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안녕하세요,
편안하고 이로운 삶을 꿈꾸는 리리안 입니다.
첫 지방 강의, 임장이라 정말 학수고대 했었는데요,
아직은 온전히 다 이해했다고 말할 수 없지만,
지방 투자에 대해서 조금씩 알아갈 수 있어서 너무 좋았던 강의였습니다.
권유디님 감사합니다 💜
강의를 들을 때는 재미있고, 알겠더니
막상 강의가 다 끝나고 나니 모든 내용이 뒤섞여 버렸지만
잘 고르고 골라, 이건 새로 알게 됐다! 이것 만큼은 기억에 남기겠다! 적용해 보겠다!
하는 것들을 남겨 보겠습니다 :)
🎯 지방은 인구수가 곧 수요와 직결된다.
서울수도권도 수요가 있는 지역이나 단지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그 정도가 지방이 더 크다고 합니다.
이미 그 지역에 터를 잡은 곳에 거주하려는 경향이 있어
다른 지역에 공급이 있다고 해서 그 지역으로 이사(이동)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예. 현재 창원 거주 → 광주 신축 들어온다고 광주로 이사가지 않아)
인구가 많다는 것은 결국 그 지역에 수요가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인구가 많은 지역들을 앞마당으로 만들 때 이만큼의 인구를 끌어들인 요소가
무엇인지 파악해 보겠습니다.
🎯 지방은 매매가와 전세가가 같이 간다.
서울수도권은 매매와 전세가가 같이 가지 않지만,
지방은 매매와 전세가가 같이 가기 때문에
전세가가 오르면 매매가가 곧 따라서 오른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서울수도권에 비하여 더 공급량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그러나 지방은 가치가 없는 것은 앞으로도 영.원.히.
오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투자범위를 좁혀서 봐야한다고 합니다.
영원이 오르지 않을 단지를 잘 소거하고
정말로 가치있는 단지를 잘 고른다면 오히려 매매가가 오를 것이란 확신을
보다 선명하게 가질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해보았습니다.
🎯키포인트와 투자포인트 생각하기.
입지의 요소별로, 지역별로
키포인트와 투자포인트가 무엇인지 생각하며
접근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 주셨습니다.
예를 들어 직장에 대해 분석할 때는
키포인트 - 질 좋은 일자리는 어떤 사업이고, 위치는 어디인가?
투자포인트 - 구매력이 높은 사람들은 어디 사는가?
이런식으로 각 요소별로 알려주신 키&투자 포인트를
이번에 지역을 분석할 때 적용해 보겠습니다.
강의 초반에 유디님 께서는
이해가 되지 않으면 행동으로 잘 옮기지 못하는 사람이라고 하셨는데요,
why에 대해서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행동하더라도
행동하는 과정에서 why를 찾게 되기도 하기 때문에
일단 한 번 해본다는 마음이 중요하다는 말씀을 해주셨습니다.
저도 뭔가 납득이 잘 되지 않으면 잘 움직이지 않는 사람인데요,
너무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논리적으로 접근하려고 하기보단
이번 한달은 그냥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냥 한 번 해보는 마음으로
지방 투자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