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메퍼 강사님의 강의를 처음 들어본 서투기 수강생입니다.
서울 4급지 지역을 분석해 주신 부분이 최근 저의 앞마당이다 보니 너무 흥미롭고 재미있게 수강했습니다.

 

강사님이 이번 강의를 통해 꼭 알아가야 한다고 말씀해 주신 것:

  • 급지가 아닌 아파트 단지 (단순히 급지가 아니라 저평가된 아파트 단지를 직접 선별한다)
  •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분석 (단지 분석과 비교 평가를 통해 가치를 스스로 판단한다)
  • 가치 성장 투자 실행 (가치 성장 투자가 가능한 지역에서 최선의 투자를 실행한다)

 

강사님께서 A구, C구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주셨습니다.

  1. 서울에서 가치가 있는 곳
  2. 서울에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곳
  3. 기회가 있는 곳 (적은 투자금으로 리스크가 낮은 투자 기회)

설명을 들으면서 제가 직접 임장 다녔던 지역이라 더욱 몰입이 잘 되었습니다.
해당 지역 분석 핵심 정리를 보면서 강사님은 이렇게 정리를 하시는구나 하며 많은 부분을 정리할 수 있었고, 다음 임보 작성 시 이런 내용을 꼭 넣어봐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A구, C구를 어떻게 비교 평가해야 하는지 잘 이해하지 못했던 저에게는 단비 같은 강의였습니다.
기초반 수강생들의 고민에서도 저 또한 같은 질문을 했었는데, 그걸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답안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비교 평가를 잘한다는 것

  • 지역 선호도를 명확히 알고
  • 투자 우선순위를 정하며
  • 본질에 집중하는 투자를 할 수 있게 하는 행위

비교 평가 = 사람들의 수요와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좋은 물건에 투자하게 하는 행위

 

비교 평가의 기본 순서

  1. 가치 – 중장기적으로 팔지 않아도 될 가치 있는 단지인가?
  2. 가격(저평가) – 현재 가치 대비 가격이 싼가?
  3. 투자금 리스크(전세 세팅) – 전세 수요가 있고 충분히 세팅 가능한 단지인가?

서울·수도권 아파트 가치는
= 입지(교통, 직장, 환경, 학군) + 상품성(연식)

 

비교 평가의 기본 원칙

  1. 가치: 비슷한 가격이면(가격 고정) 가치가 더 좋은 것이 저평가
  2. 가격(저평가): 비슷한 가치라면(가치 고정) 가격이 더 싼 것이 저평가
    ※ 저평가는 우선 가치와 가격, 즉 매매가로만 판단한다. (투자금 X)

 

다 같을 경우

  1. 전고점이 높을수록 좋다
    • 단, 전고점의 오류에 빠지지 않도록 입지가 변하는 곳(호재)이나 신축 단지는 주의해야 한다.
  2. 상승폭이 클수록 좋다
  3. 회복폭이 작을수록 좋다
  4. 전세가가 우상향일수록 좋다

 

강사님이 강의에서 보여주신 비교 분석 표를 잘 활용해서 단지 비교 평가를 해보겠습니다.

 

기억에 남는 강사님의 말씀

  • 투자의 결정을 내리는 것은 결국 여러분 자신입니다.
    비교 평가 후 내리는 결정의 근거가 명확하면 됩니다.

     

  • 답은 반드시 현장에 있습니다.
    현장으로 가세요. 진짜입니다.

     

  • 세상의 모든 사람은 평범합니다.
    행동하지 않으면 변하지 않습니다.
    그것 또한 지금의 나 스스로가 증명합니다.

     

    ***1학년에 머무르려 하지 말고, 6학년이 되려고 꼭 노력하세요.***

 

 

 

 

 


댓글


밝은글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