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Q&A

[1억달성챌린지] 내 급여 대비 적정 주거비(월세) 비율! 도와주세요!

  • 25.07.23

안녕하세요! 저는 지방에서 서울로 발령을 받은지

얼마 안되어, 곧 월세를 구해야 합니다. 2번째 과제를 하면서 주거비셋팅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미혼이라면 급여에서 몇% 정도가 주거비로 적정한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참고 차 제 상황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저는 곧 원룸 월세를 구해야 하는데요.. 서울 원룸 월세 가격이 너무 천차만별이라 적정한 월세금액에 대해 조언받고 싶습니다.

 

제 급여는 평균적으로 500만원입니다. 월세 1,000만원/50~100만원 선으로 알아봤습니다. 50만원짜리 원룸은 안전(여자)이 너무 걱정되고, 100만원짜리는 회사(여의도)에서 매우 가까워(도보2분;) 공부할 시간을 많이 확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제 급여 대비 과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처음 자취하는거라 고민이 많습니다. 제 개인 상황은 참고차 말씀드렸고, 급여대비 적정 주거비 비율이

궁금합니다! 도움 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유디님, 운영진분들 건강 꼭 챙기세요!! 이번 강의 너무나 감사합니다♥️ 부끄럽지만 전 이제 막 공부 시작했어요. 앞으로도 잘 부탁드리겠습니다. 


댓글


진심을담아서creator badge
25. 07. 28. 12:08

안녕하세요 :) 저는 급여의 몇%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건 월500 정도의 싱글이신 상황이라면 월 저축액 5~60%를 유지하시면서 월 생활비를 제외한 부분은 월세로 들어가도 괜찮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저축액은 다다익선입니다.) 제가 코엔님 상황이라면 100만원도 내볼만 하다는 생각도 드는데, 만약에 너무 과하다는 생각이 들고 더 돈을 모으고 싶으신 의지가 있으시다면 7~80 정도로 타협해보시는 것도 좋아 보입니다 :)

프메퍼creator badge
25. 07. 28. 13:34

안녕하세요~! 급여 대비 월 주거비는 20~25%가 적정선이며, 최대 30%는 넘지 않는 게 바람직합니다. 60~80만 원 내외에서 안전성과 통근 시간의 균형을 맞춘 원룸을 추천드립니다 보증금 1천만 원 / 월세 70만 원대가 현실적이며, 도보 10~15분 거리 타협도 고려해보세요~! 화이팅입니다~

할수있집
25. 08. 11. 22:01

적정 비율이라는건. 그냥 통계적으로 그렇다는 것이지 크게 의미를 두진 않으셨으면 합니다. 만약 같은 조건이신데 월급이 300만원이신분은 1/3을 주거비에 태워야 하니 부담이 많이 될 것이고 월급을 1000만원 받는분은 1/10 수준이니 가볍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입니다. 그래도 고민을 하고 계시다는 것은 내가 지출을 관리하고 돈을 아끼고 싶다는 마음이 드셔서인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한번도 주거비에 그렇게 큰 돈을 써본적이 없기 때문에 이게 맞나? 싶으실거에요. 주거비에 돈을 많이 쓰면, 주거 환경에서 오는 그만한 가치가 있을 것이고 주거비에 돈을 줄이면 그만큼 또 감내해야될 것이 있을거에요. 100만원짜리 월세를 살면서 내가 그만큼 거주지의 효과를 활용할 수 있으면 100만원도 싼거구요. 50만원짜리 월세사는거랑 100만원짜리 월세 사는거랑 주변 환경과 시간을 쓰는게 비슷해버린다면 50만원짜리에 살아도 나쁘지 않은 것이겠죠. 그리고 말씀하신 '안전한 주거지' 저도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내가 집에서 시간을 대부분 보내는지? 아니면 집에선 거의 잠만 자는지? 그래도 고민이 된다면 일단 좀 더 끌리는 곳에 살아보고 1년뒤 옮기는 선택지도 있습니다. 100만원에 도보로 출퇴근이 가능하다면 지하철로 통근을 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1550(지하철) *2(왕복)*20(1달 20일 기준) = 62000원 coenffi님의 시급을 3만원으로 가정하고 집을 30분 거리에 잡았다면 3만원*20일 = 60만원의 가치 이런식으로 주거 환경에 따라서 save 할 돈과 추가적으로 나갈 돈이 다를테니 이런 기준으로도 비교해보시는것도 추천드립니다. 급여대비 적정 주거비율은 무조건 낮을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월세도 있지만, 관리비나 기타 비용이 추가로 붙을테고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를 받으실 수 있는지? 이 부분도 체크해보시고요. 아무래도 1인 싱글 가구에게 주거비 비중이 높을수밖에 없으니 제 생각에 15~20% 이내라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글을 올리신지 시간이 좀 지난것 같아 집을 구하셨는지 모르겠지만 참고가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