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몰입 독서후기[열반스쿨 중급반 39기 39조 사과쨈]

24.08.29

#1. 오르막을 계속 오를 수 있는 방법

인생에서 가치 있는 것, 당신이 소망하고 이루고 싶은 것, 당신이 누리고자 하는 것은 모두 오르막이다. 문제는 사람들 대부분의 꿈은 오르막인데 습관은 내리막이란 사실이다!

본능을 거스르고 기꺼이 오르막을 오를 수 있는 메커니즘은 이 방법밖에 없다. 반드시 오르막 혹은 힘든 시간 후에는 짜릿한 성공을 경험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어야 한다. 

우리가 어떤 일을 하더라도 최선을 다하되, “혼신으로 노력했고 지긋지긋했다!”라는 경험은 피해야 한다. 대신 “혼신으로 노력했지만 좋았다!”라는 경험을 해야 한다. 그래야 다시 그 혼신을 되풀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몰입은 결과에 집착하기보다 공부하는 과정을 즐기며 최선을 다하는 방법이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좋은 결과가 따라온다.

  • 강의에서 들은 반마당 관리법이 생각난다. 반마당이라 할지라도 자기가 실행한 단계까지는 반드시 “정리”가 되어야 한다는 조언이었다. 그런데, 그 조언이 정말 좋았던 것이 경험적으로 알고 있기 때문이다. 뭔가를 실행했지만 마무리가 잘 안 되어 있으면 다시 들추기가 싫다. 그리고 어디서 부터 다시 시작해야 할 지 갈피를 잡을 수가 없기 때문에 막막하다는 부정적인 감정이 든다. 
  • 노력했다면, 반드시 긍정적인 경험으로 끝을 낼 것! 투자든, 공부든, 또는 어떤 일이든 이 교훈을 명심해야 겠다. 
  • 목실감에 적용하기: 노력한 것에 대해 감사의 긍정적인 마음으로 하루를 마무리하기! 그래야 내일 다시 혼신의 힘을 다해 노력을 할 수 있다! 

#2. 내가 바라는 방향으로 삶의 행로를 바꾸는 방법 

궁극의 법칙에 의하면 모든 현상은 가장 확률이 높은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확률에 영향을 비치는 요소를 찾아야 한다. 우리 몸에서 무엇이 내 생각과 행동의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가? 그것은 정보를 처리하고 감정을 처리하는 곳이다. 바로 시냅스다. 시냅스가 핵심이다.

이러한 시냅스 배선은 장기기억에 해당하고 이들은 보통 의식할 수 없는 무의식 상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무의식 상태의 시냅스 배선이 나의 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나의 의식이 다시 무의식에 영향을 미치면서 나라는 사람이 만들어진다. 내 삶의 행로를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꾸려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의도적인 몰입 이론은 바로 의식의 무대 위에 내가 원하는, 혹은 필요로 하는 내용을 올리려는 의도적인 노력을 하자는 것이다. 즉 내 의식의 무대 위에 현재 나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 하나를 올려놓고 스포트라이트를 계속 비춰주면, 나의 무의식에서 그 문제를 해결해낼 탁월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솟아오르는 순간을 분명히 경험할 수 있다. 

  •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에서는 우리가 받아들이는 모든 감각 정보을 필터링하여 뇌에 전달하는 신경회로망, RAS를 내 편으로 만들어야 성공할 수 있다고 했다. 여기서도 시냅스가 핵심이다. 
  • 무의식 상태로 존재하는 시냅스 배선을 통제하려면, 의식의 무대에 내가 원하는 것을 지속적으로 올려놓고 스포트라이트를 계속 비춰줘서 관련된 무의식(=장기기억)을 의식의 무대로 올려야 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내가 원하는 것이 의식의 무대에서 오래, 지속적으로 스포트라이트를 받아야 한다는 것! 
  • 목표에 끊임없이 집중해야 한다! 뇌과학의 지식을 빌리지 않아도 널리 알려진 내용이지만 ‘몰입’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통해서 그 중요성을 다시 생각해 보게 된다. 설명하는 방식은 다르지만, 성공한 사람들이 꼽는 성공의 요건은 참 비슷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만큼 그 부분이 중요하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3. 절실한 목표 설정이 의미를 만든다

위기 상황에 쉽게 몰입하는 것은 위기감 때문이고 오락이나 취미 활동에 쉽게 몰입하는 것은 즐거움 때문이다. 긍정적인 보상과 부정적인 보상이 유도하는 목적지향성은 우리 뇌가 작동하는 기본 메커니즘이다. 그러므로 몰입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위기감을 활용하거나, 재미를 활용하거나) 목적 지향을 이용해야 한다. 

목표를 명확하게 설정하면 목표지향 메커니즘에 의하여 시냅스 활성화가 증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 몸에 입력된 정보의 절실성은 입력된 자극의 세기가 클수록, 정보의 입력이 반복될수록 증가한다. 

몰입을 시도하는 초기 단계에서는 바로 이 목표 의식과 성취 동기를 분명히 하는 과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 위기감: 지금 행동하지 않으면 나의 노후가 위험해 질 수 있다. 
  • 재미: 새로운 투자 지식을 습득했을 때의 기쁨, 발로 밟아본 지역이 내 앞마당이 될 때의 기쁨. 하지만 꾸준히 투자 활동을 지속하려면 내가 배운 것을 바탕으로 투자를 진행하고 거기에서 성공의 경험을 해야 한다! 
  •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 + “몰입”을 적용하여 정보의 절실성을 높이기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일:

    긍정의 언어로 명확한 목표 설정하기, 성공에 유리한 습관 만들기, 확언하기, 아주 생생하게 내가 성공한 모습을 시각화하기 

 


댓글


꼬시
24. 08. 29. 17:58

몰입 1등!!ㅎㅎ 쨈님 고생 많으셨어요!! RSA 개념으로도 몰입을 생각해보니 좋네요 ㅎㅎ책들이 말씀하신대로 통하는 부분들이 많은거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