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이든J입니다.
6강은 월부학교 수강생들의 질문을 받아서
답변해주고, 꼭 알아야 할 것들에 대해 너나위님께서 강의해주셨습니다.
목차
1. 현재 시장 진단 및 행동 요령
2. 투자 결정
3. 투자 지식
4. 마인드
크게 이렇게 4가지로 말해주셨습니다.
물건에 자기 상황을 맞추면 안됩니다.
지금 임장을 다니다 보면
물건들이 별로 없습니다.
7월달 스트레스 DSR 3단계 이전에
실거주자들이 집을 사려고 조금 가열된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습니다.
물건도 못난이 물건이 거의 남아있음을 느끼게 됩니다.
투자를 앞두신 분이라면 마음이 조금 조급할 것도 같다는 생각도 듭니다.
지켜보던 단지 매매가격이 소폭 올라가기 때문에
대출까지 써볼까 하는 생각도 있으실 것 같습니다.
그러면 안됩니다.
그 물건의 상황에 내가 맞추는 것이 아니라
내 상황에 맞게 물건을 맞추는 것이라고 해주셨습니다.
대출을 정말 조심해야 한다는 것이 핵심이었습니다.
2024년 상반기 역시 그랬습니다.
서울 상승장의 느낌이 완연했고 여름에는 물건도 잘 볼 수 없었어요.
그러다가 7월말에 대출총량 규제를 시행했습니다.
2024년 하반기는 부동산이 주춤했었고 그때 기회를 주었습니다.
2025년도 크게 다르지는 않을 수 있을 거 같습니다.
이미 대출 규제 관련해서 반응을 보기 위해 기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4년동안 집값이 떨어질수도 있다고 생각해보셨어요?
- 그럴수도 있어요. 그건 모르는거에요.
- 모두가 집값이 오를거라 생각해요. 이럴때 위험합니다.
- 저는 항상 집값이 떨어질 수도 있다고 생각해요.
- 폭등폭등 하면 하락이 빨리 올 수도 있어요.
- 지금이 위험한 때는 아니지만, 조심해야 할 때에요.
10년 이상 시장에 몸담고 있으신 선배님의 이야기는
정말 와닿았습니다.
정작 저 역시 그 현장에 있으면 그 상황에 휩쓸려
생각하게 되곤 했는데, 이 강의를 들으면서 좀 더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결론 : 전혀 급할 필요가 없다.
조금 덜 벌어도, 위험하지 않는 것이 맞다.
2023년 12월 강의 목차
"역전세"
2025년 6월 1년 반이 지난 지금
역전세 관련 질문은 단 하나도 없었습니다.
얼마 되지 않았는데 역전세 키워드는 쏙 들어가고
어떻게 하면 임차인 내보내고 전세금 올려받을지, 매도를 할 수 있을지
관련 질문이 많았습니다.
반복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저 역시 2023년도에 시작했기에 역전세는 경험해보지도
와닿는 말도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앞으로의 투자를 할때,
이 역전세를 조심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탐욕에 젖어서 마구 투자를 지양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BM 1. 가격수준 (수도권 / 지방) 2. 공급 3. 금리 4. 정책
매 시기별로 정리하기
일반인들은 수익을 생각하지만,
뛰어난 투자자는 리스크부터 본다.
세스클라만
지금 상급지 정말 많이 오르면서
대출 더 끌어서 좋은 것을 사면 어땠을 까? 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제 주변에도 있습니다.
특히 토허제 묶기 전 마지막 주말에
친구, 부모님, 동생, 처가집 돈 빌리고 + 풀 대출 끌어다가 압구정 현대 매수 하신 분도 있어요.
이게 더 큰 수익을 가져갈 수 있겠지만,
리스크 최악의 경우에는 강남 전저점까지 떨어질수도 있을거라는 말이 섬짓했습니다.
(부자세를 낼수도 있어요. 아무리 강남 1주택이라고 하더라두요.)
2008~2013년도에는 강남이 힘들었다는 이야기 들으니까 정신이 번쩍 들었습니다.
수익만 생각한다면 너나위님 역시 그렇게 할 수 있다고 하셨습니다.
월부학교 130명 중에서 30명 대박나고 100명 망하는 방법은 , 끌어다가 제일 좋은거 사라고 하는 거에요.
리스크를 배제하고 수익만 생각하면 가능합니다.
하지만 너나위님 께서는 130명 중에서 단 한명도 망하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해주셨습니다.
제 방식 대로 하면, 그 시기에 제일 많이 올라가는 것을 못 할 수도 있어요.
하지만 안 망해요.
중요한 것은 선을 넘으면 안 됩니다.
감당 되지 않는데 좋아보이는 물건을 하면 안되는 거에요. 특히 지금같은 시기에요.
리스크보다 리턴의 기대가 더 클때
투자를 하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리스크를
보지 않아요.
너나위님
Q. 세낀 물건 안보여주는데 안보고 사도 될까요?
초보 시절에는 어떻게 해서든 집을 보고 매매 했습니다. (매도인이든, 부동산이든 설득해서)
저도 이런 물건이 있었는데, 지금같은 시기에서는 매물이 더 없기 때문에
고민이 될 것 같았습니다.
그럼에도 매수 10채 이전에는 꼭 해당 집을 보고 사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만약 저 역시 이와 같은 상황이라면 어떻게 해서든 집을 보는 방법 찾겠습니다.
****
너나위님의 오늘 핵심 1.
전제 : 만약 지금이 상승장의 초입이라면
치명적 실수 하지 않는 한 3년 이후에 여기 대부분 살아남을 거에요.
절반 이상은 2년 이후 제 말을 안 들을 거에요
제가 대출 갚으라고 할때에는 갚아요
매매, 전세 상승이 되며 대출이 1년 이상 갚는 다면, 아무리 돈 될것이 눈에 보여도 대출 갚는 것이 상책입니다.
참 묘한 기시감을 느낍니다.
여러분들이 안전한 투자를 하시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여기서 단 한명이라도 위험한 상황에 처하면 저는 이 일이 못할 것 같습니다.
꼭 그때 아마 3년 혹은 5년 후가 되겠지만
오늘의 후기를 기억하면서, 갚으라고 할때에는 꼭 갚도록 하겠습니다.
Q. '스스로' 시장을 해석하고 움직인 것이 아니라 환경의 힘을 빌린 것이다보니,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계속 환경에 의존할수만은 없을텐데, 스스로 시장을 해석하고 움직이고 싶다'라는 생각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A. 제가 3년 투자하고 임장보고서 24개 쓴 후에 감 잡았습니다.(책 썼어요)
질문자분께서 저보다 못한 노력을 하지는 않으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왜 이렇게 차이가 날까? 생각해보면
저는 투자 경험이나 임장지역 사후관리의 차이가 매우 크다고 생각해요.
앞마당의 시세변화 꾸준히 보고 있지 않으면 의미가 없어요.
지금까지 하시던 것을 열심히 하시는 것도 좋지만
그 수준을 높여서 더 시간을 만드시고
투자 경험을 쌓거나 임장지역 모니터링에 더 신경을 써보세요.
1) 같은 시간에 퀄리티 수준을 높인다
2) 같은 퀄리티라면 시간을 줄인다. -> 앞마당 임장, 전임 등
BM 현재 앞마당의 사후관리, 가격 감 잡기
지난달 대비 상승한 아파트의 비율은 등을 세밀하게 잘 관찰해야겠습니다.
****
너나위님의 오늘 핵심 2.
사람은 2개로 나뉜대요
1) 성취지향
2) 관계지향
답을 정하면 끝나는 게임이 아니에요.
저도 매일 긴가민가해요.
힘든일이 있을때 더 그래요.
본인의 행복이 성취에 있는지 관계에 있는지를 잘 살펴보십시오
성취에 있다면 어느 정도의 관계 훼손을
관계에 있다면 어느 정도의 성취 훼손을
감당하셔야 합니다.
어떤 선택을 할지는 여러분의 몫입니다.
그리고 저는 여러분들이 어떤 선택을 하셔도 응원하고 축복하고 싶습니다.
인생 : UP & DOWN이 있어요
UP : 열정, 신나요, 행복
DOWN : 내가 이걸 왜 하는지 모르겠다.
up일때는 down이 올거라 생각하지 않아요.
down일때는 up이 올거라 생각하지 않아요.
down이 영원하지 않아요
너나위님
경험이 없는 사람은 down이 왔을때 quit을 해요.
버티면 다시 up이 와요.
둘 중에 하나인 거에요.
저는 지금 down이에요. 힘들어요.
내가 힘든 것 보다 주변사람들이 힘들어서 힘들어요.
버틸때 버티면 되는거에요.
버틸때 잘하려고 하지 마세요.
해초처럼 버티고 뿌리만 뽑히지 않으면 돼요.
잘해야지 힘주면 못 버텨요. 부러집니다.
이럴땐 잘하려고 하지 말고 해야할 것만 하면 됩니다.
시간이 가면 다시 up이 와있어요.
이걸 버티고 경험한 사람은 up일때 경거망동 하지 않아요.
이제 30대 중반이 된 저에게 많은 up & down이 있지는 않았습니다.
작은 파도정도는 맞았었는데,
저는 공채 7번을 치고 중고신입으로 입사를 했습니다.
그때 down이던 시절도 있었고, 열심히 살았는데 결과가 나오지 않는 것,
동굴로 들어가고 싶은 마음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취업지원팀 찾아가서 다시 전략 세우고
그냥 했던 것 같습니다. 해야할 일을요.
그러다 보니 또 기회가 오고 열정이 생기는 시기도 왔던 것 같습니다.
투자 생활에도 마찬가지일 것 같습니다.
언젠가 down이 올 것을 미리 알고
그땐 해야할 일들을 하며 버티다 보면
다시 up이 올 날을 알고있어야 겠습니다.
현재의 저는 up이지만, down이 올수도 있음을 인지하고 있어야 겠습니다.
https://youtube.com/shorts/Zkr5xaXI4LM?si=VHaNYn9wA6oXWv5E
Quit인지 멈춰서 버티는 것인지 잘 봐야해요.
다른 곳 가서 다시 up을 하려고 하는 것인지 봐야해요.
https://youtube.com/shorts/nfRVJNgmgSk?si=1F45aDWTKqim2YeE
책 추천 :
<진정한 행복의 7가지 조건>
<행복의 기원>
사람에게 있어 가장 큰 즐거움의 대상은
바로 사람입니다
출처 입력
우리가 함께 하는 '과학적 근거'입니다.
가장 좋은 툴이 도와주는 거에요.
버티려면 즐거워야 해요 -> 즐거움의 대상은 사람이에요 -> 좋은 관계를 맺는 좋은 도구는 도와주는 거에요
너나위님의 진심 어린 강의를 들으며
다짐도 하게 되고
투자에 대해서도, 인생에 대해서도
되돌아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너나위님과 잔쟈니 튜터님 및 튜터님들께 감사드립니다.
댓글
슨배님 너무 심취해서 읽었더니 월학 수업들은 느낌이네요😄 지금 저에게 적용할 점이 많아 놀라고 감사했습니다. 수강 후기 감사해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