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원들의 강의를 통해 느끼고 배운점, 그리고 내가 적용해보고 싶은점 위주
- 10년을 기다리는건 굉장히 어렵기 때문에, 가격과 리스크을 담은 비교평가를 통해 스스로에게 확신이 있어야한다.
- 전고점으로 비교하는 한판지도 만들어보면 좋을거같다.
입지가치가 좋은 구축과 입지는 조금 떨어지지만 신축을 선택하는 기준은 나에게 어떤 것이 더 중요하냐이다.
장기적인 가치를 판단할 사람은 입지가치 좋은 구축을 선택할 것이고, 당장의 현금흐름을 더 고려하는 사람은 신축을 선택할 것이다.
- 입주전 신축은 감당하지 던지는 물건에 대한 트래킹, 2년차 물건 비과세 매도 물량에 대한 트래킹 필요
- 앞마당 단지들에 대한 정보 정리후 ‘저평가 점수’라는 깆누을 만들어서, 저평가 판단지표를 정해 가중치를 부여해서 단지들마다 점수를 부여해서 단지으 점수들을 숫자 데이터로 분석해서 얼만큼 저평가인치 수치화하고 파악하기
- 단지분석시 생활권 별로 나눠서 하고, 입지와 신축/구축, 학군 요소에 따라 가격별로 정리를 하고 각 요소별 점수를 매겨서 선호도 도식화를 한다. 한판 선호도 도식화
- 단지 전고, 장점/단점, 이사수요, 단지 임장시 느낌, 전임 정보, 매입정보, 단지 타입별 선호도 적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