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1.책을 읽고 본 내용을 써 주세요.
(책의 핵심과 챕터별 요약정리)
p. 18
‘파고든다는 것’은곧 자신이 할 수 있는 다른 모든 일을 무시하고 반드시 해야만 하는 일에만 집중하는 것을 뜻한다. 또한 모든 일의 중요성이 똑같지 않음을 인식하고, 가장 중요한 일을 찾아내는 것이다. ~ 자신의 일과 삶에서 최대한 많은 것을 얻어 내려면 최대한 파고들어야 한다.
p. 32
무언가를 향한 열정은 곧 어마어마한 양의 연습이나 노력으로 이어진다. 그렇게 쓰인 시간은 기술로 축적되고, 기술이 나아지면 결과 역시 나아진다. 더 나은 결과는 보통 더 많은 즐거움을 불러오고, 그러면 다시 더 많은 열정과 시간이 투자된다.
제1부 거짓말 _ 의심해봐야 할 성공에 관한 여섯 가지 믿음
p. 48
할 일 목록은 단순히 우리가 해야 하는 일이라고 ‘생각’하는 것들을 적어 둔 것뿐이다. ~ 할 일 목록에는 본디 성공이라는 의도가 빠져 있다. 사실 대부분의 할 일 목록은 그저 생존 목록, 즉 그날 하루와 삶을 버텨 낼 수 있게 해주는 목록일 뿐, 각각의 날을 성공적인 삶으로 이어 주는 디딤돌이 될 수는 없다.
→ 중요한 것은 ‘할 일 목록’을 해치우는 게 아니라 ‘성공목록’을 위해 선택하고 행동하는 것. 내 목표를 위해 가장 좋은 선택이 무엇인가 끊임없이 질문하고 답하고 행동하는 훈련을 해야 한다.
p. 62
해야 할 모든 일을 하기에 시간이 부족한 것이 아니라, 주어진 시간 내에 너무 많은 일을 해야만 한다고 느끼는 것이 문제다.
p. 69
여러 매체를 한 번에 보려는 멀티태스커들은 실제로 화면이나 채널을 돌리면서 도파민이 분비되어 짜릿함을 느끼고, 이것은 중독성까지 있다고 한다. 그런 자극이 사라지면 금세 지루함을 느낀다. 이유가 어찌 됐건 그 결과는 명확하다. 멀티태스킹은 업무 속도를 늦추고, 우리를 바로로 만든다.
→ 새로운 작업에 맞춰 방향을 자주 바꾸게 되면 귀한 시간과 에너지를 버리게 된다. 도파민이 생성되는 것을 경계하고, 전환시간, 전환 횟수를 줄이도록 한다.
p. 75
성공하기 위해 반드시 자기관리에 철저한 사람이 될 필요는 없다. 아니, 생각보다 훨씬 적은 자기통제력만으로도 성공할 수 있다. 그 이유는 단 하나다. 성공은 옳은 일을 해야 얻는 것이지, 모든 일을 다 제대로 해야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p. 80
당신의 습관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 준다. 당신이 얻는 성취는 한 번의 행동(action)이 아닌 삶에서 만들어진 습관(habit)에서 나온다. 애써 성공을 찾을 필요는 없다. 선택적 집중의 힘을 이용하여 올바른 습관을 들여라. 그러면 탁월한 성과가 당신을 찾아올 것이다.
p. 108
아무리 애를 써도 하루, 일주일, 한 달, 1년 그리고 삶이 끝날 때 즈음엔 무언가 마무리되지 못한 일이 남게 되어 있다. 그것을 모두 해내려 애쓰는 건 소용없는 짓이다. 중요하지 않은 어떤 일들을 미완성인 채로 남기는 것은 탁월한 성과를 얻기 위해 반드시 치러야 할 대가와 같다.
→매일의 할일 목록을 잔뜩 써놓고 나면 분명 해내지 못하는 일들이 있다. 욕심이 많은 것인지, 게을러서 그런것인지 하는 생각이 들어 매번 자책을 하곤 하는데 그럴 필요가 없었다. 중요한 것은 그날의 원씽을 수행했는지, 또는 그 원씽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한 선택과 행동을 했는지를 복기해보아야겟다.
p. 117
크게 생각하는 것은 곧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될 수 있는지 생각하는 것이다.
제2부 진실 _ 복잡한 세상에서 중심을 잃지 않는 법
p. 141
위대한 성과는 우연히 나타나지 않는다. 성과는 우리가 내리는 선택과 우리가 취하는 행동에서 나올 뿐이다.
p. 159
큰 질문이 없다면 큰 성공도 없다.
p. 163
‘최대한 힘을 발휘하는’ 접근법을 쓰면 당신이 처음 가졌던 ‘최고 한계점’이 이후에는 당신의 ‘최저점’이 될 것이다.
제3부 위대한 결과 _ 인생의 반전을 불러오는 단순한 진리
p. 205
‘불필요한 다른 모든 일’을 다 마치면 물론 그날 밤 잠을 더 푹 잘 수 있을지는 몰라도, 그것이 당신을 승진시켜 주지는 않을 것이다.
→그저 마음이 편해지기 위해 ‘할일 목록’에 있는 일들을 수행했던 것은 아닌지? 그날에 정해 둔 단 하나의 일을 마치치 못한 것에만 마음 쓰도록 하고, 불필요한 일을 수행하지 못한 불편함에 익숙해지도록 하자.
p. 209
생산성이 높은 사람들, 즉 탁월한 성과를 내는 사람들은 단 하나의 일을 중심으로 하루 일과를 계획한다. 그들이 매일 잡는 가장 중요한 약속은 자신과의 약속 시간이며, 절대 그것을 어기는 법이 없다. 따로 떼어 둔 시간 내에 단 하나의 일을 마치고 시간이 남는다고 해서 반드시 하루 일과를 끝낼 필요는 없다. 그런 경우 그들은 초점탐색 질문을 이용해 남은 시간을 어떻게 활용할지 정한다.
→더 깊은 탐색으로 들어가는 시간
p. 230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는데 그 결과가 나올 수 있는 최고라는 확신이 들지 않는다면 도전적 방식에서 벗어나 목적의식을 지닌 방식으로 시도해 보아라. 더 나은 모델과 시스템, 더 멀리 갈 수 있는 방법들을 찾아라. 그런 다음 새로운 사고와 기술, 인간관계를 동원하여 그것들을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애써라. 단 하나를 위해 따로 떼어 둔 시간에는 목적의식을 갖고 돌진하여 자신의 잠재력을 마음껏 펼쳐라.
→내가 한 노력이 어쩐지 부족하다고 느껴진다면? 그때가 바로 한계를 넘어서는 순간이 될 것이다. 감사하게 여길 것.
p. 231
살다 보면 자기 인생의 작가가 될 때도 있고 멋모르는 피해자가 될 때도 있다. 책임을 지느냐 지지 않느냐, 이 두가지가 우리가 택할 수 있는 유일한 선택지다.
→나는 내 삶을 책임질 수 있는 사람이다.
p. 241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아는 것의 절반은 그것을 얻기 위해 무엇을 포기해야 하는지 아는 것이다. ”
2.책을 읽고 깨달은 내용을 써 주세요.
(새롭게 알게 되었거나, 잘못 알고 있었던 것, 이 책에서 동기부여 받은 것, 이 책에서 찾은 롤모델의 노하우, 가치관, 배울 점 등)
그동안 해왔던 활동들(회사, 가족, 월부 등등)이 어쩐지 익숙하고 매너리즘에 빠져있던 시간이었다. 익숙한데 발전이 없고, 그런데도 어쩐지 손을 놓으면 영영 떠나버리게 될 것 같은 불안감은 꽤 오랜기간 나의 슬럼프였음을 지금에야 깨달을 수 있었다. 나의 긴 슬럼프에는 질문이 부족했다.
“목적을 위해 행동하고 있는가?”
해야 할 일이 아니라 목적의식을 지닌 방식의 시도였는지를 끊임없이 질문하고 피드백을 해야한다. 가끔은 중심에서 벗어날 수도 있지만 이 질문이 있다면 반드시 가야 할 방향으로 되돌아올 수 있기 때문이다.
애써 많은 일을 하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고, 모든 영역에서 완벽해지려고 할 필요도 없었다. 그저 단 하나의 목표를 위해 오늘 하루 에너지를 잘 활용하고 있는지를 점검하고 전환되는데 낭비되는 에너지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도록 매일하루를 설계해나가야겠다.
3. 책을 읽고 삶에 적용할 부분을 써 주세요.
(내 삶에서 변화시켜야 할 부분, 변화시키기 위한 아이디어)
1)기상 직후 30분은 원씽을 위한 시간으로 몰입할 것
2) 이 30분의 집중시간을 위해 충분한 수면시간을 먼저 설정하고 맑은 정신을 유지할 것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