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님,튜터님,선배님 안녕하세요.
즐거운 연휴 보내시고 새해복 많이 많이 받으시길 바래요^^
항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해주셔서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기본적인 질문이기도 하지만 용기 내서 질문합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저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앞마당을 넓히면서 단지분석 중입니다.
이전 앞마당에 강서구가 있어서 단지를 계속 비교하고 있습니다.
죽전동 현대1차 99년식 702세대 24평과 강서구 방화동 도시개발2단지 2547세대 20평 비교중입니다.
저는 4급지라면 교통이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하기에 역세권의 의미가 크다고 생각하여, 죽전동 현대1차보다는 방화동 도시개발2단지는 9호선 신방화역을 도보로 16분/버스로 11분 이라서 교통이 좋기에 매매가와 전세가가 높다고 생각했고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강서구는 마곡이라는 직장의 접근성이 더 좋다는 것이기에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런데 아실 그래프를 보니 2006~2013년도는 비슷하게 가다가 상승장시 매매가는 도시개발2단지가 더 높게 오르며, 전세가는 항상 현대1차가 더 높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것을 어떻게 해석하는게 나을까요? 그리고 어떤 단지가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부이자님! 잘 지내고 계시죠? ㅎㅎㅎ 꾸준히 앞마당 만드는 모습 넘 존경스럽습니다. 부이자님두 즐거운 연휴 보내시고 새해복 많이 많이 받으셔요! 이번에 수지 앞마당으로 만들고 계시는군요. 강서구랑 비교하시구요. 넘 재밌게 하고 계시네요. 말씀해주신대로, 강서구 도시개발2단지의 경우 5호선 방화역과 9호선 신방화역과의 접근성이 좋아 교통으로 장점을 가지고 있는 단지인 것 같아요. 또 2000세대가 넘는 대단지 이기도 하구요. 다만, 전 평형대가 소형평수로 구성되어 있어서 수요가 좁을 수 있다는 한계와 환금성적인 측면에서 아쉬울 수 있어요. 죽전 현대1차의 경우, 말씀해주신대로, 강서구에 비해 직장와 교통적인 측면이 아쉬울 수 있어요. 다만, 수지 그리고 죽전이라는 괜찮은 생활권을 가지고 있으며, 대청초, 대덕중, 학원가 까지 선호되는 학군으로 보낼 수 있다는 장점도 가지고 있는 것 같아요. 제가 생각하기엔, 2010년도 말 마곡 입주로 인해 도시개발2단지의 가치가 직장측면에서 가치가 높아져 매매가와 전세가가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제가 직접 투자한다고 생각을 한다면, 저는 죽전현대1차를 선택할 것 같습니다. 장점과 단점 그리고 선호도를 생각하기 이전에 '저환수원리' 기준에 들어오는 단지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이 들어서요. 다섯가지 중 '환금성' 적인 측면을 고려해봤을 때, 소형평수인 도시개발2단지의 경우 체크리스트에서 후순위로 생각하게 될 것 같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부이자님의 이야기가 궁금합니다. ㅎㅎ 좋은 질문 너무너무 감사드려요 부이자님! 계속 이렇게 남겨주시면 답글 최선을 다해 달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연휴 잘 보내세요!
부이자님 안녕하세요~ 와, 진짜 열심히 앞마당을 만드시고, 비교평가 해내려는 모습 멋지십니다!! 수지구 임장 중이시죠~ 기존 앞마당인 강서구와 비교를 하고 계신 것 같아요ㅎㅎ 현재 시세가 비슷하여, 어디가 투자로 가치있을까? 생각해보는 포인트 정말 재밌죠. 투자와도 직결되구요. 말씀 하신 것처럼 강서구 방화동의 도시개발2단지는 대단지에 5,9호선 역세권으로 교통이 좋습니다. 바로 옆에 마곡업무지구도 인접하여, 수요가 많은 지역이라고 생각합니다. 죽전현대1차는 수지구에서 죽전에 위치하고, 또 역세권도 아니죠. 하지만 나름 학원가가 인접하여 있는 단지이기 때문에 수요가 있습니다. 죽전 생활권은 20평대 수요가 나름 높기도 하구요 ㅎㅎ 제 생각으로는 4급지의 중요 요소인 교통, 그리고 직장 인접성을 갖춘 강서구 도시개발2단지 19평형이 가치적으로 우위라고 생각합니다. 업무지구와 9호선 개통으로 입지요소가 확실히 개선된 요소가 바탕이 되어 상승장에 힘을 더 받을 수 있었구요. 하지만 전세가는 실제 거주하는 수요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다양한 가치가 추가됩니다. "평형", "연식", "정주환경", "대체 가능성" 등등이 있어요. 그리고 추가적으로, 수도권에서도 공급에 따라 전세가가 권역별로 차이나기도 합니다. 이런 점에서는 24평에 방3개,연식도 더 좋고, 정주환경이 더 갖춰져 아이를 키울 수 있는 죽전현대1차가 우위라서 전세가가 더 높게 형성된다고 생각합니다. 매매가는 같은데, 전세가는 차이가 나니 현재 같은 가격인 두 단지에 들어가는 투자금은 다르게 되겠죠! 그래서 저는 이런 현상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편입니다. 아, 현재 비슷한 매매가의 A 단지의 가치는 이러하고, B 단지의 가치는 이러하구나. 그런데 OO의 이유로 전세가는 B단지가 더 높네? 그럼 투자금은 B단지가 더 적게들겠구나! 내 투자금이 한정적이라면, 더 좋은 가치의 단지와 투자가능 단지는 다를 수 있겠다. 이런 프로세스를 따라 생각해보고, 여기에 더 깊게 들어가면 "평형의 수요" "앞으로의 전세 상승율" "연식에 따른 수리비" 등등 다양한 비교가 가능하게되겠죠. ㅎㅎ저의 답변이 이해가 되셨을까요? 좋은 질문으로 항상 성장하고자 하는 부이자님 화이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