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인 사정으로 월부 생활을 반년 넘게 쉬었다가
나의 목표를 떠올리고 다시 돌아오게 되었다.
그래도 작년에 비해 종잣돈도 꽤 모였고 목표에 대한 동기부여도 확실해진 상황이라
작년보다 상황이 나아졌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번 년도에는 내집마련을 목표로 직장과 투자, 라이프를 적절히 조절하며
매일 한걸음이라도 앞으로 나아가려 한다 :)
내집마련 중급반 재수강이 나에게는 그 시작이 되리라 믿는다 !!
과제1. 오프닝 강의 수강 후기 작성
수도권은 땅을 사는 것이다.
→구축이어도, 작은 평수여도 강남과 가까운 땅을 사야
갈아타기 프로세스
지역의 이미지는 1,2급지에서만 신경쓰고 3급지~ 부터는 이미지를 신경X
→ 수도권 가치판단 순서
(1) 부촌
(2) 강남 접근성
(3) 입지독점성(위치)
(4) 환경 (택지) *택지 = 아파트들이 모여 있는 곳, 빌라 등과 섞이지 X
택지의 힘은 연식, 브랜드만큼 강하다
과제2. 나의 내집마련 목표 세우기
1) 나의 내집마련/갈아타기 목표를 구체적으로 정해보세요. (ex. 서울 00구, 00세대 이상의 주변 환경은 어떻게 조성되어 있는 아파트에서 살고 싶습니다. 이유는 -)
* 네이버 부동산에서 내가 정한 목표와 근접한 아파트를 직접 찾아보면서 구체화해보세요!
부산 동래구 / 수영구 / 연제구 + 500세대 이상 + 택지 환경 + 역세권
직장까지의 교통 환경이 편리하고 주변 아파트와의 커뮤니티 환경이 조성될 수 있는 택지 환경
주변에 산책, 여가생활이 가능한 공원 또는 하천 또는 스포츠시설 등이 갖춰진 곳
서울 4~5급지 (구로구, 서대문구, 은평구, 관악구, 동대문구 등) + 택지 환경
앞으로 오를 단지
실거주 or 투자 목적
2) 오프닝 강의를 듣고, 나의 내집마련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더 상세히 배우고 싶은 부분을 정리해보세요!
나의 예산으로 가장 오를 단지, 또는 거주 환경이 좋은 단지 고르는 법을 배우고 싶고
서울 / 부산 지역에서 핵심 지역이 어디인지, 수도권과 지방에서 주요하게 봐야할 요소는 무엇인지 정리하고자 합니다.
강의 뿐만 아니라 조 활동을 통해서는 혼자서도 임장하고 보고서를 쓸 수 있도록 습관을 형성하고
조원들의 목표를 들어보면서 제 상황에 맞는 목표를 재점검 하고 느리더라도 천천히, 꾸준히 목표를 향해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을 얻고 싶습니다 :)
댓글
한거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