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eolbu.com/community/2883953
전주를 보고도 투자하지 못했던 이유 (놓친 물건 복기)
[유르님 상황]
1. 2호기 진행중인 상황
2. 전주를 앞마당으로 가지고 있음
3. 전주 투자를 못했지만 가격이 오르는 시장이 형성됨
[복기점]
1. 신축 가치와 가격 판단
-> 대세 상승장 이후 입주한 단지들의 경우 전고점이 없어 가격판단이 어려웠음
-> 전고점은 보조 지표이며, 가치와 가격 판단이 중요함
-> 신축의 경우 입지가 비슷한 타 지역의 신축들과 비교평가 하기 (전고점이 없이도 투자할 수 있어야 함)
2. 협상
-> 협상을 위한 협상이 되면 안됨
-> 투자금액 마지노선 객관적으로 정하기 (네고가 뜻대로 안 되더라도 이 정도 금액이면 충분히 싸다는 것을 알아야 함)
3. 투자금의 벽
-> 부동산은 공식처럼 딱 맞아 떨어지지 않음
-> 공급이 없어도 시세가 안 오를 수 있고, 공급이 많아도 시세가 탄탄할 수 있음
-> 투자 금액대별로 후보 단지 리스트업하기 (5분위 시세표)
-> 싸투감의 의미 확인 (싼가, 투자금, 감당가능한가)
4. 1호기보다 더 나은 투자를 해야 한다는 생각
-> 투자를 반복할 수록, 경험을 쌓아갈 수록 더 나은 투자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라는 의미는 더 좋은 상급지의 물건 또는 더 비싼 물건이 아니라 이전 투자보다 더 나은 투자를 해야 함 (ex. 1호기에서 가장 아쉬웠던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여 부족했던 점을 보완할 수 있는 행동하기)
* 투자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싸투감이며 기준에 드어오는 여러 단지 중에서 개인의 조건, 상황 등이 맞고 조율이 가장 많이 되는 그렇 단지들을 쌓아가는 것이고 결국 행동을 하기위해서 실행력이 있어야 함.
댓글
와케님 실투경 요약 읽으면서 저도 많이 배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