있다. 그들이 다니는 기업의 실적과 고용 안정이 내가 사회생활을 시작하던 2000년대와 비교해 큰 성장을 이뤘기 때문이다. 기업 경쟁력 강화 ➡️ 실적 개선, 임금 상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