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5강후기_ 투자금이 0.5~1억일 때 [실전반 29기 촤~ 어느덧 외길 20년, 나는 아파튜🌊만 연구하지👨🏻‍🔬__덤블도어]

  • 24.12.31

 

 

 

투자금 0.5~1억


지금까지는, 이 정도 범위의 투자금에선
지방 투자가 더 유리하다고 생각했다.

 

개인 사정으로 지방 앞마당을 만들 여력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 
지방시장이 수도권 외곽보다 사이클도 더 빠르고 
같은 금액으로 더 신축을 살 수 있기에 (수리비X) 
투자금도 더 적게 들지 않을까? 생각했던 것.
 

그러나 오늘 강의를 통해 
제 아무리 수도권 외곽 구축 59일지라도,
비슷한 투자금으로 지방에서 투자하게 되는 보통 선호도의 84보다
상승 잠재력이 훨씬 크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더군다나 단지의 선호도가 높다면 투자금 회수 속도가 
더 빨라진다는 것도.

 

다음달에 수도권 외곽 앞마당을 계획할 때만 해도,
사실 광역시에 투자하기 전 비교군 용도로 활용하기 위함이 더 컸다.
그러나 이번 강의를 통해 수도권 외곽을 투자후보로
기존보다 더 유의미하게 검토할 가치가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격, 리스크까지 붙혀야 정말 투자를 위한 비교평가다


한동안 단지 간의 비교평가에 집착하던 시기가 있었다.

물론 시장 내에서 단지가 가지는 위상을 고민하며
단지 간의 선호도를 파악한 경험은 유의미했지만,
돌이켜보면 투자보다는 학문적 접근에 가까웠던 것 같다.

실제 투자에서는 가치가 좀 덜하더라도 투자금이 크게 매력적이라면
그 물건이 나에게 투자 우선순위가 될 수도 있는거고,
반대로 모든 조건이 다 매력적이어도 리스크 대비가 되지 않으면 
투자를 진행할 수 없게 되기도 하기 때문이다.

결국, 
단지의 가치, 가격,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비교했을때 
비로소 실제 손에 잡히는 투자후보를 찾을 수 있음을 
이번 강의를 통해 다시금 느꼈다.
 

 


BM


  • 성장이 시간과 비례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인지한다. 
    성장은 계단처럼 정체되어 있다가, 계단을 뛰어넘듯 한 순간에 찾아올 때도 있다.

댓글


하얀라온
25. 01. 01. 00:08

새해 복 많이 받으셔요^^♡

rome
25. 01. 01. 00:44

1)단지의 선호도가 높은 수도권 외곽 구축 59는 지방의 보통 선호도 84보다 상승 잠재력이 높다. 2)단지의 가치, 가격, 리스크를 종합적으로 비교했을때 비로소 손에 잡히는 투자 후보를 찾을수 있다. 성장은 시간과 비례하지 않음을 계단처럼 정체되어 있다 계단을 뛰어넘듯 한 순간에 찾아온다.. 오늘 강의 다 들은거 같네요! 내일 저도 완강 도전 해 볼게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