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줄 미리보기
바쁜 일상 중에 "재산세 납부방법"을 검색하셨다면
아마 고지서를 들고 잠깐 멍하셨을지도 모르겠습니다.
은행 가서 긴 줄 설 필요 없이,
간편하게 온라인이나 모바일로 해결하는 방법부터
세액공제 팁까지, 이 글에서 모두 정리해드릴게요.😊
재산세는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토지를 소유한 사람에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등기 명의자가 납세 의무자가 되며,
공동명의일 경우 각자 지분대로 부과됩니다.
👉 납세 대상자
재산세는 한 번에 전부 내지 않고, 재산 종류에 따라 시기가 나뉘어 있어요.
구분 | 납부 기간 | 납부 대상 |
---|---|---|
1기분 | 2025년 7월 16일 ~ 31일 | 주택(1/2), 건축물 등 |
2기분 | 2025년 9월 16일 ~ 30일 | 주택(나머지 1/2), 토지 |
※ 주택 재산세는 7월과 9월로 나눠 1/2씩 납부합니다.
복사편집
과세표준 = 시가표준액 × 공정시장가액비율
재산세 = 과세표준 × 세율(0.1% ~ 4%)
재산 유형 | 시가표준액 기준 |
---|---|
주택 | 공동·개별주택 공시가격 |
토지 | 개별공시지가 |
오피스텔 | 주거용: 주택 기준, 업무용: 건축물 기준 고시가격 |
👉 서울시 거주자는 ETAX ‘지방세 미리 계산’ 페이지에서 직접 재산세를 미리 계산해볼 수 있어요.
고지서를 분실해도 걱정 마세요.
재산세 조회 및 전자납부번호 확인은 아래 경로에서 가능해요.
카드사 | 혜택 종류 | 내용 |
---|---|---|
신한 | 최대 1만P 적립 | 조건 충족 시 포인트 적립 가능, 생활요금·쇼핑 등 다양한 사용 영역 반영 |
하나 | 무이자 2~3개월 | 일부 전월 실적 조건 있음, 전국 주요 가맹점/PG 업종 대상 |
우리 | 캐시백 최대 1만 원 | 기간 내 신청자 대상, 이벤트별 이용실적 조건 부과 |
BC | 행사 카드만 적용 | 앱 통해 개별 확인 필요, 행사 가맹점·해당 카드에 한해 적용 |
세부 이벤트/조건은 각 카드사 앱이나 공식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재확인이 필요합니다.
재산세는 종이고지서 대신 전자송달(문자·이메일 등)로 받거나, 자동납부를 신청하면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요.
2025년 기준으로는 아래와 같은 공제가 적용됩니다.
신청 항목 | 공제 금액 (연 기준) |
---|---|
전자송달만 신청 | 800원 |
자동납부만 신청 | 800원 |
전자송달 + 자동납부 동시 신청 | 최대 1,600원 |
※ 고지서 1건 기준이며, 세목별로 연간 최대 한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신청 방법
전자송달과 자동납부는 각각 따로 신청해도 혜택이 제공되며,
두 가지를 함께 신청하면 최대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점도 꼭 기억해두세요.
A. 3%의 가산금이 부과되고, 1개월 초과 시 매달 1.2%씩 추가로 붙습니다.
A. 지분별로 부과되며, 각자 명의로 납부해야 합니다.
재산세는 단순히 납부만 잘한다고 끝나는 세금이 아닙니다.
신청만으로 공제를 받을 수 있는 혜택부터, 카드사별 이벤트,
전자송달·자동납부까지 꼼꼼히 챙기면 생각보다 더 줄일 수 있어요.
특히 오피스텔을 보유하고 있다면,
주거용인지 업무용인지에 따라 세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재산세 부담을 줄이고 싶다면,
아래 칼럼에서 오피스텔 재산세 계산법과 절세 방법을 꼭 확인해보세요.
👉 [오피스텔 재산세 계산법과 절세 방법, 이 글 하나로 끝내기]
사진 출처: 뉴스핌, 뉴데일리 경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