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
실전투자경험

(흑역사 공개) 제가 너무 만만하게 보이나 봐요 [채너리]

25.08.31

 

"매도자와 부동산 사장님이

제 말을 무시하는 것 같아요.

제가 만만해 보여서 그랬나봐요"

 

안녕하세요~ 20대 3년차 투자자 채너리입니다 :)

첫 투자를 준비하시는 분들 중에서

조건을 협의하는 분들의 이야기를 듣다보면

늘 공통적으로 나오는 이야기인 것 같습니다.

 

우리는 배운대로 하는 건데,

부동산 사장님과 매도인이 들어주지 않고

오히려 나를 이상한 사람으로 취급하는 것이죠.

 

 

1. 사장님들은 다 사기꾼이야

돌이켜보니 저 또한 1호기를 매수하는 과정에서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가격 협상부터, 조건 협상까지

사장님들로부터 너무나도 많은 “No”를

들어야만 했었죠.

 

그래서 저도 부동산 사장님들이

제가 생각했던 대로 안 움직여 주셔서

매물코칭에서 “사장님이 정보를 숨기는 것 같다”

질문했던 적도 있습니다.

 

 

 

2. 투자는 수학이나 영웅담이 아니다

 

내가 왜그랬을까?를 저 스스로 생각해보면

저는 제가 보고 있는 모든 매물들이

강의에서 배운대로

협상 카드를 멋지게 제시만 하면

매도인들이 전부 다 받아주고,

전부 다 협상이 된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실제로 현장에서 투자를 해보니,

내 생각대로 흘러가는 경우는 없었습니다.

 

투자는 답이 정해져있거나

공식처럼 흘러가는 수학이 아닙니다.

현장에서 편익과 비용을 고려해

유연하게 대처해가는 대응의 영역이었습니다.

 

실제로 저는 최근에 투자를 진행하며

매매 특약만 26줄을 썼습니다.

 

잔금일에 4줄 더 추가된 특약…

 

 

제가 원하는 특약 문구를 보냈지만,

매도인 분이

투자자에게 매도하는 걸 불안해 하시며

수정하고 계속 덧붙여가며

제가 전혀 배우지 못했던 내용(?)들이 들어갔죠.

 

저 또한 변수(?)가 생길 때마다

이게 나중에 나에게 

불리한 조항이 되진 않을지에 대한

불안감이 늘 있었습니다.

 

그러나 제가 그럴 때마다 생각했던 것은

“대세에 지장이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3. 좋은 자산을 싸게 샀다는 것

여기서 말하는 대세는

 

"좋은 자산을 싸게 사서

추후 매도하고 더 좋은 자산으로 갈아타는 것"

 

혹은

 

"팔지 않아도 되는 좋은 자산을 싸게 사세

전세금을 회수하며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을 의미합니다.

 

제가 산 매물은 지방의 RR물건이었고,

지역 내에서 선호도가 높은 신축이었습니다.

 

만약 매도인과의 관계가 틀어져서

계약이 파기되고 이 매물을 놓치게 되는 경우

비로얄동 + 저층 매물 혹은

상대적으로 연식이 빠지는 단지만 남게 됐었죠.

 

지금 눈 앞의 편익만 고려하다가

추후 매도할 때  더 큰 리스크를 

마주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고,

매도인/세입자가 원하는 조건을 최대한 들어주되, 

양보할 수 없는 부분들만

협상을 했습니다. (ex: 전세 맞추는 것에 대한 협조)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각자 매물을 선택한 이유와

편익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지금과 같은 규제 시장에서

집주인이 전세대출 없이 

주인전세로 살아준다고 할 수도 있고,

 

같은 투자금으로 할 수 있는 단지들 중에서

연식과 입지가 좋은 단지를 샀다는

편익을 취했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대세에 지장이 없도록

나머지는 어느 정도 집주인들과

협의를 할 수도 있어야 합니다.

 

우리가 협상하는 이유는 

상대와 공동의 합의안을 얻기 위해서다. 

양쪽 당사자에게 

가장 이로운 결론을 도출하려면 

서로 협력해야 한다. 

그런데 양쪽이 자신에게 

유리한 내용만 고집한다면, 

뾰족한 해결책 없이 힘겨루기만 

계속될 것이다. 

그러므로 협상에 임할 때는 

절대 상대를 적수로 여기지 말아야 한다....

- 협상 가능 中 - 

 

여러분들은 어떠신가요?

상대방을 내가 굴복해야하는 “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는 않았나요?

 

만약 지난 투자에서 아쉬운 점이 있다면

꼭 과정까지 같이 복기 해보며

다음 투자에서는 “가장 이로운 도출”을 위해

서로 협력하는 관계를 쌓길 바라겠습니다.

 

저도 조건 협의 중 고소까지 당할 뻔 했다가,

아쉬운 점을 복기하고 다음 투자에 적용했거든요!

 

다음 글에서는

특약 중에서 양보해도 되는 부분과,

꼭 가져가야 하는 부분에 대해서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


240326
25. 08. 31. 13:44

가장 이로운 도출을 위해 서로 협력하는관계 ! 감사합니다 튜터님🙂

퓨미
25. 08. 31. 15:12

널튜터님 감사합니다!!!!!🤍

나알이
25. 09. 04. 09:02

너리님 마음에 와닿는 글 넘넘 감사합니다♡대세에 지장 없다

커뮤니티 상세페이지 배너