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떠라링입니다 :)
최근 대, 내외적으로 많이들
혼란스러우셨을 것 같아요
24년 12월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어지고 있고
내수 경기 침체, 대출 규제 강화 등
여러 이유들로 인해
부동산 시장 분위기는 침체되었어요
그런데 오늘,
헌법재판소에서 대통령 파면을
인용했습니다
이에 따라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될지
많이들 궁금하시죠?
현재 부동산 상황과
과거 유사 상황 때는 어땠는지
향후 어떻게 될지
이야기 나누어 보겠습니다
매주 임장을 다니고
부동산 소장님과 대화하며
제가 느낀 시장 분위기는
지역마다 편차가 있지만
대체로 차가웠는데요
시장 분위기를 나타내주는
거래량도 그런지 한 번 보겠습니다
25년 1~3월 평균 매매거래량은
4,754건입니다
2월에 6천여 건으로 거래량이 늘었다가
3월이 되자 4,513건으로 줄었어요
9개월 전인 24년 7월
거래량이 9천 건이 넘었던 걸 보면
말 그대로 분위기가 얼어버린 거죠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24년 9월부터 시행된
대출 총량 규제
DSR 2단계 규제 적용
주택담보대출 금리 4%
등이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게다가 풀었던 토허제를
1달만에 재지정하고
대출규제 강화까지
혼란스러운 상황이 이어지며
시장 참여자들은 관망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대통령 탄핵이 선고된 상황에서
미래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흘러갈까요?
출처 : 월급쟁이부자들 TV (유튜브)
미래를 알고 싶으면
과거를 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실 대통령 탄핵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어요
2016년 12월에도
박근혜 대통령 탄핵이
가결된 적이 있었습니다
17년 3월 헌법 재판소의 인용
17년 5월 대통령 선거 진행
문재인 대통령 당선
과거 사례를 비추어봤을 때
탄핵소추안이 가결되고
다음 대통령 선출되기까지
약 6개월이 걸렸습니다
이후 다시 거래가 되기 시작했고
시장은 제자리를 찾아갔습니다
16.12 → 17.03 : 매매 -3%
16.12 → 17.05 : 매매 +1%
16.12 → 17.06 : 매매 +5%
16년 12월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17년 3월까지 계속 하락하다가
17년 5월 선거 진행 이후
집값이 다시 오르기 시작하네요
다른 단지 역시
탄핵소추안 가결 이후
대선을 진행하면서 가격이 조금씩
회복하는 모습입니다
과거 사례를 통해
탄핵 불안정성이 해소되기까지
약 6개월이 걸렸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탄핵으로 인해
추진중이었던 부동산 정책들은
동력을 잃을 확률이 높아요
보유세 부담 완화
임대차 2법 재검토와
재건축 초과이익 환수제 폐지
다주택자 중과세 재검토
이러한 세제 정책은
향후 정권에 따라
정책 방향성이 달라질 수 있겠으나
서울/수도권 공급이
워낙 부족한 상황이다 보니
1기 신도시 선도지구와
3기 신도시 조성
주택 공급과 관련된 정책은
다음 정권에서도
유지될 확률이 높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오늘 탄핵 헌재 판결이
인용되었기 때문에
3개월 이내에 대선이
진행되어야 하는데요
따라서 6월, 7월이면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결될 확률이 높습니다
하지만 다들 아시다시피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결되어도
다른 대, 내외적인 상황 때문에
하락장이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과거 사례처럼
상승장이 시작될 수도 있겠지요
이 얘기는 반대로 말하면
정치적 불확실성이 해소될 때까지
시장 분위기는 침체되어있을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6월, 7월에 부동산 분위기를 보고
집을 사야지 라기보다는
지금이 저렴하게
매수할 수 있는 기회라는 걸
기억하시면 좋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이 글은
월급쟁이부자들 TV 영상을
참고하여 작성했어요
궁금하실 분들을 위해
영상 링크를 공유드릴게요!
지금 이 기회를 잡고 싶은데
어떤 단지를 봐야할지
모르시겠다구요?
정답을 알려드릴게요
멀리 돌아가지 마세요!
서울 유망입지 아파트
TOP30 & 노하우를 들어보세요
아래 사진을 누르시면
링크로 연결됩니다 :)
▼▼▼▼▼
댓글
정치적 불안정성이 해소되기 전이 기회일수도 있겠네요!! 감사합니다!!
오호 시장 분위기 잘 살펴봐여겠네요! 영상도 꼭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주춤하기보다 할수있는 행동을 해야겠네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