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eolbu.com/community/2733630
1. 투자지역 선정
-> 투자코칭을 일찍 받아 투자 지역 범위를 좁혀보자 (기회비용 줄이기)
-> 실전반 환경 이상으로 올라가 튜터님과 생각을 맞춰가며 더 좋은 지역으로 앞마당을 넓히자 (튜터님께서 주신 피드백을 믿고 그대로 앞마당을 넓히자)
-> 정규강의, 지역분석 특강을 통해 강사님과의 지역 선호도를 일치시키자
2. 전임털기+매물임장
-> 현장에 자주 가지 못한다면 전화임장으로 물건을 찾아서 투자 할 수 있다. (파트너가 될 사장님 기록)
-> 같은 물건이라도 여러 부동산에 내놨다면 전체 부동산에 다 전화해볼 수 있지만 투자자가 붙은 줄 알고 오해할 수도 있기에 몇군데만 추려서 해보기 (전체 부동산 전화를 돌린다면 매도자의 상황, 네고가 등 아는 정보가 많아지는 장점이 있음)
-> 입주가 많은 광역시이기에 '전세 맞추기 힘든 지역에서 왜 투자하려고 하냐?"라며 투자를 말리는 사장님도 계셨지만, '오히려 지금이 기회 아니겠냐, 잔금 가능하다. 급매 나오면 바로 연라달라. 저 진짜 할 거다"라며 어필하기
-> 급매 물건 말고도 다른 물건도 같이 예약한 이유는 급매 물건이 진짜 싼게 맞는지, 현재 최저가 물건의 집 상태는 어떤지 비교하기 위함
->투자 우선 순위 단지와 목표 매수가를 설정해야 급매가 나와도 확신이 든다.
3. 전세리스크
-> 저평가가 다가 아니다. 전세 리스크까지 대비해야 나한테 맞는 물건이다.
-> 급매를 놓치지 않고 싶은 마음에 저환수원리를 잊으면 안됨.
4. 중꺽마
-> 보던 매물의 실거래가 뜨는지 확인해보기.
5. 급매를 잡을 수 있었던 이유
-> 전화임장: 투자자에게 냉대했던 지역이라 쉽지 않았지만 10번 전화하면 1곳은 콜백 오겠지, 한 분만 내 파트너로 삼자는 마인드로 무작정 전화 돌리기.
-> 저평가 물건을 찾으면 매코를 통해 거인의 어깨를 빌리기
-> 1호기 경험담 필사: 경험담 레버리지
-> 시세스캐닝: 저가 매물 광고가 없어지면 그 물건 빠졌는지/ 상태는 어땟는지/ 집주인이 깍아줬는지/ 매매물건 괜찮은거 나올거는 없는지 전임하기. 매수 후에도 내 전세매물의 경쟁 매물은 없는지, 경쟁 매물의 상태, 입주날짜, 옵션, 네고여부 파악하기
"투자금이 더 있으면 선택지가 있었을건데 없기 때문에 부족한 만큼 발로 뛰어야 해요. 빈도수를 높이는 수 밖에 없어요. 그만둘까 할때쯤 만나는거고, 언젠가 한 번은 올거 같거든요. 기회를 잡으려면 꺽이지 않는 마음이 필요해요" -센쓰 튜터님-
댓글
꺾이지 않는 마음이 느껴지네요~ 와케님 멋져요~!!^^ 이제 2호기도 바로 준비 하시죠~
꾸준한 공부 최고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