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주식 등 금융상품에 대해서는 무지였던 제게 어떻게 수익률을 높이면서 절세를 받을 수 있는지
알기 쉽게 설명해주셔서 너무너무 좋은, 피와 살이 되는 유익한 강의 였습니다.
NAV를 확인하며 매수할 필요가 있으며, NAV보가 지나치게 비싸게 사는 것 주의.
괴리율이 1% 초과하는 가격에서 매수하지 말것.
2. 더 저렴하게 매수하는 ETF 선택법
ETF비용은 투자자가 별도로 지불하지는 않지만, 순자산가치(NAV)에 포함되어 수익률에 영향을 미침.
(비용의 차이가 성과차이로 이어질수 있으며, 장기 투자시 기하급수적인 성과 차이로 나타나게 됨)
3.ETF 관련 세금
1)연금저축계좌
납입한도: IRP와 합산 연간 1800만원(이체만으로 세액공제 받음)
세액공제: 세전 총급여5500만원 초과시 13.2%( 최대 118.8만원)
세전 총급여 5500만원 이하 16.5%(최대 148.5만원)
*결정세액이 존재하는 만큼 돌려받을 수 있음
중도인출 가능 - 기타소득세 16.5%
(인출 순서 - 세액 공제 받지 않은 원금→세액공제 받은 원금→매매차익→배당금)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 비과세
2)ISA계좌
일반형: 세전 총급여 5000만원 이하( 혜택:비과세 400만원, 초과시 9.9% 과세)
서민형: 서민형 대상자 외(혜택:비과세200만원, 초과시 9.9%과세)
세액공제: 만기자금 연금계좌로 이체시 총 금액 중 10%(최대300만원)에 대해 세액공제
손익통산 있음.
*최소가입기간: 3년(이후에는 연금저축계좌로 이전)
해지: 3년 경과되고, 비과세 혜택(200만원 또는 400만원) 받을 수 있는 시점이 좋음.
3)IRP계좌
소득 있는 자가 가입가능함.
세액 공제 한도: 연금저축계좌와 합산하여 연간 900만원
안전자산 30%유지 해야함.
중도인출이 까다로움
일반적으로 결정세액이 커서 세액공제가 많이 필요한 경우, IRP계좌 납입을 권장함
4. 어떻게 투자해야 더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을까? S&P500
하락한 뒤 매수보다 단순적립식 매수의 성과가 더 좋다.
매수할지 말지 고민이 된다면, 매수하는 것이 합리적(1년간 투자 가능할 때)
오랫동안 보유할 수록 수익의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무리 고점에서 매수해도 기다리면 결구 수익이 난다.
위에 요약한 바를 올 한해 철저히 적용해서 내년 연말정상시 세액공제는 물론, 수입도 창출해서 모두게 자랑하고 싶습니다 ~~
댓글
제이미몽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