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나눔방

PIR, RIR 뜻, 계산, 활용법까지! 부동산 투자할 때 반드시 알아야하는 용어

  • 6시간 전
  • PIR은 ‘집 한 채를 사려면 몇 년치 소득이 필요한지’를 나타내고, RIR은 ‘소득 중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 2025년 1분기 수도권 PIR 지수는 서울 10.2, 경기 8.9, 인천 8.2입니다.
  • 내 집 마련 혹은 부동산 투자를 할 때 핵심 판단 기준이 되는 PIR 지수 활용법도 정리했으니 이 글 끝까지 읽어보세요.

 

목차

  • PIR이란?
  • RIR이란?
  • PIR이 높을 때, 낮을 때
  • 한눈에 보는 최근 3년 서울, 경기, 인천 PIR 표, 그래프
  • PIR확인 방법

 

pir

 

부동산 투자 이야기를 하다 보면 꼭 나오는 용어가 있습니다.
바로 PIRRIR입니다.

 

“서울 PIR이 역대 최고치”

“RIR이 안정세를 보인다”

 

뉴스를 보다 보면 위와 같은 문장을 쉽게 접할 수 있죠.

이 두 지표는 집값 수준이 소득·임대료와 비교해 얼마나 높은지를 보여주는 척도입니다.
즉, 현재 시장이 ‘살 만한 시기’인지, ‘무리한 시기’인지를 가늠하는 데 도움을 주는 핵심 지표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PIR, RIR의 뜻부터 계산법, 지수가 주는 의미, 실제 활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PIR이란?

 

PIR 뜻, 계산

 

PIR(Price to Income Ratio)은 주택 가격이 가구 소득에 비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쉽게 말해 "집 한 채를 사려면 내 연소득이 몇 년이나 필요할까?"를 숫자로 나타낸 것이죠.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어요.

PIR = 주택 가격 / 연 가구 소득

 

예를 들어, 주택 가격이 6억 원이고, 해당 가구의 연 소득이 6,000만원이라면

PIR = 6억 / 6,000만 = 10

즉, 현재 소득을 쓰지 않고 10년 동안 모두 저축해야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의미예요.

 

PIR이 높다는 것은 집값이 소득에 비해 비싸다는 뜻이고,

낮다는 것은 소득 대비 집값이 저렴하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어요.

 

 

RIR이란?

 

RIR 뜻, 계산

RIR(Rent to Income Ratio)은 월세 또는 전세보증금에서 환산한 금액이
소득에 비해 얼마나 부담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어요.

RIR = (월임대료 / 월소득) × 100

 

전세의 경우, 보증금을 월세로 환산해 계산합니다.

→ 전세 보증금 x 0.045(전월세전환율) / 12
(전월세전환율 : 보통 4.5% 또는 시장 금리에 따라 변동)

 

 

예를 들어, 월세가 80만 원이고, 월소득이 400만 원이라면

RIR = (80만 / 400만) × 100 = 20%

으로 월소득의 20%를 임대료로 지출하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RIR이 높을수록 주거비 부담이 크고, 낮을수록 주거비 부담이 작다는 뜻이겠죠?

 

 

 

이렇게 PIR과 RIR의 뜻, 개념, 계산법을 빠르게 알아봤는데요.

곧바로 부동산 시장에 적용해 판단하기 어려우실 수 있어요.

 

그래서 PIR이 오르고 있나? 지금 서울 PIR은 어떻지?

와 같은 궁금증도 드실 것 같은데요.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서울·경기·인천 PIR 을 보며 예를 들어 설명해볼게요!

 


PIR이 높을 때, 낮을 때
 

PIR이 오른다는 건 소득 대비 집값이 더 비싸졌다는 뜻입니다.
즉, 같은 소득으로 집을 사려면 더 오랜 기간이 필요하다는 이야기죠.

이는 주택 가격 상승 속도가 소득 상승 속도를 앞지르고 있다는 신호로,

실수요자의 구매 여력이 낮아져 거래량이 줄어들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전세·월세 수요가 늘어날 가능성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PIR이 낮아진다는 건 소득 대비 집값 부담이 줄었다는 의미입니다.
즉, 같은 소득으로 더 빠르게 집을 살 수 있다는 뜻이죠.

주택 가격이 떨어졌거나, 소득이 늘어났다는 신호로

실수요자의 내 집 마련 진입 장벽이 낮아져 거래 활성화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할 수 있어요.

 

2025년 1분기 서울, 경기, 인천 PIR 지수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pir

 

  • 연 소득 8,874만원은 분기단위 해당 지역 내 KB국민은행 부동산담보대출(아파트) 대출자의 연소득 중위값
  • 주택가격은 분기단위 해당 지역 내 KB국민은행 부동산담보대출(아파트) 실행시 조사된 담보평가 가격의 중위값

 

 

연 소득 8,874만원으로 PIR 지수를 계산해보았을 때,

서울 PIR 지수는 10.2로, 이는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10년 넘게 모아야 평균 수준의 서울 아파트를 살 수 있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경기 PIR 지수는 8.9, 인천 PIR 지수는 8.2로 경기, 인천 둘다 8년 이상의 소득을 모아야 수도권 아파트를 살 수 있다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럼 25년 1분기의 지수만을 보고는

이전에 비해 올랐는지 내렸는지 알기 어려워서 최근 3년에 대한 정보도 가져와봤어요.

 

 

한눈에 보는 최근 3년 서울, 경기, 인천 PIR 표, 그래프

 

년도서울_PIR경기_PIR인천_PIR
25년 1분기10.28.98.2
24년 4분기11.39.48.9
24년 3분기11.29.08.1
24년 2분기11.58.98.0
24년 1분기12.69.48.8
23년 4분기11.79.48.5
23년 3분기12.810.08.8
23년 2분기12.710.39.2
23년 1분기14.511.09.1

 

(자료 출처 : KB부동산 데이터허브, KB아파트담보대출PIR)

 

pir

 

그럼, 여기서 한눈에 23년부터 지금 25년까지의 서울, 경기, 인천의 PIR을

한눈에 표와 그래프로 알아보았습니다.

 

 

보통 각 발표기관마다 중위소득과 중위집값을 기반으로 PIR지수를 산출하기 때문에,

시장 전체를 대변할 수는 없지만 연도별, 지역별 PIR 지수를 비교하며 부동산 흐름을 파악하기에 좋습니다.

 

 


PIR 확인 방법

 

PIR을 여러분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사이트를 바로 아래에서 자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주택금융통계시스템

 

공공기관인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운영하는 통계 서비스로, 
보금자리론·디딤돌 대출 등 실제 대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PIR을 산출합니다.

 

전국 시·도별, 시·군·구별 PIR 지수 확인이 가능하고,

보금자리론·디딤돌대출 등 실제 주택금융 데이터를 바탕으로 산출해 정확성과 신뢰성이 높다고 평가되는데요.

하지만 대출취급일 기준이 업데이트 속도가 느린 편에 속합니다.

전국·광역·기초자치단체 등 지역별 PIR 비교 분석을 원하실 때 이용하시길 추천드려요.

주택금융통계시스템에서는 2004년부터 PIR을 확인할 수 있어요.

 

pir

 

확인 방법

주택금융통계시스템 접속 → ‘통계DB’ 클릭 → 검색창에 ‘PIR’ 입력 → ‘지역별 PIR 및 LIR’ 선택 후 조회

 

 

KB부동산 데이터허브

 

KB국민은행이 제공하는 부동산 빅데이터 플랫폼으로 
KB아파트담보대출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제 대출을 통해 PIR을 산출합니다.

 

시장 시세 반영도가 높아 실무에서 자주 인용되며,

공공기관 통계보다 현실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본인 소득 수준과 비슷한 사람들의 실제 구매 사례를 확인할 수 있어,

현실적인 주택 가격 범위 설정에 유용한데요!

 

단, KB부동산 데이터허브는 서울, 경기, 인천 PIR 지수만 확인이 가능해

전국 지역별 PIR 비교가 어려운 아쉬움이 있습니다.

또한 주택통계시스템은 2004년부터 PIR을 알 수 있지만, KB부동산은 2008년부터 확인이 가능합니다.

 

pir

 

확인 방법

KB부동산 데이터허브 접속 → 메뉴에서 ‘소득 대비 주택가격’ 선택 → PIR 데이터 조회

 


 

이번 글에서는 부동산 투자 필수 용어 PIR, RIR 뜻과 계산법,

실제 PIR지수 활용법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부동산 시장에서 PIR은 단순 숫자가 아니라,

내 집 마련 가능성을 수치로 보여주는 나침반입니다.

수치가 높고 낮음을 넘어, 그 변화를 읽고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진짜 활용법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6.27 대출규제도 있었던 만큼,

부동산 시장이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정말 많으실 것 같은데요.

 

지금 어느 곳의 아파트가 오르고 내리는지,

시장은 어떤 신호를 보이고 있는지,

 

⬇️ 바로 아래 칼럼에서 확인해보세요!

 

대출 규제에도 왜 이 아파트는 더 올랐을까? 지금 시장이 보내는 신호

 

 

 

사진 출처 : KB부동산 데이터허브, 주택금융통계시스템


댓글


빌리치
25. 08. 09. 16:23N

어려웠던 부분인데 이렇게 정리해서 설명 남겨주셔서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