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과제 제목: 원씽 독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33기 53조 꿈글렛]
열반스쿨 중급반 독서 후기 작성 과제
STEP1. 책의 개요
내가 읽은 책의 개요를 간단하게 작성해보세요
1. 책 제목: 원씽
2. 저자 및 출판사: 게리 켈러, 제이 파파산
3. 읽은 날짜: 2023.11.21~11.23
4. 총점 (10점 만점): 9점/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몇 가지 핵심 키워드와 함께 내가 책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요약해보세요
[1~3장]
# 단하나 #도미노 효과
성공한 사람들은,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찾고 그 일에 파고들어 집중한다. 한정된 시간과 에너지를 핵심에 집중시켜야 한다.
한 개의 도미노는 그것보다 1.5배 큰 도미노까지 쓰러뜨릴 수 있다. 성공은 순차적으로, 시간을 들여 쌓아갈수록 더 큰 성공을 가져온다. 차근차근 꾸준하게 성공의 도미노 효과를 만들어 내야 한다.
[1부 거짓말]
#우선 순위 #멀티태스킹은 허상 # 습관확립 #66일 #의지력 관리 #선택과 집중 #성장 #잠재력
1부에서는 잘못된 6개의 믿음에 대해 설명한다. 1)모든 일이 다 중요 하다. 2) 멀티태스킹은 곧 능력이다. 3) 성공은 철저한 자기관리에서 온다. 4) 의지만 있다면 못할 일은 없다. 5)일과 삶에 균형이 필요하다. 6) 크게 벌이는 일은 위험하다.
성공한 사람들은 일의 우선순위가 있으며 가장 중요한 일을 중심으로 하루를 계획한다. 단순한 할일 목록의 나열이 아니라, 성공에 가장 중요한 하나를 찾고, 그 일을 달성하기 위한 방향성 있는 성공목록을 만든다.
우리는 한 번에 다양한 일을 하는게 능력 있는 것이라 착각하지만, 실상은 여러 가지 일을 다 엉망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뇌는 한 번에 두 가지 일에 모두 집중할 수 없다. 생명이 달린 중요한 일을 할 때 멀티태스킹을 하면 안 되는 것처럼, 나에게 가장 중요한 일을 할 때 단 하나의 일에만 집중해야 한다.
성공하는 사람들이 철저하게 자기관리를 하며 살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습관을 확립해 놓는다면 쉽게 해낼 수 있다. 삶의 일부가 되는 습관 하나를 만드는데 66일이면 된다. 힘든 일이 습관이 되면 습관은 그 힘든 일을 쉽게 만든다.
사람들은 의지만 있으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의지력은 한정된 자원이다. 마음대로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보호하고 잘 관리해야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가장 중요한 일을 의지력이 충분할 때 가장 먼저 해치워야 한다.
하나의 일에 집중하다보면 다른 것들은 소홀해지기 마련이다. 업무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무엇이 중요한지 선택한 다음 그것을 성취하는 데 필요한 모든 시간을 들이고, 다른 문제는 너무 악화되지 않을 정도로만 가끔식 중심을 잡아주면 된다. 개인의 삶에서는 삶의 각 부분들을 하나라도 놓치지 않도록 중심을 잘 잡아야 한다.
큰 성과를 믿으면 기존과는 다른 질문을 던지게 되고, 새로운 것들을 시도할 수 있게 해준다. 큰 성과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생각하고, 경험해 가는 과정에서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다.
[2부. 진실]
#초점탐색질문 #큰질문 #큰해답 #벤치마킹 #트렌딩
복잡하고 어려운 일을 관리하기 쉬운 조각들로 나눠 가장 첫번째 조각부터 시작하는 것이 성공의 비밀이다. 그리고 초점 탐색 질문을 통해 올바른 방향의 첫번째 조각을 찾을 수 있다. 초점탐색 질문은 ‘나의 단 하나는 무엇인지’에 대한 큰 그림 질문과, ‘큰 그림을 완성하기 위해 지금 당장 시작할 나의 단 하나가 무엇인지’에 대한 작은 초점에 대한 것이다. 초점 탐색 질문은 성공에 반드시 필요한 일, 즉 의사결정을 하게 만듦으로써 선택과 행동에서 모두 최선의 결과를 이끌어 내고, 실행 가능한 것에서 한정 짓는게 아니라 반드시 필요한 중요한 것에 초점을 맞추게 해준다.
“당신이 할 수 있는 단 하나의 일”, “그 일을 함으로써” “다른 모든 일들을 쉽게 혹은 필요 없게 만들”
결과물이 중요한 순간에 초점탐색 질문을 던지는 습관을 갖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질문은 크고 구체적이어야 한다. 큰 질문을 던져야 큰 해답(성공)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답은 당장 할 수 있는 것(doable) / 최대한 힘을 발휘해야 하는 것(stretch) / 가능성이 있는 것(Possibility) 로 나눌 수 있다. 당장할 수 있는 것은 현재 자신의 지식, 기술, 경험의 한계 안에 있는 것이다. 최대한 힘을 발휘해야 하는 것은, 자신이 닿을 수 있는 범위의 가장 먼 곳에 있으므로 이 답을 찾기 위해서는 다른 이들이 이전에 어떤 식으로 해답을 얻었는지 벤치마킹해야 한다. 그 단계에 도달하고 나면, 가능성이 있는 것, 새로운 방향으로의 큰 해답에 다다를 수 있다. (트렌딩)
[3부 위대한 결과]
#목적의식 #우선순위 #생산성 #시간확보(Time blocking)
목적의식은 우리가 어디로 가는지,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목적의식은 자신의 신념을 굳게 믿고 그것을 계속 지켜 나갈 수 있는 힘의 궁극적 원천이다.
목적의식이 확고하다면 그것에 도달하기 위해 ‘해야만 하는’ 행동이 따르기 마련이다. 그러므로 우선순위와 목적의식은 같이 움직인다. 한편, 보상이 너무 멀게 느껴질 경우 그것을 달성하고자 하는 즉각적인 동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현재를 기반으로 한 목표 설정이 필요하다. 즉 최종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장기 목표/중기 목표/단기목표.. 이렇게 세분화하면서 지금의 목표를 찾아 나가는 것이다. 이렇게 ‘오늘’을 ‘내일’과 연결시켜 도미노를 쌓아 갈 때 최종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시간은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지고, 한정적이다. 목적 의식에 따라 선정된 우선 순위. 그 단 하나의 일에서 월등하게 의미 있는 결과가 나온다면, 그 하나의 행동에 월등히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한다. 생산성이 높은 사람들은 단 하나의 일을 중심으로 하루 일과를 계획한다. ‘시간확보’는 시간을 일의 중심에 두는 매우 결과지향적인 방식이며, 해야할 일은 반드시 끝나도록 만드는 방법이기도 하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새롭게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1.나는 많은 일들을 그 중요도와 무관하게 모두 다 해내야 한다고 생각해왔다. 하지만 그것은 불가능하기에 계속 마무리하지 못한 일들을 남겨두는 찝찝함을 자주 느낀다. 내가 하기에 편한 일, 쉬운 일, 흥미가 있는 일이 아니라 목적의식에 부합하는 ‘가장 중요한 일’에 집중하고 그 일을 마무리해야 한다. 이를 위해 매일 아침 하루의 가장 중요한 일이 무엇인지 질문하는 습관을 들여야 겠다.
2. 자신의 에너지를 관리하지 못하는 것도 생산성을 갉아먹는 것이라고 했다. 높은 집중력으로, 생산성 있게 시간을 써나가려면 충분한 수면과 휴식, 규칙적인 식사 및 생활습관이 정말 중요한데 그런 것들에 너무 소홀했던 것 같다. 업무와 투자에 시간을 확보하고, 꾸준히 이어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건강한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 아무 의미없이 보내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건강한 습관을 만들어 나가자.
3. 시간관리방법을 얻는 수익과 연관시킨다면, 업무보다 투자를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맞다. 회사에서 주어진 시간 내에 최대한 효율적으로 시간을 쓰고, 에너지를 아낄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1. 나의 정신적 에너지를 잘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해, 에너지가 충분한 출근 전 두시간을 소중하게 쓰기: 아침일기와 독서
2. 업무 시작 전 업무에 있어 오늘의 ‘가장 중요한 1가지’를 정하고, 그 일에 집중하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적어보세요
(p.80) 당신의 습관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 준다. 당신이 얻는 성취는 한 번의 행동이 아닌 삶에서 만들어진 습관에서 나온다. 선택적 집중의 힘을 이용하여 올바른 습관을 들여라. 그러면 탁월한 성과가 당신을 찾아올 것이다.
(p.96) 하루라는 시간을 투자해 최고의 성과를 얻고 싶다면 의지력이 떨어지기 전에, 당신의 가장 중요한 일, 그 한 가지 일을 일찍 해치워라.
(p.108) 중요하지 않은 어떤 일들을 미완성인 채로 남기는 것은 탁월한 성과를 얻기 위해 반드시 치러야 할 대가와 같다.
(p.136) 앞서 가는 비밀은 시작하는 것이다. 시작하는 비결은 복잡하고 어려운 일들을 관리하기 쉬운 작은 조각들로 나눈 다음, 가장 첫 번째 조각에 덤벼드는 것이다.
(p.177)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어디로 가고 싶어 하는지가 곧 우리의 하는 일과 성취하는 바를 결정 짓는다.
(p.241)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아는 것의 절반은 그것을 얻기 위해 무엇을 포기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다.
(p.248) 개인의 에너지를 잘못 관리하는 것은 소리 없이 생산성을 앗아가는 무서운 도둑이다.
(p.260) 완전히 성숙한 것을 처음부터 손에 넣을 수는 없다. 당신이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은 작은 것과 그것을 크게 키울 수 있는 기회 뿐이다.
댓글
책에서 적용할 점을 실천으로 옮기는게 쉽지만은 않은데, 꿈글렛님 요즘 출근 전 시간을 잘 활용하고 계신 것 같아서 멋지십니다! 앞으로도 응원하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