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5년 현재 서울 수도권 시장을 대하는 투자자의 자세
지역, 입지로 퉁치지말고 단지로 판단하자!
선택의 근거를 가지고 투자를 해야 마음 편하게 보유할 수 있다.
현재 서울 시장은 선호도가 높은 단지들은 이미 빠르게 회복중이다.
‘좋은 것들은 다 올랐잖아’가 아니라 활용할 수 있는 <정답지>가 있다 생각하고,
그 정답지를 활용하여 내 투자에 적용할 수 있는 시기이다!
아직 덜 오른 단지들 중에 가치있는 곳은 어딜까?
지역 내 선호도만 확실히 알아도 좋은 선택을 할 수 있다.
(1)가치를 비교할 수 있는 안목 + (2)투자할 수 있는 현장 대응 능력을 키워서 → 투자로 옮겨야 한다.
“좋은 것 vs 안 좋은 것” 으로 이분법적인 사고는 버려야 한다.
#2. 서울 25개구 입지요소별 특장점 정리
<선호도 = 입지 + 단지>
* 입지
지역 내 위치
를 알고 그 다음 평형,연식,세대수 등으로 더 세밀하게 검토 가능하다.
예) 최상>상>중상>중>중하>하 : 최상의 구축~중하의 신축과 같이 투자 가능한 범위를 충분히 넓게 보자!
1등뽑기 할 필요 없고, 투자가능한 범위의 단지들 중에서 선호도가 더 높은 쪽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무엇보다 내가 투자하기 좋은 조건을 만나는 것이 중요하다.
서울 ㅅㄷㅁ 구축(안쪽) vs 경기 ㅂㅊ 신축(외곽) : 더 입지 가치 있는 걸 선택해야 해
경기도 (외곽) ㅂㄹ 신도시 vs 서울 ㄷㅂ 구축 : 둘다 외곽이고 입지가치 크게 차이 없다면? “신축”
더보자! vs 서울 ㄷㄷㅁ 구축(ㅈㄴ) : 입지로 가즈아!
#서울/수도권에서 가치성장투자의 현실화+무주택자를 위한 방법
무주택자라면, 기술적 대응(현장 경험) 부족 → 우선 전세 빨리 빼기(ㄲ 물건 좋아)
#서울/수도권에서 1주택자가 가치성장투자 하기, 현실적인 소액투자 방법
전세가 매우 부족한 상황. 연식이 좋은 단지일 수록 전세가 빠르게 상승하므로 소액투자 가능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접근한다.
→ 좁은 시야로 현 종잣돈으로만 보지 말 것. 시장의 흐름과 입지,연식에 따른 흐름만 보더라도 내 투자범위에서 충분히 가능하다.
이 물건 전세 내놓으면 얼마에 나갈까요?
매도자분 거주중이시면 날짜 언제로 맞춰야 할까요?
주인분 내려앉으실 생각은 없으실까요?
#서울투자 의사결정법과 지금부터 해야할 것
■ 단지선호도 비교 방법
25년 투자할 수 있을까? 해볼까?
아니, 난 투자해내고야 말거야. 분명.
매 주 일정 달성할 것! 그릿을 가지고 해내보겠습니다 화이팅!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