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2025 재산세 납부방법|조회부터 납부시기,절세팁까지

  • 25.07.30

⭐️ 3줄 미리보기

  • 재산세는 매년 7월과 9월, 소유한 주택·토지 기준으로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 위택스, STAX 앱, 은행 CD/ATM, 신용카드 자동이체 등 다양한 방법으로 납부할 수 있어요.
  • 전자송달·자동이체 신청 시 세액공제, 카드사 혜택까지 함께 챙길 수 있습니다.

 

⭐️ 목차

  1. 2025 재산세 납부 시기, 7월과 9월
  2. 재산세 계산법 조회 방법
  3. 재산세 납부방법, 온라인·오프라인 총정리
  4. 카드납부 혜택과 절세 방법까지 챙기기
  5. 자주 묻는 질문 Q&A

 

재산세 납부방법

 

바쁜 일상 중에 "재산세 납부방법"을 검색하셨다면

아마 고지서를 들고 잠깐 멍하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은행 가서 긴 줄 설 필요 없이,

간편하게 온라인이나 모바일로 해결하는 방법부터

세액공제 팁까지, 이 글에서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재산세 납부방법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토지를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등기 명의자가 납세 의무자가 되며,

공동명의일 경우 각자 지분대로 부과됩니다.

 

👉 납세 대상자

  • 주택, 아파트, 단독주택, 오피스텔(주거용)
  • 토지(대지, 농지, 임야 등)

 

1. 2025 재산세 납부 시기 (7월과 9월)

재산세는 한 번에 전부 내지 않고, 재산 종류에 따라 시기가 나뉘어 있어요.

구분납부 기간납부 대상
1기분2025년 7월 16일 ~ 31일주택(1/2), 건축물 등
2기분2025년 9월 16일 ~ 30일주택(나머지 1/2), 토지

※ 주택 재산세는 7월과 9월로 나눠 1/2씩 납부합니다.

 

 

2. 재산세 계산법 조회 방법

 

과세표준과 세율 계산 공식

 

복사편집

과세표준 = 시가표준액 × 공정시장가액비율

재산세 = 과세표준 × 세율(0.1% ~ 4%)

 

  • 공정시장가액비율: 60%(주택 기준)
  • 세율: 재산 종류 및 금액 구간에 따라 0.1%~4% 차등 적용

 

시가표준액 기준 정리

재산 유형시가표준액 기준
주택공동·개별주택 공시가격
토지개별공시지가
오피스텔주거용: 주택 기준, 업무용: 건축물 기준 고시가격

👉 서울시 거주자는 ETAX ‘지방세 미리 계산’ 페이지에서 직접 재산세를 미리 계산해볼 수 있어요.

 

재산세 조회 방법과 전자납부번호 사용법

 

고지서를 분실해도 걱정 마세요.
재산세 조회 및 전자납부번호 확인은 아래 경로에서 가능해요.

 

  • 위택스: 로그인 → 부과내역 조회
  • 스마트위택스 앱: 로그인 후 ‘부과내역 조회’
  • STAX 앱: 서울시 전용, 공인인증 없이 간편 확인
  • 전자납부번호: 납부 고지서에 기재되며, 비회원 납부도 가능

 

 

3. 재산세 납부방법, 온라인·오프라인 총정리

 

위택스·STAX·인터넷지로로 납부하는 법

재산세 납부방법

 

  • 위택스
    회원가입 or 비회원 로그인 → 납부하기 → 결제방법 선택(계좌, 카드, 간편결제 등)
  • STAX 앱(서울시)
    공인인증서 없이 주민번호로 로그인 → 지방세 납부 → 납부 완료
  • 인터넷지로(giro.or.kr)
    지방세 탭에서 납부 가능 (전자납부번호 필요)

 

은행, ATM, ARS 납부도 가능해요

  • CD/ATM 기기
    ‘지방세 납부’ → 전자납부번호 입력 or 본인 납부
  • ARS 전화 납부
    1599-3900 (지방세납부)
  • 은행창구 직접 납부도 여전히 가능

 

4. 카드납부 혜택과 절세 방법까지 챙기기

재산세 납부방법

 

2025 주요 카드사 혜택 요약

카드사혜택 종류내용
신한최대 1만P 적립조건 충족 시 포인트 적립 가능, 생활요금·쇼핑 등 다양한 사용 영역 반영
하나무이자 2~3개월일부 전월 실적 조건 있음, 전국 주요 가맹점/PG 업종 대상
우리캐시백 최대 1만 원기간 내 신청자 대상, 이벤트별 이용실적 조건 부과
BC행사 카드만 적용앱 통해 개별 확인 필요, 행사 가맹점·해당 카드에 한해 적용

 세부 이벤트/조건은 각 카드사 앱이나 공식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재확인이 필요합니다.

 

 

전자송달·자동납부로 세액공제 받는 법

재산세는 종이고지서 대신 전자송달(문자·이메일 등)로 받거나, 자동납부를 신청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2025년 기준으로는 아래와 같은 공제가 적용됩니다.

신청 항목공제 금액 (연 기준)
전자송달만 신청800원
자동납부만 신청800원
전자송달 + 자동납부 동시 신청최대 1,600원

※ 고지서 1건 기준이며, 세목별로 연간 최대 한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 위택스
  • 서울시 ETAX
  • 또는 각 자치단체 세무과 방문 신청

 

전자송달과 자동납부는 각각 따로 신청해도 혜택이 제공되며,

두 가지를 함께 신청하면 최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점도 꼭 기억해두세요.

 

 

5. 자주 묻는 질문 Q&A

Q. 납부 기한을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

A. 3%의 가산금이 부과되고, 1개월 초과 시 매달 1.2%씩 추가로 붙습니다.

Q. 공동명의일 경우 어떻게 납부하나요?

A. 지분별로 부과되며, 각자 명의로 납부해야 합니다.

 

재산세 납부방법

 

재산세는 단순히 납부만 잘한다고 끝나는 세금이 아닙니다.
신청만으로 공제를 받을 수 있는 혜택부터, 카드사별 이벤트,

전자송달·자동납부까지 꼼꼼히 챙기면 생각보다 더 줄일 수 있어요.

 

특히 오피스텔을 보유하고 있다면,

주거용인지 업무용인지에 따라 세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산세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

아래 칼럼에서 오피스텔 재산세 계산법과 절세 방법을 꼭 확인해보세요.

👉 [오피스텔 재산세 계산법과 절세 방법, 이 글 하나로 끝내기]

 

사진 출처: 뉴스핌, 뉴데일리 경제


댓글


리리안user-level-chip
25. 07. 30. 23:12

오! 재산세에 대해서 미리 공부좀 해놔야 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알려 주셔서 감사합니다!!

마마심user-level-chip
25. 07. 31. 15:06

우앙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