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전투자경험

취득세 8%, 마음이 어려운 분들을 위한 세금 계산기 [미요미우]

  • 25.02.28

취득세 8%,

마음이 어려운 분들을 위한 세금 계산기 [미요미우]

 

 

안녕하세요. 미요미우입니다.

 

최근 취득세 때문에 투자를 어려워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 것 같습니다.

 

앞으로 투자를 하면 취득세 8.4%를 내야 하는 상황

아직 오르지 않은 지방의 물건을 매도한다면

투자금도 생기고, 취득세도 기본 세율이 되기 때문에

매도 후 갈아타기를 고민하는 분들이 많이 계시는데요.

 

이런 고민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서

매매 가격 별 세금 계산기를 만들어보았습니다.


1. 취득세 계산

 

 

 

흔히 2주택까지는 취득세 1%, 3주택자는 8.4%, 4주택자는 12.4%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매수하는 주택의 금액에 따라서 1,2주택자도 최대 3.3%까지 취득세율이 올라갈 수 있다는 것

알고 계신가요?

 

 

주택을 매수할 때 내는 세금은 취득세와 지방교육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2주택자의 지방교육세는 취득세의 10%이고,

3주택 이상은 0.4%의 지방교육세를 내게 됩니다.

 

 

예를 들어 1주택자가 7.5억원의 집을 매수한다면

취득세율은 2%이므로 취득세+지방교육세는 2.2%입니다.

취득할 때에는 7.5억 X 2.2% = 1650만원의 세금을 내는 것이죠.

 

 

반면 3주택자가 7.5억원의 집을 매수한다면

취득세율은 8%이므로 취득세+지방교육세는 8.4%입니다.

취득할 때 7.5억 X 8.4% = 6720만원의 세금을 내게 됩니다.

 

 

 

2. 중개비 계산

 

 

 

주택을 취득할 때는

부동산 중개비도 발생하기 때문에

이 역시 계산해보아야 합니다.

 

 

매매와 임대차(전세) 계약은

금액에 따른 중개보수비 요율이 다르기 때문에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앞서와 같은 사례를 예시로 설명을 드려볼게요.

7.5억의 집을 매수해서 4.5억에 전세를 맞춘다고 하면,

매매 중개 수수료는 7.5억 X 0.4% = 300만원

전세 중개 수수료는 7.5억 X 0.3% = 225만원

총 525만원이 발생합니다.

 

 

 

3. 취득시 세금 계산기

 

따라서 첨부해 드린 표를 참고하여

투자 대상 물건을 기본세율로 매수할 경우와

8.4%로 매수할 경우의 비용을 계산해보시고

 

지방 물건을 매도한 이후에 수도권 주택을 매수할 것인지

지방 물건을 보유한채로 수도권에 세번째 주택을 매수할 것인지를

판단하시면 되겠습니다.

 

계산이 어려운 분들을 위해

세금 계산기를 공유해드리니 참고해보셔도 좋겠습니다 : )

 

 

 

 


손절하더라도 매도하고 새로운 주택을 매수할지,

기존 주택을 보유하고 취득세를 낼 것인지

명확한 정답이 없는 부분이기에

결국 내가 얼마나 분명한 기준을 가지고 의사결정을 하는지가

중요합니다.

 

 

감정적으로 고민하기보다는

실제로 계산해보고 나온 결과를 토대로

현명한 의사 결정 하시기를 바랍니다.

 

 

여러분의 투자를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 취득세 계산 양식.xlsx

    다운로드

댓글


웬즈데이1
25. 03. 01. 09:04

감사합니다 묘장님♡

부이자
25. 03. 01. 14:13

미요미우튜터님 ❤️ 취득세 관련하여 이해하기 쉽게 양식까지 나눔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초로
25. 03. 02. 08:06

묘장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