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개로밍입니다.
이번주는 잔쟈니튜터님과
울산과 인구수가 비슷한
100만 중소도시 창원으로 갑니다!
지형적 단절이 있는 창원,마산,진해에는 어디에 모여살까?
일단 저는 창원을 한번도 가본적이 없습니다.
그 밑에 뭐가 있어서 사람들이 가~
🌸벚꽃보러 진해가는거지!
했는데…
왠걸 창원산단이 이렇게 큰 줄이야…
왜 100만의 인구가 창원에 모여사는지
창원산단 근처의 살기좋은 생활권이
투자처가 될 수 있다는 것도
이번 강의를 통해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머리속에서
여기에 사람들이 모여산다고 했지
여기에 일자리가 많다고 했지
여기에 바다가 보인다고 했지
여기가 길이 막힌다고 했지
가 생각이 날 정도로
마치 창원을 그려주시는 듯한 강의를 해주셔서
창원을 가본 적은 없지만,
눈을 감고도 창원이 어떻게 생겼는지
알 수 있도록 해주신 강의였습니다!
임장은 지역 단지 가치판단에 확신을 더하는 과정
분임, 단임, 전임 모두 무의미하게 콘크리트만 보고 오는 과정이 아닌,
구매력있는 사람들이 여기를 살까?
내가 직접 살게된다면 쾌적하게 느낄까?
라는 걸 계속 생각하며 내 기준대로 나열한 가치에 확신을
더하는 과정임을 한번 더 깨닫게 해주셨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임장과 임보가 힘겨워지는데
그때마다 내 종잣돈이, 내 자산의
사할이 걸린 문제라고 생각하고
집중하여 보도록 하겠습니다 !
BM 1. 수성구의 투자 중요 요소인 학군/연식/부자동네커뮤니티 유무로 생활권 순서 매겨보기
→ 가격비교까지하여 내가 생각한 생활권 순서와 동일한지 재확인
BM 2. 지방은 절대적 저평가라고 생각하고, 더 뾰족하게 제일 좋은 것을 고른다고 생각하기
다른 사람들이 잘한 결과를 보지 않고 내가 남들만큼 열심히 했나?라는 과정만 비교하도록 해야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