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도, 공부를 어느 정도 한 지금도 비교평가는 넘을 수 없는 벽인 것처럼 느껴진다. 

과연 나는 이걸 잘 하게 될까? 의구심을 계속 가진다. 

극복하지 못하는 자신에 대한 의심을 넘어서야 한다. 

 

비교평가는 내 예산으로 가장 가치 있는 물건을 사도록 하는 과정이다. 

지금까지 내가 한 공부를 돌아보면 계속 갭에만 집중했다. 
그러다보니 물건의 가격은 기억을 못하고 갭만 기억하는 불상사를 만났다. 

 

비교평가를 잘하게 되면 

  1. 확신을 갖고 투자를 할 수 있다.
  2. 보유하는 동안 걱정하지 않고 버틸 수 있다.
  3. 매도에 도움이 된다. 

 

비교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가치과 가격인데 가격은 어디에서나 검색 한 번으로 쉽게 알 수 있다. 예전 거래 가격도 금방 찾을 수 있고 현재 나온 매물의 가격도 쉽게 알 수 있다. 

하지만 가치는 눈에 보이지 않는다. 

지역마다 사람들이 중요하게 여기는 가치가 다르다보니 가치를 찾는 것이 쉬운 것이 아니다. 

내가 사는 지역에서는 가장 가치 있는 것을 찾기가 그나마 쉽지만 전혀 모르는 지역은 여간 어렵지 않다. 

 

교통이 중요한지, 환경이나 연식이 중요한지, 학군이 중요한지, 구조가 중요한지 부동산은 다양한 요소가 변인으로 작용한다. 

역세권이 중요한 지역에서도 연식이나 학군 때문에 순위가 바뀌기도 한다. 

사람들의 선호도는 마치 생물처럼 움직인다. 

 

역세권이 중요하다고 해서 그 주변 구축을 돌아보면 너무나 사고 싶지 않게 생긴 단지의 모습에 마음이 끌리지 않는다. 

역세권 신축은 너무 비싸다. 

비역세권은 교통이 불편하다. 매일 이곳에서 출퇴근하면 어떨까? 상상해본다. 

사람들은 교통이 불편해도 환경이 좋은 곳에서 살고 싶을까? 

환경은 안 좋아도 바로 지하철을 타고 직장에 편하게 오가고 싶을까?

화장실 1개인 집에서 복작거리고 사는 것이 너무 불편한데 화장실이 2개는 있어야 3식구가 살 수 있지 않을까?

혼자 상상을 해봐도 이래서 좋고 저래서 좋고 이래서 별로고 저래서 별로다. 

가치를 매기지 못하겠다.

 

잔쟈니님의 강의를 들었으니 이제 좀 체계적으로 비교평가를 해보자. 

머릿속으로 두리뭉실하게 하지 말고 기준을 세워서 해보자. 

 

BM 1. 가격 고정 비교평가

2. 기존 앞마당에서 최선의 단지 3개 고르고 다음 앞마당 넓히기 

 

잔쟈니님의 열정적인 강의 감사합니다.  

 

 

 

 


댓글


제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