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계약부터 전세까지 실전투자 A to Z
게리롱, 양파링, 식빵파파, 주우이

안녕하세요.
나와 타인의 꿈을 지지해 줄 수 있는 부자를 꿈꾸는 쿳쥐입니다.
이번 열중 3주차 강의는 식빵파파님이 비교평가에 대해서 아주 시원하게 싹싹 긁어주셨어요.
그동안 이게 맞아? 이건가? 이건 어떻게 하지? 하는 부분이 있는데 나조차 말로 잘 물어보고
애매한 그런 부분들이 싹 해결이 되었어요. 진심으로 감사합니다.
비교평가 그 자체 뿐만 아니라 그 비교 평가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이 있다는 것.
비교 평가를 하기 전에 먼저 시장에 대한 진단을 먼저 하고, 그에 따라 투자우선순위를 결정해야 한다는 것이
저는 정말 놀라웠습니다. 상대적 저평가 시장인지, 절대적 저평가 시장인지, (나중엔 시장이 상승장일 수도 있겠지요)
그러면 투자 방향을, 포커스를 싼 것.에 둬야 할지, 더 좋은 것에 둬야할지.
그리고 강의를 들으며 이 시장에 대한 전문가의 진단을 레버리지 할 수 있다는게 얼마나 축복같은 일인지를 깨달았습니다.
비교평가를 이용하는 때에 관해서
저는 비교 평가를 하는 것은 매수 전, 혹은 1등 뽑기 전 이라고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매도 전, 물건을 지켜야 할 때도 이 비교평가를 사용한다는 것이 이번 강의의 가장 큰 수확입니다. 내가 팔고 싶을 때, 아니면 팔아야 하는지 고민이 생길 때 적용해 볼 수 있는 나만의 무기가 생겼습니다. 든든 든든.
비교평가할 때 꿀팁들
-비교평가 단지는 다 하지 말고, 전고점 대비 많이 떨어진 애들 위주로 해도 됩니다. 우리가 살 단지는 싼 단지니까요.
이 사실이 저를 참 편하고, 안도하게 합니다^^
-각 단계별 1,2,3,4등을 계속 조절하고 조절해서 뽑으면 됩니다. 이때 꼭 1,2,3,4가 아닌 1,1,1,4도 가능합니다. 비교평가에서 동급이 나올 수도 있다는 것, 이것도 마음을 편하게 합니다^^ㅎ
-안될 때는 “나라면 어디 살고 싶을까?”를 생각해봅니다. 부동산은 인문학이라 계량되지 않는 것. 이것도 마음 훈훈.
시세트레킹을 해야 하는 이유
김승호 작가님도 돈의 속성에서 자신은 부동산은 아침마다 매일 트레킹한다고, 지나온 가격은 알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하셨는데 같은 말씀을 식빵파파님이 해주시더라구요.
가격은 구름 같아서 아까 구름을 볼 수 없다. 그 비유에 혼자 스카에서 “아”하고 놀랐습니다. 흐르는 가격의 변화는 계속 지켜보지 않고서는 사라져버려 알 수 없습니다. 나중에 아실이나 실거래가를 보면 이미 늦구요.
게다가 전세가는 계단식으로 훅. 오른다는 사실. 껄무새가 되기 전에 반드시 시세를 지켜봐야겠습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이 아닌 싼 것을 투자합니다.”
“조급함에 쫓겨 투자 의사 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투자 기준을 가지고 투자를 하면 잃지 않는,
그리고 안전 마진을 확보한 투자를 할 수 있습니다. ”
댓글
쿳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