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돈독모]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독서후기 [앞마당부자] #31/#25-20

25.08.15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2. 저자 및 출판사: 로버트 기요사키 / 민음인

3. 읽은 날짜: 25.8.11~25.8.21 완독💜

4. 총점 (10점 만점): 10점 / 10점

5. 키워드 : #수입 #지출 #자산 #부채 #현금 #흐름 #일반소득 #투자소득 #수동적소득 #유령소득 #세금 #금융문해력 #금융IQ

6. 한줄요약 : 부채와 세금을 활용하여 B, I 사분면으로 이동하라.

 

STEP2. 책에서 본 것

 

[PART 1. 부자는 왜 더 부자가 되는가]

  • 돈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이 가장 높은 비율의 세금을 낸다. (…) “종이 화폐는 결국 본연의 가치인 0으로 돌아갈 것이다.” (…) 달러를 찍어 내기 시작했고, 저축하는 사람들은 패배자가 되었다. (p.73)
  • 부자들은 부채를 이용해 부자가 되는 법을 알고 있다. (…) 저금리란 “돈을 빌리러 오세요. 돈이 할인 중입니다.”라고 외치는 상황이나 마찬가지다. (p.76)
  • 부자들은 빈곤층이나 중산층보다 돈을 더 많이 벌면서 세금은 덜 내는 ‘합법적인’ 방법을 안다. (p.91)
  • E와 S 사분면에 있는 사람들은 돈을 위해 일한다. B와 I에 속한 사람들은 세금 혜택을 위해 일한다. (p.111)
  • 자신의 상황을 바꿔야 한다. (…) 주택 비용을 공제하기 위해서는 세입자에서 주택 소유자로 자신의 상황이 바뀌어야 한다. (p.113)
  • 인간은 실수를 통해 배운다. (p.114)
  • 사분면을 바꾸기 위해 필요한 것들 : 영적 지능, 정신적 지능, 감정적 지능, 신체적 지능 (p.131)
  • 과거를 돌아보면 미래를 안다 (p.147)
  • 부채가 부자를 더 부유하게 만든다 (p.156)
  • 부자는 소득보다 자산에 더 집중하고 부채를 사용하여 자산을 획득하고 키운다. (p.163)

 

[PART 2. 왜 돈의 언어를 배워야 하는가]

  • 좋은 부채는 당신을 더 부자로 만들어 준다. 좋은 부채는 다른 사람들이 대신 갚아 주는 빚이다. 정부는 좋은 부채를 사용하는 방법을 아는 사람들에게 세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p.181)
  • 가난한 아버지는 안정적인 직장과 꾸준한 급여를 위해 일했다. 부자 아버지는 현금흐름을 창출하는 자산을 위해 일했다. (p.201)
  • 어째서 현금과 흐름이 가장 중요한 단어인가? 어떤 것이 수입, 지출 또는 자산 또는 부채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현금’과 ‘흐름’이기 때문이다. (…) ‘수입은 유입되는 현금’이고, ‘지출은 유출되는 현금’이다. (p.202)
  • ‘자산’은 일을 하든 하지 않든 주머니에 돈을 넣어 준다. ’부채’는 비록 그 가치가 올라가더라도 주머니에서 돈을 빼 간다. (p.205)

 

[PART 3. 진정한 금융 교육이란 무엇인가]

  • 세법은 E와 S 사분면에 있는 사람들에게 불이익을 준다. 세법은 B와 I 사분면에 있는 사람들에게 혜택을 준다. (p.218)
  • 부자들은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세금이다. (p.230)
  • 그냥 해보면 된단다. 그럼 항상 무언가를 배울 수 있을 거야. 무언가를 해 본다는 건 대부분의 사람들처럼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보다 낫단다. (p.236)
  • 현금흐름 투자가는 시장 폭락을 기다린다. (p.240)
  • 부채에서 나오는 유령소득이란, 돈을 벌기 위해 일하고 그 돈에 붙는 세금을 내면서 저축하는 대신에 ‘돈을 빌려서 절약한 시간과 돈’이다. (p.245)
  • 자산가치 상승은 유령 소득이다. (p.246)
  • 상환은 유령 소득이다. (…) 내가 부동산을 좋아하는 이유는 나의 부채를 내가 아니라 세입자들이 상환하기 때문이다. ‘좋은 부채란 다른 사람이 대신 갚아 주는 부채’라는 사실을 명심하라. (p.248)
  • 지옥을 지나고 있다면 계속 나아가라. (p.275)
  • 사람을 돈의 주인으로 만드는 것은 빈손에서 시작해서 사업을 만드는 능력이란다. (p.283)
  • 연습. 연습이 가장 중요한 단어다. (…) 연습은 실수하고 바로잡을 수 있는 환경을 말한다. 중요한 것일수록 더 많이 연습해야 한다. (p.308)
  • 뇌가 변화할 수 있다 (…) 뇌의 신경 가소성 (p.312)
  • 팀을 이뤄라 (…) 부자들은 최고의 회계사와 변호사를 고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p.324)

 

[PART 4. 포르쉐 경제학]

  • 먼저 자산을 구매하고, 그 자산으로 우리가 원하는 부채를 지불해야 한다. (…) 우리는 부채가 우리를 더 가난하게 만들지 않고 더 부유하게 만들게 하겠다고 서약했다. (p.330)
  • 포르쉐와 투자 자산의 가치 상승, 감가 상각, 부채 상환으로 인한 유령 소득도 얻을 수 있었다. (p.334)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S&P 500도 돈을 잃는다. (…) 왜 굳이 장기 투자를 하는가? 왜 시장이 폭락할 때 돈을 잃는가? 분산 투자로는 손실을 막을 수 없다. S&P 500 자체가 다양하게 분산된 500개 주식 종목으로 구성된 조합이기 때문이다. (p.68)

=> 분산투자, 장기투자보다는 ‘폭락’을 기회로 활용해라. 지금 시장도 하락기이므로, 잘 활용하자. 잘 해내자.

 

2. “부채를 사용해 자산을 매수한다” (p.158)

=> 부동산 투자금에 내 돈 한 푼도 안 들이면 무한 수익! 부채는 갚아야 하는 돈 → ‘비과세’!! → 자기자본을 사용하는 것보다 부채를 사용하는 게 저렴하다. 와 진짜 신박하다.. 부채를 이용해서 자산을 산다.. 이게 바로 전세 레버리지잖아!!! 

 

3. 사람들은 대부분 집이 자산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집이 실제로는 ‘부채’인 경우가 많다. ‘부채’를 ‘자산’으로 잘못 분류하는 것은 부자와 그 외의 사람들 간의 격차가 커지는 주된 이유 중 하나다. (p.172)

=> 부채와 자산을 잘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 실거주는 그럼 자산이 아니라 부채구나. 1호기는 실거주 하게 됐지만, 육아휴직 하고나서는 계속 전세로 굴려야지!! 가즈아!

 

4. 부자는 투자 소득과 수동적 소득을 위해 일한다.  (p.224)

=> 부자 : 일반소득이 아닌, 투자소득, 수동적 소득을 위해 일한다

- 투자소득 : 돈이 나를 위해 일할 때(저가 매수, 고가 매도) 발생

- 수동적 소득 : 자산에서 발생하는 현금흐름

 

5.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라 (…) 실수는 부자를 더 부자로 만든다. (p.308)

=> 이번 1호기 하면서 힘들었던 것, 안다고 생각했지만 행동하지 못했던 것들 모두 복기해서 2호기는 더 잘 해내자.

나의 플랜 B = 부동산 투자로 경제적 자유를 이루는 것!

 

6. 먼저 자산을 구매하고, 그 자산으로 우리가 원하는 부채를 지불해야 한다.

=> 가지고 싶은 게 있다면, 가지고 싶은 걸 상쇄하는 현금흐름을 만들 자산을 사면 된다. 대박이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 세법, 회계 공부하자.
  • 독서!!
  • 부동산 투자로 I 사분면에 속한 사람이 되자.
  • 역사 공부, 차트, 독서, 현자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기 → 폭락이 언제 올지 알 수 있다.
  • 부채를 활용할 줄 아는 방법을 배우고, 실행한다.
  • 미라클모닝(할 엘로드), 상처 받지 않는 영혼(마이클 싱어) 읽기
  • 캐시플로 게임같은 걸 나중에 자녀가 생기면 해봐야겠다.
  • 거절을 즐기자!! 거절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해야 한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 부자는 돈을 위해 일하지 않는다
  • 저축하는 사람은 패배자다
  • 세금은 인센티브이다.
  • 부채를 사용해 자산을 매수한다
  • 수입이 아닌 자산에 집중하라
  • 부채는 유령 소득이다
  • 실수를 두려워하지 말라
  •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

<중요한 그림>

재무제표 : p200

현금흐름 : p205

데일의 학습 원뿔 : p305 → 실제로 행하는 경우(실행), 실제 경험 시뮬레이션(연습)

포르쉐경제학 : p336, 337

B-I 삼각형 : p368


댓글


오렌지하늘creator badge
25. 08. 19. 19:39

앞마당부자님 독서후기 잘 읽었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