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마스터 멘토님의
5강 강의 후기 및 BM을 전할려고 합니다
⭐️손실 구간에 있는 실거주 집 매도?
1. 더 가치있는 단지로 갈아탈 수 있다면 매도하는 것도 괜찮다. 하지만 갈아탈 단지에 대해 명확하게 분석하지 않으면 그냥 기다려야 한다.
⭐️전세가 설정이 잘못되거나 너무 높다면?
1. 전세는 최대한 빨리 빼는 것이 좋다.
2. 매매 물건이 전세 물건으로 전환될 수 있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플랜을 세워야 한다.
3. 너무 높은 전세가로 맞추는 경우 공급물량이 쏟아지는 지방에서는 역전세 금액까지 미리 준비해야 한다.
4. 이자를 일시금으로 지불해서 역전세를 막고 전세를 연장했을 때 2년 뒤 수익이 나서 매도하거나 전세금이 오르면 다행이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세입자가 나간다고 하면 추가 투자금이 발생한다. (뒤늦게 역전세 구간으로 들어갈 수 있다)
⭐️투자의 보릿고개
1. 앞으로 모을 수 있는 금액으로 투자 가능한 단지가 있다면 감정이입을 하고 우선 순위로 보는 연습을 한다.
2. 투자금이 없어도 지역을 더 깊게 이해하는 시간으로 활용해라. 당장 투자하지 못하더라도 차후에 한 발 앞서 움직일 수 있다.
⭐️협상이 안 될 때 놓칠 수 있는 것
1. 저평가 구간에 있다면 협상이 잘 되지 않더라도 장기적으로 매수 결정을 내리는 것이 현명한 선택
2. 매도자의 매도 사유가 중요하다. 그에 따라 제안을 할 수 있어야 한다.
3. 차순위 물건으로 넘어가 기회를 잡으세요
⭐️매도 방법
1. 세입자에게 매도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
2. 전세 낀 상태에서 매도 할 때 - 투자자에게도 매력있는 물건으로 세팅해야 함. 실거주 물건보다 저렴하고 전세가가 높아야 우선 순위.
3. 세입자 이사/공실 - 전세금 반환대출로 이자 발생. 전세 만기일이 잔금이 되는 것이 베스트.
⭐️공급이 정리되어가는 신호
- 좋은 입지 신축부터 회복되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한다.
⭐️중소도시 2채 < 광역시 1채가 낫다
⭐️투자자가 가져야할 마인드
외부 소음을 차단해라
고통의 크기가 크면 자산의 크기가 클것이다
선배투자자가 하던 것을 그대로 해라
수준높은 단계를 가고 싶다면 안된다가 아니라 절실한 마음으로 해라
저는 이번에 우도롱튜터님께서 5강을 듣기전 해주신 말이
너무 인상깊게 다가왔습니다
QnA는 그분의 투자 정수다
그분의 의사결정 과정을 그대로 배울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지금은 다 이해하지 못하더라도 담아놔야한다
설령 다 이해한거 같다면 그건 또 착각일 수 있다
그래서 이번에 BM에 다 넣지는 않았지만 필사를 해봤습니다
부족한 부분은 복습을 하면서 한번 해보겠습니다
마스터 멘토님 감사합니다
댓글
키샤아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