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수수진입니다.
매번 단지에서의 업무 접근성까지만
교통을 고려했던 분들이라면
이제 영향을 충분히 줄 수 있는
교통 호재를 가설 검증을 통해서
어떻게 또 한 단계 임보에 녹일 수 있을까?
고민하셨던 분들이라면
이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서울 동북부 지역에
불편한 교통 갈증 해소를 위해 나타난
동북선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하는데요.
동북선은 그동안 지하철 노선이 부족하고
주요 업무지구까지의 접근성이 낮은
지역으로 평가받아왔던
노원구, 강북구, 성북구, 동대문구 일대에
교통의 불편함을 해소시켜줄
호재 중의 호재로 자리 잡았습니다.
비록 경전철일지만 개통만 된다면
상계역에서 ~ 왕십리역까지
약 25분 정도면 도착을 한다고 하는데,
왕십리에서 강남권(선릉역 등)으로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중심업무지구인 시청까지도 20분내로
도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확실히 그동안 불편했던 강남접근성에 대해
의미가 있는 노선이 될 수 있겠죠?
그래서 임보에는 의미 있는
교통 호재에 있어서는 클립 페이지를 만들어
가설 검증을 깊게 들여다볼 수 있었습니다.
단순히 가격이 오르고 내리고 정도를
비교를 했었는데,
줴러미튜터님께서는
서울의 비슷한 가치를 가진 두 단지의
상태를 최대한 맞춰두신 상태에서
진짜 교통 호재가 가격에 반영이 된건지를
비교해보신다고 하셨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적어왔던
쌍둥이 단지를 바로 여기에 적용할 때인거죠~!
성북구의 래미안월곡
동대문의 장안래미안2차
이 두 단지는 굉장히 비슷한 흐름으로
흘러가는 모습입니다.
구체적으로 비교를 해보면
단지의 연식, 세대수, 환경까지도
비슷한 모습인데요!
이제 곧 동북선이 들어서면서
교통이 개선될 래미안월곡과
장안래미안2차의 현재 가격이 어떨까요?
전고점도 똑같고, 비슷하게 흘러가던 단지
이제는 교통의 호재가 있음에도
래미안월곡이 4천만원 가량
낮은 호가를 보이고 있죠?
이렇게 현재 가격이 교통 호재에
반영이 되었는지 안되었는지를
비슷한 가격의 단지들을 가져와서
비교해보면서 가설검증을 해보면,
지금 보고 있는 단지가 가치대비
가격이 저평가 되어있는지 안되어있는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런 가설검증을 하기 전에는
꼭 체크해서 맞춰야하는
단지들의 기본 요소들은 맞춰진 상태에서
비교해보는 게 가장 정확하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1) 연식이 비슷한가?(5년 이내)
2) 평형대는 비슷한가?
3) 역세권인가 비역세권인가?
4) 택지 환경은 비슷한가?
서울에 비슷한 단지들을 더 많이 알 수록
비슷한 단지들을 더 가져와서
현재 호재가 반영이 됐는지 안됐는지를
조금 더 깊게 임보에도 녹여볼 수 있을거에요.
실제 주변에 앞마당이 함께 있다면,
동북선이 지나가는 주요 단지들의
흐름들도 적어두고 지금 가격이 어떤 흐름을
볼 수 있는지도 체크해볼 수 있어요.
정답이 맞던 틀리던 이렇게 비교해보면
튜터님의 말씀대로
한 번 더 기억에 남고,
그 단지들이 가진 가치를 조금 더
깊게 들여다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가볍게 해볼 수 있는 가설검증으로
진짜 단지 가치를 찾는 법!
서울, 수도권 앞마당을 만들면서
비슷한 가치를 가진 단지들을
찾아두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 건
호재를 보고 투자하는 단지를 찾는 게 아니라
충분히 앞으로 개선될 환경을 만들어 줄
교통 호재라면 충분히 이 또한
미래가치가 상승될 점들을 인지하고,
단지의 가치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줄 수 있을 지 검증해보는 게
본질이라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부족한 임보에 새로운 인사이트까지 얹어
오늘도 가르침 주시는 줴러미튜터님 감사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