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 책의 개요 | ||
책제목 | 그래도 계속가라 | 저자 및 도서 소개 |
저자 / 출판사 | 행북/유향란 | 미국 사우스다코타주 남부 로즈버드에서 아메리카 원주민 라코타족 가정에서 태어남 . 현재 교사 역사가 민간전승을 연구하는 민속학자인동시에 라코타 부족의 전통공예품을 만드는 장인 활동. |
출간일 | 2021.03 | |
쪽수 | P197 | |
2. 나의 한 줄 평 | ||
핵심 키워드 | #포기 #받아들임 #단련 #삶 | |
나의 한 줄 평 | 어떠한 상황에서도 그냥 가야하는 이유 | |
BEST문구 기억저장 | 네 약점을 무시해서도 안돼. 자기 약점 또한 잘 알고 있어야 한단다. 결국 네가살고 있는 그 순간의 너 자신을 받아들이도록 해라. 지혜란 장점만이 아니라 약점 가운데서도 얻어지는 법이니까. | |
핵심BM | 나의 장점 구체화, 약점 구체화 시키기 -> 지혜로 전환 | |
점수 (10점) | 10점 |
책의 요약
1장. 삶이라는 긴 여정에서
인생은 공평하다: 삶의 고난은 누구에게나 찾아오며,
이를 받아들이는 자세가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두려움을 극복하는 삶: 두려움을 인정하고 극복하는 것이
성장의 시작임을 이야기합니다.
2장. 내 자신을 바라본다는 것
있는 그대로의 삶: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것이 중요함을 말합니다.
약점은 또 다른 기회: 약점을 통해 배우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있음을 강조합니다.
마지막, 선택의 순간에서: 삶의 중요한 순간에 내리는 선택이 인생을
결정짓는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영혼을 갉아먹는 오만함: 오만함이 자신과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삶을 맞서는 용기: 어려움에 직면했을 때 용기를 내어
맞서는 자세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3장. 스스로를 단련시킨다는 것
오르막길:
삶의 어려움은 성장을 위한 과정임을 비유적으로 표현합니다.
강인함의 의미:
진정한 강인함은 외적인 힘이 아니라 내적인 힘에서 비롯됨을 설명합니다.
폭풍에 맞서는 방법:
시련에 직면했을 때의 대처 방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참된 강인함은 살아 있다는 것:
살아있다는 것 자체가 강인함의 증거임을 강조합니다.
4장. 고난 속에서 다시 돌아본다는 것
첫걸음:
어떤 변화든 첫걸음을 내딛는 것이 중요함을 말합니다.
눈물은 결코 나약하지 않다
: 감정을 표현하는 것이 약함이 아니라 자연스러운 인간의 모습임을 설명합니다.
절망을 물리치는 법:
절망을 이겨내는 방법에 대해 조언합니다.
다시 떠오르는 희망:
희망은 언제나 다시 떠오를 수 있음을 이야기합니다.
그다음 걸음:
계속해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합니다.
고통 속에 피어나는 한 줄기 빛:
고통 속에서도 희망과 빛을 찾을 수 있음을 전합니다.
5장. 인생을 관조한다는 것
한 번에 한 걸음씩:
삶은 한 걸음씩 나아가는 과정이며,
조급해하지 말고 천천히 나아가야 함을 강조합니다.
6장.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
끈질기게 버티어내는 삶:
어떤 어려움이 닥쳐도 포기하지 않고
버티는 삶의 중요성을 이야기합니다.
3. 책갈피 | ||
페이지 | 본 것 깨달은것 | |
삶이라는 긴 여정에서 | ||
P20 | 삶이 네 여정 한복판에 역경을 가져다 놓았다면 너는 그것으로부터 강인함을 배울 기회를 얻게 된거야. 그것이야말로 눈에 보이지 않는 선물이지. 삶은 그저 삶일 뿐이야. 원래 생긴 대로지. 네가 있든 말든 삶은 그저 계속된다는 점만 빼면 인생에서 확실한 건 아무것도 없단다. | |
진짜 요즘 프메퍼 튜터님이 톡터링으로 마인드 셋팅을 굉장히 강조하시는데, 그거랑 엄청 연결되는 책이라 읽기가 되게 편했고, 두번 리마인드 되는 느낌이었다. 역경이 온다면 그것은 내가 강인함을 배울 기회인것 이다! 선물!!! 이라니~~ 오히려 그런 역경이 없다면 성장할 수도 없을 것이다 라고 반대로 생각해보니 마음이 한결 가벼워지고 피하기보다는 부딪혀 마주할 수 있는 것 같다. | ||
내 자신을 바라본다는 것 | ||
P61 | 네 약점을 무시해서도 안돼. 자기 약점 또한 잘 알고 있어야 한단다. 결국 네가살고 있는 그 순간의 너 자신을 받아들이도록 해라. 지혜란 장점만이 아니라 약점 가운데서도 얻어지는 법이니까. | |
누가 내 강점과 약점을 물어본다면, 그때그때마다 달라지기도 하고 사실 잘 모른다는 생각을 최근에 해본적이 있다. 강점은 뭘까? 그냥 행동으로옮기는 편이다. 많은 고민보다는 일단 해보고 경험해 보자는 무식함이 있다. 이게 업무로 이어졌을때 많은 시도가 내 많은 경험을 만들어냈고 그 중에서 성공하는 공식을 좀 찾아냈다. 스토리를 포함한 한 제조상품을 파는것, 그리고 실마리가 보인다면 바로 띄워서 크기를 키우는것! 이렇게 두가지 강점을 명확하게 이번에 정리하는 계기가 있었다는거 큰 이점인것 같다. 반면에 내 약점도 좀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다. 무론 너무너무 부족한 점이 많지만, 정말 깊게 디테일하게 나무를 파는것이 좀 미흡한것 같다. 개인적으로 숲을 많이 보는 것 같아서, 집요해야하는 끝까지를 어떻게 BM해서 키워야 할지 생각해봐야겠다. | ||
스스로를 단련시킨다는 것 | ||
P87 | 인생의 폭풍에 용감하게 맞설수 있다는 것은 삶의 현실을 받아들인다는 뜻이란다. 나쁜일이 일어나리라는 현실을 거부한다고 해서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수 있는건 결코 아니거든. 강인함이란 삶의 폭풍에 용감하게 맞서고, 실패가 무엇인지 알고, 슬픔과 고통을 느끼고, 비탄의 구렁텅이에 빠져 본 뒤에야 얻을수 있는 것이란다. | |
삶의 폭풍을 그대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것, 피하지 않고 직시하는 것!! 이를 통해 그냥 흘려 보내는게 아니라 내가 배울것을 찾고 성장으로 디벨롭 해나가는 과정. 그 과정과 환경이 좋아서 월부학교를 계속 듣는 것 같다. 그런환경에 몰아세우고 어려움을 겪어야 비로서 아는것. 책으로만은 알수 없고 무조건 겪어야지만 알수 있는건 ... 수많은 시간의 쌓임이 지나야 하는 것 같다. 아자아자!! | ||
고난 속에서 다시 돌아본다는 것 | ||
P112 | 희망을 품어야 할 시간이란 다시 말해서 절망이 우리의 목구멍을 움켜쥐고 있을 때란다. 강하다는 것은 네가 아무리 지쳐 있다 해도 한걸음 더 내딛는 것을 의미한단다. 여행을 하다 보면 수많은 대목에서 선택해야 할 순간과 부딪치기 마련이야. 멈추거나 그만두거나 포기하는 것은 강제적인 것이 아니라 선택이라는 점을 기억하거라. 강하다는 것은 네가 얼마나 지쳐 있든 간에 산 꼭대기를 향해 한 걸음 더 내디딘다는 뜻이란다. | |
아무리 지쳐있더라도 정말 한발자국씩만 걸어보자. 사실 지난 1분기가 약간은 느리게 성장했던 그런 시간이었던것 같다. 2년내리 달리다보니 약간 챙겨야할 몸뚱아리와 가족의 빅이벤트와 회사생활에 조금더 비중을 두기도 했다. 하지만 잘한건 그냥 다른것도 기초반으로 꾸준히 했다는 것이다. 덕분에 MVP도 받고 좋은 동료도 더 만나고 무엇보다 흘러가는 부동산 시장속안에서 분위기를 그대로 느낄수 있었다. 그냥 그저 한걸음씩만 떼어 보겠다! | ||
인생을 관조한다는 것 | ||
P162 | 승산이 별로 없는 상황을 맞이했을때 한걸음 더 내딛는 것이 아무리 쓸데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더라도 우리는 그렇게 해야만 한단다. 그것이 얼마나 미비하건 간에 우리가 한 걸음만 더 내디딜수 있으면 한걸음 앞으로 나갈 수 있는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어. 결국 그런 발걸음이 하나의 차이를 만든단다.. 그래서 우리는 승산이 별로 없는 상황에 부딪혀 한걸음 더 내딛는 것이 아무 쓸데 없는 짓처럼 보여도 그렇게 해야한단다. 도무지 일어날 수 없는 일들은 겉으로 보기에는 쓸데 없는 것처럼 보이는 노력으로 한 걸음 더 내디딜때 이루어진단다. 얼마나 더디든, 또 얼마나 작든 간에 한 걸음만 내디딜 수 있으면 한 걸음 더 내디딜수 있는 가능성이 생기는 거야. | |
승산이 없어보여도, 그냥 내딜 곳의 방향성만 맞다면 내딛어 보겠다 | ||
그래도 삶은 계속된다, 그래도 계속 가라 | ||
P177 | 흔히 어떤 사람에 대해 최종 적인 평가를 내릴때 그가 어떻게 죽었느냐를 두고 평가하는 경우가 많더구나. 하지만 내 생각에는 만일 우리가 평가 받아야 한다면 어떻게 살았느냐를 가지고 평가받아야 하지 않을까? | |
시간은 내가 가고 싶지 않아도, 붙잡고 싶어도 흘러간다. 그러니까 답은 좀 정해져있다. 그래도 계속 가자!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