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전 국민이 모르고 내고 있는 KBS 수신료, 심지어 더 오른다? 당장 해지하는 방법 공개!

  • 25.06.25

안녕하세요.

당신이 부자가 되는 곳,

월급쟁이부자들입니다.

 

KBS 로고가 크게 걸린 방송국 외벽을 바라보는 사람의 뒷모습
출처 : 연합뉴스

 

요즘 다들 TV 잘 안 보시죠?

 

유튜브, 넷플릭스, 웨이브, 티빙...

보고싶은 건 다 OTT로 보는 시대잖아요.

 

그런데 말입니다.

우리가 매달 2,500원씩

KBS 수신료를 내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TV가 없어도 TV 수상기가 있으면

자동으로 청구되는 구조거든요.

 

작아 보여도 1년에 3만 원,

10년이면 30만 원이 넘는 돈입니다.

그런데 이걸, 이제 500원 더 올리겠다는 거예요.

 

그래서 오늘 본문에서는 

수신료가 왜 오르려는지, 지금 여론은 어떤지

한눈에 정리해드려고 합니다.

 

수신료 안내는 법까지 알려드리니

끝까지 꼭 읽어보세요!

 


 

1. KBS 수신료, 500원 더 올리겠다고요? 

 

KBS가 최근 "수신료를 올리겠다"고

공식적으로 밝혔습니다.

정확히는 1981년 이후 44년 동안

2500원이었던 수신료를 500원 올려

3000원으로 만들겠다는 건데요.

 

이 발표와 함께 내건 슬로건이 바로 ‘3·4·5’입니다.

 

“3000원으로, 44년 만에, 500원 올리자!”

 

사실 KBS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에요.

 

2007년부터 지금까지

다섯 번이나 수신료 인상을 추진했지만,

매번 국회 문턱에서 막혀서 무산됐죠.

 

 

2. KBS, 왜 수신료를 올리려는 걸까요?

 

KBS는 지금 돈이 많이 부족한 상황이에요.

지난해 KBS는 881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거든요.

(금융위기 이후 거의 최대 규모!)

 

KBS는 돈의 절반 정도를 수신료로 충당하고 있는데,

이걸 500원만 올려도 1년에 1300억 원 이상

수입이 늘어난다는 계산이에요.

 

 

3. KBS 수신료, 국민들은 왜 반대할까요?

 

문제는 국민들이 수신료를 낼 이유를

잘 못 느낀다는 점이에요.

요즘은 KBS 말고도 유튜브, 넷플릭스 같은

다양한 콘텐츠가 넘쳐나잖아요?

 

그러다 보니,

과거엔 “수신료로 KBS 본다”는 인식이 있었지만,

지금은 “왜 KBS에 돈을 내야 하지?”라는

생각이 많아진 거죠.

 

실제로 2006년만 해도 사람들이

‘수신료를 내도 된다’고 생각한 금액은

평균 3775원이었는데,

2019년 조사에선 그 금액이

1667원으로 뚝 떨어졌어요.

 

 

4. KBS 수신료, 징수 방식이 달라진다고요?

 

여러 장의 전기요금 고지서를 한 손으로 들고 있는 모습
출처 : 연합뉴스

 

그런데 수신료를 걷는 방식도 바뀔 가능성이 높아요.

수신료는 최근 몇 년간 전기요금과 따로 납부하는

'분리징수' 방식이었는데요.

 

최근 국회에서 방송법 개정안이 통과되면서,

곧 예전처럼 전기요금과 함께

자동으로 청구되는 통합징수 방식으로

돌아갈 수도 있다고 해요.

 

이 말은 곧 KBS가 수신료를 인상하지 않아도,

안정적으로 수입을 확보할 수 있는

상황이라는 거예요.

 

그래서 더더욱

“이 시점에 굳이 왜 또 올리겠다는 거지?”

라는 반응이 나오는 겁니다.

 


 

지금까지 KBS 수신료와 관련된

여러 쟁점들을 살펴봤어요.

 

그런데 솔직히, KBS도 안 보는데

매달 돈이 빠져나가고 있다면 억울하잖아요?

 

근데 다행히 이 수신료,

해지할 수 있고 생각보다 훨~씬 간단합니다.

 

아래에 해지 가능한 조건부터 신청 방법까지,

진짜 쉽게 정리해뒀어요.

 

이것만 보면 끝!

지금 바로 확인하세요!

 

▼지금 바로 링크 눌러서 확인하기▼

KBS 수신료 안내는 법 온라인 해지 (5분 클릭 따라하기)


댓글


나는부자다
25. 06. 25. 15:23

국영방송 필요없어요, 국영방송 돈 내는대신에 기자랑 방송인 뽑는데 국민이 결정한다면 낼꺼구요~ 내 입맛에안맞는 방송들만 하면 돈 낼 필요 없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