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0월까지 2호기를 마련할 가애나애입니다♡
1강에서는 권유디 튜터님께서
투자기준 ‘저환수원리’의 디테일과
규제로 인해 혼란스러운 현재 시장에서의
대응법을 알려주셨습니다.
지금 단계에서 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며 하루하루를 보내고 있지만,
제 생각에 갇히거나
본질보다는 상황을 보지 않는 경우에
어려움에 봉착하게 되는 것 같은데요.
1강에서 튜터님의 인사이트와 경험을
제대로! 레버리지 할 수 있었습니다.
제가 시장을 1층에서 보고 있었다면
튜터님은 드론을 띄워 보시는 것 같은 느낌..!
한 마디 한 마디 모두 놓치지 않고
튜터님과 뇌를 동기화하기 위해 무진장 애썼습니다.
지금 이 시점에 튜터님의 강의를 들을 수 있어
정말 귀하고 감사했습니다.
권유디 튜터님 최고!!!
#1. 지금 우리는 어떤 시장에 있나
강의에서 매번 강사님들께서
“지금 정말 좋은 시기에요!”하고 말씀해주시고,
저 스스로도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했지만
본질이 아닌 상황 때문에
때때로 머리를 싸매는 일이 많았습니다.
‘6.27 규제가 나왔는데 어떡하지?’
'시장 분위기가 바뀌어 보던 단지가 안 깎이고,
오히려 n천만원 올리는데 어떡하지?'
지금 당면한 상황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지,
당면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흘러갈지
모르고 헷갈리기 때문입니다.
튜터님께서는 본질보다는 상황에 흔들리는
저와 같은 수강생들을 위해
‘저환수원리’라는 투자 기준을
시장 상황과 함께 자세히 풀어 설명해주셨습니다.
단순히 원금보존은 전세가율,
수익률은 투자금 대비 수익금-이라고
당연하게 생각해왔었는데,
현 시장 상황과 함께 디테일을 더해주신 덕분에
투자 기준을 깊고 넓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여전히 서울 수도권 평균 이하의 단지들은
전고점 이하의 가격을 형성하고
여전히 매우 저렴하다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투자기준에 맞는 것 중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에 집중해야 하는데요.
다만, 이후 수도권 대부분의 단지가
전고점을 뚫고 시장 참여자가 바뀌면
투자 기준 또한 일부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아울러 투자에서 매수는 일부일 뿐이며
보유와 매도가 정말 중요하다는 것도 알고 있지만,
수도권 자산을 장기보유 했을 때 일어나는 일에 대해서는
늘 막막하고 헷갈리는 영역이었는데요.
언제가 될지 알 수 없지만
앞으로 벌어질 상황에 대해 깊게 생각해보고,
로드맵을 그려볼 수 있었습니다.
#2. 마음을 읽는 투자자
아파트 투자자는 사람들의 심리를 읽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참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었는데요!
튜터님께서 상세히 들어주신 예시를 통해
부동산 사이클 안에서 사람들의 심리와 욕망,
각 시점마다 할 수 있는 합리적인 선택을
짐작해볼 수 있었습니다.
‘6.27 부동산 대책은 실수요자와 투자자에게 어떤 영향을 주었나?’
‘규제로 인해 하급지에 풍선효과가 일어나지 않을까?'
‘왜 대세상승기에는 규제가 나와도 매매가가 계속 오를까?’
‘전세 제도가 없어지는 건 아닐까?’
어려웠던 부분들은
매도자, 실수요자, 임차인, 투자자의 시각에서
입체적으로 바라보고 공감할 때
자연스레 이해가 되며 대응 방향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투자자의 시각에서만 시장을 보면
해결되지 않던 많은 일들이
실거주자, 임차인의 입장에서 볼 때
비로소 이해된다는 것을 기억하고
다양한 시각에서 시장을 바라보겠습니다.
끝으로 튜터님께서 오늘 강의를 통해
남기고 싶으셨던 원 메시지는 바로
“지금 시장이 주는 기회를 꼭 잡으세요”라는
희망적인 메시지가 아닐까 싶습니다.
확실한 투자기준을 정립하고,
많은 사람들이 주춤하는 혼란한 시장에서
중심을 잡고 행동하여 기회를 잡겠습니다.
시장과 본질을 넓고 깊게 바라볼 수 있도록
알려주신 권유디 튜터님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