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25기 우린낮ㅇ1나밤이나 밝7ㅔ 빛이나✨ 챠차] 지방투자에서 얻어가야할 것은 - 1강 잔쟈니 튜터님

  • 25.07.04

 

 

 

안녕하세요, 챠차입니다.

 

튜터님이 겪으신 시장의 이야기들을 통해

지방 투자의 핵심과 실전에 대해 배울 수 있어

너무 재밌고 유익했던!

잔쟈니 튜터님의 1강 후기입니다.

 

특히 매도에 대해 다뤄주신 부분이

기억에 많이 남는데요,

튜터님께서 매도를 다루는 강의가

지투밖에 없다고 말씀해주셨는데

듣고 생각해보니 진짜 그렇더라구요:)

 

꼭 필요했던 내용 가득 담아

명강의 해신 쟈니튜터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1. 지방 투자에서

얻어가야 할 것

 

지방 한 채 투자해서

부자가 될 수 없는데도 우리는

왜 지방 투자를 해야 할까요?

 

적은 종잣돈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짧은 사이클로

불려나갈 수 있다는 것 외에도

 

이번에 저에게 새롭게 느껴졌던

부분이 있었습니다.

 

돌아보면 분명 매수할 땐 최선이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부족해보이기만 하는

내 1호기..:)ㅎㅎㅎ

 

하지만 1호기만 이런게 아닐겁니다.

만약 실력을 계속해서 쌓아간다면

언제나, 이전에 해둔 투자는 아쉬울 거예요.

 

그렇다고 그 때마다 팔아서

더 좋은 것을 갈아끼워야지 라는 것이 반복되면

‘팔 생각만 하는 것이 습관이 되고’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는

투자의 기본을 지키지 못하고

투자를 이어나가지 못할 수 있습니다.

 

최고의 결과가 중요한게 아니라

당시 상황에서 내가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을 하고, 그 선택을 믿고,

기다리면서 수익을 얻는 경험은 결국

긴 투자 여정을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지구력을 길러주고

그렇게 부자의 그릇을 넓혀주는 거구나

생각이 들었습니다.

 

BM. 10채까지는 경험이다.

내 종잣돈 만으로 투자할 수 있는

최선의 물건 만들어보기!

 


2. 매도의 기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 유리공과 매도 이야기를

나누고 있던 터라

더 귀에 쏙쏙 들어올 수밖에 없었는데요.:)

 

튜터님께선 수익/포트폴리오/리스크

특히 공급 측면에서

어떻게 검토하고 행동하고 결정해야하는지

그 방법을 알려주셨습니다.

 

수익이 났고 향후 공급이 많이 예정되어 있는데

전세가가 시세보다 높다면

향후 오를 여지가 크지 않고 이미 상승구간이므로

매도해서 수익을 취하고 투자금을 회수해야 합니다.

 

수익이 나지 않았더라도

더 좋은 단지를 싸게 매수해 갈아끼울 수 있다면

역시 매도를 검토해볼 수 있고요,

수익이 났다 하더라도

보유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사실 매수는

저환수원리라는 너바나 레시피에 맞고

내가 결심을 한다면

잃지 않을 수 있는 결정으로 매수할 수 있지만

 

매도는 수익성 외에도 고려해야 할 측면이 많고

이렇게 다양한 상황을 고려하고 판단해서 결정을

해도, 결국 팔려야 팔리는 것이니

예술이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튜터님의 ㅇㅇ읍 0호기 매도 스토리를 들으며

공시지가 1억 이하 카드(?)가

뜻밖에 유리하게 작용할 줄도 상상도 못했고

 

다소 마음 아프게 출발했지만

실력을 쌓아서 00읍 아파트를

서울 아파트 84로 키워내신걸 보면서

 

그동안 실력을 쌓으셨기에 가능하셨던거구나,

결국 투자 실력을 쌓는 것의 중요성

다시 한번 찐하게 느낄 수 있었습니다.

 

BM.

매도 검토를 하는 과정 자체도

다 실력으로 쌓인다!

많이 여쭙고 많이 이야기 나누기!

 

 


3. 면밀하게 들어가기

 

이론상 공급이 적으면

전세가가 오르고 잘 빠져야 합니다.

반대로 공급이 많으면

전세가는 떨어지고 빼기도 어려워야 하고요.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기에

지방마다 면밀하게 들여다 봐야함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습니다.

 

이론의 모습을 보여주는 전주나 울산이 있는가 하면

신축 공급이 많아지기 직전

태풍의 눈과 같은 구간에 있는

청주가 있는 것처럼요.

 

전세가 잘 나가는 것은

단지 공급이 없기 때문만이 아니라

공급이 많아도 그걸 넘어서는

수요가 있기 때문일 수 있고

 

그럼 왜 이런 수요가 왜 발생하는지

지역별로 보다 면밀하게 현장에서

파악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현 임장지를 알아가면서 이런 부분들도

꼭 잘 챙겨보도록 하겠습니다. :)

 

BM.

공급 & 수요,

이론 & 현장에서 제대로 파악하기

 

 

 

 

 


댓글


챠차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