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버는 독서모임-북극광] 부동산 트렌드 20205 독서후기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 김경민

저자 및 출판사 : 와이즈맵

읽은 날짜 :  2025. 01. 31 ~ 2025. 02. 02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 인플레이션    # 공급절벽   # 가격 확산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What I seewhat I learn
p 39한강 이남 지역에서는 수도권으로의 가격 확산이 활발히 진행 중인 반면, 한강 이북 지역에서는 이런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각 지역의 일자리와 직주근접성에 비롯된다.부동산 가격 움직임은 직장(업무지구)이 어디에 있는지와 직장 접근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p44수지구의 누적 상승률은 강남구나 분당구에 비해 현저히 낮은 편이다. 그 이유는 수지구 주변에 새로운 아파트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기 때문이다. 직장의 접근성이 뛰어나더라도 주변에 아파트를 지을 빈땅이 많다면 상승률이 빈땅이 없는 지역과 현저하게 차이가 난다. 입지독점성을 꼭 기억해야한다.
p 78 변화는 언제나 누군가에게는 위기가 되고 또 다른 사람에게는 기회가 된다. 서울시 주택 가격 상승을 비롯해 공급 부족이 불러올 효과를 인지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의사결정을 해야 할 것이다. 시장의 변화를 알아차리고 기회를 잡기 위해 미리 준비해야한다.  
제대로 된 앞마당을 만들었다면 주저하지 말고 투자를 진행해야 할 때이다. 
p 107결국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구매력 하락을 방어할 수 있는 최고의 수단은 부동산이다. 주택 가격은 일반적으로 인플레이션과 함께 상승한다. 가장 강력한 인플레이션 햇지 수단이 부동산임을, 미국 주택 시장이 다시 확인시켜주고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주택 가격은 상승한다. 시간이 지나며 가치가 떨어지는 돈을 좋은 자산으로 옮겨두어야 한다. 
p 151동북권과 서초구에서 나오는 물량이 전체의 79%다. 그렇다면  서울 서쪽 지역의 구는 절대적으로 입주물량이 부족한 상황에 처할것이다.동북권과 서초구 구축에 기회가 있듯이 서울 서쪽 지역에서 입주물량 부족으로 매매가가 오르기 전 전세가가 올라가면서 기회를 줄 수 있다. 

 

: 강사님들이 해주시는 강의내용과 비슷한 부분이 많아 쉽게 책을 읽을 수 있었다. 

주식에서 이용하는 장 단기 이동평균선을 부동산에 접목하여 부동산 흐름을 설명하는게 색달랐으며 데이터에 기반한 내용은 부동산 흐름을 아는데 활용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든다. 

그리고 서울 12개 대장 단지에 대한 상세 리포트를 한번에 읽을 수 있어 좋았다.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월부은
 


댓글


북극광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