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것, 느낀 것]

  1. 강의의 핵심: 선택(거주보유분리, 내집마련, 투자)기준과 비교평가(내 돈으로 살 수 있는 후보 단지 중 최선의 것)
  2. 서울 수도권에서 집을 고르는 기준(직, 교, 학, 환)을 가지고 집 선택하기
  3. 범위(사도 되는 것, 사면 안 되는 것), 가격(너무 비싸지 않은 가격, 10년 동안 지킬 수 있게), 비교평가(입지, 단지선호도), 방법(거주보유분리, 실거주, 투자)
  4. 환경은 젊은 가족세대가 살고 싶고 머무르고 싶은 상권과 거주환경(백화점, 대형마트, 쇼핑몰, 스벅, 택지)을 기준으로 본다
  5. 학군은 초+중+학원가→ 내집의 자산적 가치를 올려주는 중요한 마지막 ‘점’
  6. 지역내 생활권과 선호 차이가 크지 않다면 상급지를 선택하는게 좋다. 장점이 많은 단지 선택
  7. 교통 입지가 가장 중요
  8. 1차 대상단지 필터링 후, 후보 단지 선정시 소거법으로(세대수, 전고점, 입지, 환경), 우선 남길 대상 범위 기준(10년 이내, 전고점, 역세권, 아파트촌, 선호학군, 평당가)
  9. 지역 안에서의 선호단지 알아보는 법-거주민의 특징, 선호요소, 단지의 장단점 파악(구조, 방개수, 주차장, 커뮤니티)
  10. 각 급지별로 선호요소가 다르다. 급지별 선호요소+단지 컨디션 고려해서 단지분석하기(단지별 선호 우선순위 파악)
  11. 상대적 비교로 더 좋은 단지를 선택하되 입지도 약하고 약점만 많은 단지는 주의(약점 보완할 가능성을 살피자)
  12. 가격 협상을 위한 5가지 조건- 가격, 사장님, 매도자, 시장, 후보
  13. 지역간 비교- 같은 돈이면 상위군, 연식보다 입지 우선(물리적 위치도 중요), 2군 이상 차이나면 평형보다 상위군, 비교군의 ‘생활권’ ‘단지선호’ 차이가 크다면 입지, 선호 가치 분석
  14. 현재가치 판단(입지, 단지선호도)→과거시장가치 판단(가격흐름, 전고, 수익)→미래가치 판단(발전가능성, 지역브랜드)
  15. 서울 4,5군, 수도권 4군에서 중요한 것은 1. 교통, 2. 환경(연식)
  16. 최고의 1주택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 1. 단지 시세정리, 2. 천정뚫기, 3. 진짜 가격 찾기, 4. 가족의 안전한 노후와 행복을 지킨다는 목표의식

 

[B.M할 것]

  1.  후보 단지 선정 기준 적어서 적용하기
  2. 단지분석시 급지별 선호요소 파악해 보기
  3. 최고의 1주택을 위한 노력 꾸준히 하기

댓글


단천
25. 02. 23. 12:23

조장님~ 완강 고생 많으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