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기 21기 수수수수퍼노5바 은하2] 머리속에 C지역을 스케치해주신 식빵파파님 강의 후기

  • 24.08.23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세상을 이롭게 만들고 싶은 투자자, 은하2입니다.

 

식빵파파님은 지난 5월 지방투자기초반 2강에서 뵈었었는데

흡입력있고 머리에 쏙쏙 들어오는 강의에 저의 조원들 모두 감탄했던 기억이 납니다.

 

이번 지기에서 설명해주신 C지역 역시

제가 가보지 않은 지방 도시임에도 마치 한번쯤 분임을 한듯.. 머리에 쏙쏙 들어오더라구요.

 

앞으로도 식빵파파님께서 지기를 담당해주셨으면 하는 작은 소망을 안고 (읽고 계신가요 월부 관계진 분들?)

3강 후기를 작성해보겠습니다.

 

 

 

인연이 1도 없는 C 지역을 마치 가본듯한 느낌

지난 2주간은 제 앞(반)마당이 강의에 나와

제가 놓쳤던 부분을 체크하며 미시적인 부분을 보완했었는데요.

 

이번 3강에 나온 곳은 가본 적이 없는 지역이라

C지역에 대해 대략적인 스케치를 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그리고 식빵파파님의 설명 덕분에 대략적인 틀은 잡힌 것 같습니다.

 

특히 좋았던 부분은 각 지역을 키워드로 정리해주신 부분이었습니다.

해당 중소도시의 2등 지역구를 ‘1등을 넘본다’라고 설명하시고,

후순위 지역구를 ‘나도 신축이 필요해’ 라고 하셔서

그것만 기억해도 각 지역이 어떤 특징인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지난 5월에서는 모 광역시의 한 구에 대해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라고 하셨는데

덕분에 아직까지도 그 지역의 특징이 머리속에 남아있습니다.

 

키워드로 정리하는 각 지역구의 특징,

머리속에 쏙쏙 들어와 더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임보의 각 장표를 투자와 연결하기

첫 임보를 작성할 때 완수하는 것에 급급해서 투자와 연결짓지 못하고

장표만 채웠던 과거의 제가 생각납니다.

 

물론 지금도 완벽하게 투자로 연결하진 못하지만,,, 나름 잘 연결하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이번 3강을 듣고 제가 다소 자만하고 있음을 깨달았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정진해야겠습니다..)

 

그 동안 저는 초등학교 학생수를 그냥 “10+40이 많이 사는 지역”이라고만 생각하고

크게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넘겨왔었는데요.

사실 초등학교 학생수라는 단순한 지표 아래에는

“앞으로 학군이 좋아질 지역”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사실 이러한 의문은 예전부터 품고 있었습니다.

지난주 나온 중소도시 B에 대해서도, 지난 임장 당시

 

"전통적인 학군지는  ⓐ 지역인데,

초등학교 학생수가 많은 ⓑ 지역이 향후 학군지가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했지만

 

👉

“학군이라는 건 옮기지 않는 거랬어. ”

라고 가볍게 지나갔던 기억이 납니다.

 

앞으로도 장표 하나하나를 어떻게 투자과 연결해야하는지 고민하고 연습하겠습니다.

깨달음 주신 식빵파파님 감사합니다.

 

BM>임보 장표 하나하나를 투자와 연결짓기. 이를 위해서는 다른 분들의 임보를 많이 읽어야 함

BM>임보 초등학교 학생수 장표에서 “중소도시에서 초등학교 학생수가 의미하는 바”를 생각하기

 

 

시세 한판 정리

 식빵파파님만의 시세 한판정리도 인상적이었습니다.

통상 시세 한판정리라고 하면,

가격대(행)x생활권(열)로 구성되어있는 표였는데

식빵파파님의 시세 한판정리는 지역의 핵심입지(행)x생활권(열)로 구성되어 있더라구요.

 

가격대를 고정하고 가치를 비교하는 방법도 있지만

가치를 고정하고 가격대를 비교하는 분석도 있으며

이 경우 정성적인 부분도 함께 고려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물론 지금은 가격대x생활권의 시세 한판정리에 익숙해지는 과정이라

단기적으로 바로 bm할 부분은 아니지만

장기적으로 꼭 연습해보고 싶은 비교평가법이었습니다 :)

 

BM>장기Bm. 시세한판지도에서 핵심입지x생활권별로 살피기

 

 

시세트래킹

비교분석과 시세트래킹을 한번에 끝내는 트래킹 방법 :)

시세트래킹을 단순히 가격확인용 이라고 생각했는데

 

가치는 보이지 않지만 잘 변하지 않고, 가격은 보이지만 비교적 자주 변하기에

가치는 한번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고

가격은 자주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씀해주셔서

주기적인 시세트래킹의 중요성을 알게되었습니다!

 

또한 말씀해주신 시세트래킹 방법 중 2번(비교평가 표)는 하고 있었지만

전수조사까지 하지 않고 있더라구요,,

 

앞으로는 단순히 표에 그려넣는것을 넘어서

나의 전체 앞마당 중 1등을 뽑아보는 것을 목표로 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BM>임보 마지막에 대표 단지 시세트래킹하고, 필요한 생활권은 전수조사하기

 

 


 

3개월 전 지기 모 광역시에 이어

이번에도 제 머리속에 C지역을 스케치해주신 식빵파파님 감사합니다❤️


댓글


은하2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